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민주자유당 중앙 사무처 당직자로 근무하던 지난 1992년 12월19일, 그러니까 제14대 대선 바로 다음 날의 일이다.
민주당 대선후보로 나섰던 김대중 전 대통령(이하 김대중)이 선거에 패배하자 대선 결과에 흔쾌히 승복하고 의원직 사퇴 및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당시 그의 정계은퇴 선언은 그의 정치역정을 알고 있던 다수의 국민들에게 잔잔한 감동을 주었다.
심지어 모 유력 언론은 김대중을 가리켜 역사의 승리자로 기록될 것이라는 극찬까지 서슴지 않을 정도였다.
그러나 그의 전력을 상세하게 알고 있던 필자의 눈에 그의 정계은퇴는 대통령에 당선된 김영삼 전 대통령(이하 김영삼)의 보복이 두려워 선택한 ‘궁여지책’에 불과해 보였다.
지면 관계상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언급할 수는 없지만, 13대 대선 당시 김영삼의 집요한 야권 후보 단일화를 거부하고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는 식으로 야권 분열을 초래했던 김대중은 중요한 기로에서 김영삼에게 치명적 훼방꾼이었다.
이 대목에서 흥미로운 사실을 밝히자.
김영삼이 왜 1990년에 무수한 비난을 감수하고 노태우, 김종필과 합당했느냐에 대해서다.
그 이유는 사사건건 발목을 잡는 김대중을 우군으로 둔다면 그의 야망을 이룰 수 없다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김영삼의 김대중에 대한 불신은 골육상쟁 그 이상이었다. 이는 김대중의 사망 직전까지 이어지는데, 김영삼은 김대중이 사망하던 2009년 투병 중인 병원을 찾아 이희호를 통해 간접적으로 화해의 메시지를 전하는 것으로 갈등을 끝낸다.
여하튼 김대중은 1995년 7월 김영삼정권의 실정과 민주당 기능 마비를 이유로 정계은퇴 선언을 번복하고 다시 정계에 복귀하며 신당을 창당한다.
그리고 15대 대선 중 실시된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석하여 자신의 정계은퇴 번복에 대해 기상천외한 발언을 토해낸다.
“저는 일생에 거짓말을 한 일이 없어요. 이것은 약속을 못 지킨 것이지 거짓말을 한 건 아닙니다. 거짓말한 것과 약속을 했다가 못 지킨 것은 다릅니다.”
당시 이 언사에 대해 무수한 논란이 있었지만, 표면상으로는 전혀 문제 될 일은 아니었다.
물론 거짓과 약속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따른다. 거짓은 진심이 배제된 행위임에 반해, 약속은 진심을 수반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그렇다.
이에 따르면 김대중은 진심으로 정계은퇴를 선언했는데, 시대 상황이 자신을 정계에 복귀하도록 이끌었다는, 그래서 그 선언은 거짓이 아닌 약속이었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정계은퇴를 위기모면 수단으로 여겼던 필자에게도 정계은퇴 선언이 약속이었을까.
이는 독자들의 판단에 맡기고 최근의 일로 시선을 돌려보자.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이 전 당원 투표를 통해 당헌 96조 2항 ‘당 소속 선출직 공직자가 부정부패 사건 등 중대한 잘못으로 그 직위를 상실해 재보궐선거를 실시하게 된 경우 해당 선거구에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는다’를 무시하고 내년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공천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관련해 여러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필자는 거짓과 약속 차원에서 동 사안을 바라보고자 한다.
위에서 인용한 당헌은 문재인 대통령이 민주당의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시절 정치 혁신의 일환으로 만든 규정이다.
결론은 문 대통령이 거짓을 행했느냐, 즉 해당 조항은 진심이 배제된 국면전환용의 수단이었느냐에 대한 문제다.
<일요시사>를 통해 문 대통령의 무능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했지만, 필자가 살필 때 문 대통령이 거짓을 행할 정도로 교활한 사람으로 비치지는 않는다.
아울러 민주당의 공천은 거짓이 아닌 약속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본다.
※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