[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코오롱인더스트리 패션 부문이 좀처럼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패션업계의 ‘빅3’로 불리던 명성은 빛이 바랜 지 오래다. 수익은 고사하고 다른 사업에서 힘들게 번 돈을 갉아먹기 바쁜 형국이다. 그룹의 황태자는 패션 부문에서 성과를 내야 하는 입장이지만 아직까지 뾰족한 수가 보이지 않는다.
지난 11월6일 코오롱인더스트리는 3분기 연결기준 28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4.4%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957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줄었고, 순이익은 127억원으로 18.6% 감소했다.
아픈 손가락
화학 부문이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실적 버팀목 역할을 수행했다. 화학 부문은 올해 3분기에 매출액 1546억원, 영업이익 20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8%, 4.6% 줄어든 대신 영업이익률은 2.5%p. 오른 13.4%를 나타냈다.
코로나19의 재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를 감안하면 선방했다고 봐도 무리는 아니다.
산업자재 부문과 필름·전자재료 부문도 작게나마 힘을 보탰다. 올해 3분기에 산업자재 부문과 필름·전자재료 부문은 각각 132억원, 9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반면 패션 부문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패션 부문은 올해 3분기에 매출 1772억원을 달성하는 데 그쳤다. 이는 직전 분기(2334억원) 대비 24.1% 감소한 수준이다. 영업이익은 한층 심각하다. 올해 2분기에 영업이익 68억원을 기록했던 패션 부문은 3분기에 199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코오롱인더스트리 측은 코로나19 재확산 및 장마가 실적 하락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하고 있다. 아웃도어 시장 침체와 경쟁 격화 등으로 핵심 캐시카우였던 ‘코오롱스포츠’의 수익성이 악화된 것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들쭉날쭉한 그간 행보를 감안하면 패션 부문에서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기대하기도 쉽지 않다. 지난해 3분기에 영업손실 107억원을 기록한 패션 부문은 4분기에 84억원 흑자로 전환했지만, 올해 1분기에는 140억원대 적자로 돌아선 상태였다.
구원투수인 줄 알았더니…
패션사업 골칫덩이 전락
패션 부문의 저조한 수익성은 그룹 차원에서도 큰 고민거리다. 이규호 코오롱인더스트리 전무가 전권을 맡은 패션 부문의 침체가 계속된다면, 코오롱그룹 황태자의 자질에 대한 물음표를 지우기 힘들 수밖에 없다.
1984년생인 이 전무는 영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에서 호텔경영학을 전공했다. 이원만 코오롱그룹 창업주의 증손자이자 이웅열 전 회장의 장남인 이 전무는 초고속 승진을 통해 그룹 내에서 영향력을 넓혀왔다.
2012년 코오롱인더스트리 구미 공장에 차장으로 입사한 이 전무는 2년 뒤 코오롱글로벌 부장으로 승진한 데 이어, 2015년 코오롱인더스트리 상무보, 2018년 코오롱인더스트리 전무로 명함을 바꿔 달았다. 전무 승진 이후에는 최고운영책임자(COO) 직책을 통해 패션 부문의 전권을 넘겨받기에 이른다.
물론 그룹의 후계자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총괄 책임자가 된 이 전무는 ‘아픈 손가락’으로 전락한 패션 부문에 칼을 들이댔다. 브랜드를 젊은 이미지로 새롭게 구축하고, 오프라인 일변도의 기존 유통 구조를 온라인과 모바일로 재편했다. 온라인 사업 강화, 비아웃도어 사업 추진 등 대대적 체질 개선 움직임도 이어졌다.
또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패션 부문은 지난해 7월 프로젝트 그룹팀 조직을 신설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진 브랜드를 빠르게 론칭, 안착시키는 데 심혈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신통치 않은 결과물
혹시 했더니 역시나…
다만 분주하게 밑그림을 그리는 것과 별개로 아직까지 특별한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성과는커녕 위상 추락이 뚜렷해졌다. 취임한 지 2년이 채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냥 넘길 사안이 아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패션 부문은 2010년 연매출 ‘1조 클럽’에 진입한 이후 지난해 처음으로 1조원 이하의 실적을 기록했다. 패션업계에서 매출 1조원은 기업의 자존심으로 인식되는 만큼 ‘1조 클럽’ 탈락은 대외 위상 하락을 의미했다.
이랜드·삼성물산 패션부문·한섬·LF·신세계인터내셔날 등 패션 대기업으로 구분되는 업계 5위권은 고사하고, 중견그룹인 패션그룹형지·세정그룹·휠라코리아 등에도 밀리는 처지가 됐음을 뜻했다.
거듭된 추락
패션 부문의 실적 개선은 후계 구도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이 전 회장이 2018년 말 퇴진 의사를 밝히면서 이 전무의 경영 자질이 입증돼야 승계가 가능하다는 의견을 밝혔기 때문이다. 당시 이 전 회장은 “아들의 경영 능력이 인정되지 않으면 주식 한 주도 물려주지 않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 전무가 그룹의 차기 수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이 전 회장의 지분이 필요하다. 올해 3분기 기준 이 전무는 지주사인 ㈜코오롱과 핵심 사업회사인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주식을 전혀 보유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