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한국파파존스서 심각한 ‘자본 고갈’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 자본잠식이 계속되면서 재무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진 지 오래다. 수익을 끌어올려 빚을 메꾸기에는 한계가 명백하다.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다.
2002년 출범한 한국파파존스는 미국 3대 피자 프랜차이즈인 파파존스피자의 명성을 앞세워 국내서 입지를 넓혀왔다. 서창우 한국파파존스 회장은 이웅열 전 코오롱그룹 회장과 처남 관계로 알려져 있다. 코오롱글로텍은 한국파파존스 설립 초 투자를 단행했고, 지금도 지분 7.83%를 보유하고 있다.
자본잠식 수렁
지난해 한국파파존스는 수익성 향상에 성공했다. 최근 2년 감사보고서를 보면 2018년 360억원이던 매출은 지난해 384억원으로 올랐고, 같은 기간 순이익 역시 8174만원서 3억1930만원으로 뛰어올랐다.
영업이익 상승폭은 한층 두드러진다. 한국파파존스는 전년대비 10억원 이상 광고선전비가 증가했음에도 지난해 영업이익 8억7000만원을 기록하면서 창사 이래 최대치를 찍었다. 이는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급등한 수치다. 회사의 수익과 가맹점 지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고 봐도 무방하다.
한국파파존스 관계자는 “직영점의 가맹점 전환, 가맹점 오픈 증가, 점포당 매출 상승 등이 수익성 향상의 원동력”이라며 “가맹점에 대한 지원책으로 공격적 마케팅 전략을 활용한 것이 맞아 떨어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수익성 향상과 별개로 한국파파존스의 재무상태는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과도한 부채가 자칫 회사를 수렁에 빠뜨릴 가능성마저 엿보인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파파존스의 총자산(총 자본+총부채)은 165억원으로, 전년(160억원)대비 3.55% 늘어났다. 이는 총 자본과 총부채가 전년 대비 각각 3억1930만원, 2억6864만원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총 자본과 총부채의 비율에선 심각한 불균형이 눈에 띈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파파존스의 부채비율(총부채/총 자본)은 1243.51%에 달했다. 총자산 가운데 총 자본은 12억3134만원에 불과하고, 나머지 153억1179만원이 총부채로 잡힌다.
이마저도 전년(1749.40%)과 비교해 개선된 수준이다. 2018년 총부채와 총 자본은 각각 150억4315만원, 9억1204만원으로 집계됐다. 시장에선 부채비율 20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 역시 적정치를 한참 하회한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파파존스의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는 각각 52억3083만원, 101억6550만원이고, 유동비율은 51.46%에 그친다. 유동비율은 기업이 보유하는 지급능력이나 신용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통상 200% 이상을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이 같은 내용에 대해 한국파파존스는 유동성 위험은 없으며,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노력 중이라는 짧은 답변만 전한 상황이다.
답 안 나오는 부채의 늪
빚 쌓이는데…수익은 찔끔
한국파파존스가 불안정한 재무구조서 탈피하려면 총 자본을 늘려 부채와 자본의 비율을 적정수준으로 맞추는 게 급선무다. 하지만 이를 단시일에 바로잡는 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납입자본금을 늘리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지만 이는 자본잠식을 가중시키는 꼴이다.
한국파파존스의 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2007회계연도부터 확인 가능하다. 이 무렵 한국파파존스의 자본 항목을 보면 납입자본금 70억5600만원, 자본잉여금 4억9012만원, 결손금 59억3217만원, 총 자본 16억1394만원으로 나온다. 재무제표가 첫 공개된 시점부터 총 자본이 납입자본금을 하회하는 이른바 ‘부분자본잠식’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심지어 2008년에는 총 자본이 4613만원으로 떨어지면서 ‘완전 자본잠식’을 걱정해야 했다. 이후에도 한국파파존스는 결손금 처리에 애를 먹었고, 지금껏 단 한 번도 자본잠식서 빠져나오지 못했다.
결국 한국파파존스는 결손금을 줄여 자본 증대를 꾀해야 하는 입장이다. 최선은 배당을 통한 현금유출이 없다는 가정 하에 순이익을 최대한 많이 발생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현실적 어려움이 따른다.
한국파파존스는 이익잉여금은 커녕 결손금만 지난해 말 기준 61억5799만원까지 불어난 상태다. 최근 5년 중에서 1억원 이상 순이익을 기록한 건 지난해(3억1930만원)가 유일했다. 결손금을 모두 메꾸려면 지난해 수준의 순이익이 20년간 발생해야 한다는 뜻이다.
차입금에 의존하는 경향도 좀처럼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2017년까지만 해도 57억9000만원이던 한국파파존스의 총차입금은 이듬해 106억8000만원으로 급증한 데 이어 지난해 111억9500만원으로 치솟았다. 불과 2년 사이에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여기에는 관계기업으로 분류되는 융기산업(10억원), 특수관계인으로 분류되는 서병식씨(20억원), 서원상씨(3억원)로부터 사채 형식으로 빌린 33억원이 포함된다.
총차입금이 늘어난 가운데 차임금의존도(차입금/자산총계) 역시 껑충 뛰었다. 2017년 54.2%였던 차임금의존도는 2018년 66.9%, 지난해 67.7%인 것으로 집계됐다. 통상 차임금의존도는 3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기차입금의 특성상 자금 운영에 일시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파파존스의 단기차임금은 2018년 19억9000만원서 지난해 41억5000만원으로 증가했다. 단기차입금으로 인한 이자비용만 1년 기준 약 1억4000만원으로 지난해 순이익의 약 40% 수준이다. 여기에 유동성 장기부채로 기재된 7억6700만원까지 포함시키면 단기상환금액은 한층 커진다.
빚만 잔뜩
이와 관련해 한국파파이스 측은 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파파이스 관계자는 “차입금은 공장 신축에 95억원이 투입된 점을 감안해야 하고 기타 차입금은 상환 완료한 상태”라며 “다양한 대안을 확보한 만큼 유동성 위험은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