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김정수 기자 = 코로나19 여파로 재계 내 매각 소식이 줄을 잇는다. 재무건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등 고정자산을 비롯해 사업성이 저하된 종목들이 그 대상으로 꼽힌다.
CJ푸드빌은 코로나19 후폭풍으로 대책 마련에 나섰다. 업계 안팎 상황이 악화일로에 빠졌기 때문이다. 사회적 거리 두기 등으로 외식 문화가 직격탄을 받은 점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정성필 CJ푸드빌 대표이사 명의로 지난 3월31일 ‘생존을 위한 자구안’이 발표됐는데 이는 외식업계 최초다.
CJ푸드빌
정 대표는 내부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유동성 확보에 전사적 역량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CJ푸드빌은 경영 정상화로 판단되기 전까지 신규 투자를 전면 봉쇄한다. 외식업 특성상 안전·위생 관련 불가피한 투자만 제외된다. 자구안은 크게 고정자산 매각, 신규투자 동결, 지출억제 극대화, 경영진 급여 반납, 신규 매장 출점 보류 등으로 나뉜다.
일례로 가맹점 리뉴얼 시 투자지원금을 법정 기준에 맞춘다. 그간 CJ푸드빌은 상생 강화 차원서 법정 기준 이상의 지원금을 제공한 바 있다. 핵심 사업 중 하나인 베이커리(뚜레쥬르)서도 새로운 BI(Brand Identity) 확산을 자제하기로 했다.
재무건전성 확보의 연장선으로 지출 억제 조치도 단행될 전망이다. 현금 흐름 강화를 위해 채권·채무 관리와 현금 지출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특히 수익성이 낮은 외식사업 매장에 ‘메스’를 댄다. 매장을 찾는 고객이 급감하는 상황서 임대료 부담까지 더해지는 경우, 임대인 측에 지원을 촉구할 계획이다.
회사 임원들도 ‘허리띠 졸라매기’에 동참한다. 올해 상반기까지 대표이사와 임원 및 조직장들은 급여 일부를 반납할 예정이다. 해당 안에는 임직원들이 다음 달까지 최소 1주 이상 자율 무급휴직을 하는 경우도 포함시켰다.
CJ푸드빌이 자구책을 강구하면서 매각설이 고개를 드는 형국이다. CJ푸드빌은 지난해 알짜사업으로 평가받던 투썸플레이스 경영권을 사모펀드에 매각한 바 있다.
회사는 지난해 연결 기준 8903억원 매출액을 기록했다. 직전년도에 비해 15.5%가량 하락한 수치다. 다만 영업손실은 400억원대에서 39억원으로 줄었고, 순손실은 1267억원 순이익으로 전환됐다.
현대HCN
현대백화점그룹은 계열사 현대HCN 케이블TV 사업 매각을 진행 중이다. 그룹은 지난 3월30일, 현대HCN을 분할한다고 공시했다. 현대HCN은 종합유선방송사업자다. 회사는 방송·통신사업 부문을 따로 뗀 현대퓨처넷(존속법인)과 현대HCN(신설법인)으로 나뉜다.
현대퓨처넷이 신설법인 지분 100%를 보유하는 단순·물적 분할 형식이다. 현대퓨처넷은 상장사로 남지만 현대HCN은 비상장사가 된다. 분할 기일은 오는 11월1일이다.
회사는 신설법인 현대HCN과 현대퓨처넷 100% 자회사 현대미디어 지분 매각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른바 구조개선 방안이다. 지분 매각 등은 이달 안에 경쟁 입찰 방식을 통해 결정될 전망이다.
다만 정부 인허가 문제로 매각에 제동이 걸리거나 지연되는 등 차질이 발생할 경우 매각은 철회될 방침이다. 반대로 지분 매각이 성사된다면 현대백화점그룹은 상당한 ‘실탄’을 보유하게 된다.
코로나19 여파 기업마다 생존 자구안
부진한 사업 정리…질적 성장에 초점
매각은 업계 상황이 변화에 직면하면서 힘을 얻은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부터 유료방송시장은 IPTV(인터넷TV)를 중심으로 ‘재편 물살’을 탔다. 이동통신사들의 IPTV가 확대되면서 기존 케이블TV 점유율은 점차 하락하는 국면이다. 결국 성장 가능성에 착안했다는 해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유료방송 점유율 1위는 31.31%의 KT 계열(KT·KT스카이라이프)이다. 2위는 24.72%의 LG유플러스·LG헬로비전, 3위는 24.03%의 SK브로드밴드·티브로드 등이다. 이어 딜라이브 6.09%, CMB 4.73%, 현대HCN 4.07%, 기타 5.05% 순이다.
이마트
이마트는 마곡부지를 8000억원에 매각했다. 회사는 지난달 25일 ‘서울시 마곡동 CP4구역 업무용지’를 8158억원에 매각한다고 밝혔다. 사측은 처분 목적을 ‘재무건정성 및 투자재원 확보’라고 공시했다.
지난 2013년 이마트는 SH(서울주택도시공사)로부터 2430억원에 해당 부지를 사들였다. 당시 스타필드가 입주할 예정이었지만 계획은 취소됐다.
이마트는 코로나19 여파와 함께 전통 유통업 시장이 축소되자 현금을 확보하고 온라인에 집중하는 전략을 펴는 것으로 보인다. 이마트는 지난해 10월 13개 지점을 모두 9500여억원에 처분한 바 있다.
이마트는 지난해 연결 기준 19조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67.44% 감소한 1506억원에 그쳤다. 순이익은 2238억원을 기록했지만 이 역시 절반 넘게 줄어든 수치다.
롯데쇼핑
롯데쇼핑은 단계적 구조조정 절차에 진입했다. 회사는 자구책 방안으로 전국 700여개 오프라인 점포(백화점, 마트, 슈퍼, 롭스 등) 가운데 30%를 폐점 중이다. 대상 매장은 모두 200여개에 달한다.
롯데쇼핑은 해외 이커머스 사업을 하나둘 정리하고 있다. 업계 등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아이롯데닷컴 매각을 추진 중이다. 아이롯데닷컴은 지난 2017년 인도네시아 살림그룹과 합작 설립한 법인이다. 롯데쇼핑은 살림그룹에 보유 지분을 넘기는 방식으로 정리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롯데쇼핑은 지난 2016년 출시된 롯데닷브이엔을 지난 1월 종료했다. 롯데닷브이엔은 롯데쇼핑이 베트남에 진출해 진행하던 해외 이커머스 사업 중 하나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연결 기준 17조원 매출을 기록했는데 직전년도와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28% 감소한 4279억원이었다. 순손실은 무려 80% 이상 늘어난 8400억원으로 곤두박질쳤다.
한진그룹
대한항공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유휴자산인 송현동 부지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동시에 비주력사업인 왕산마리나 매각도 함께 계획했다. 대한항공은 연내 매각을 완료할 계획이다.
송현동 부지는 서울 종로구 송현동에 소재한 땅으로 대한항공이 소유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2월 제시한 ‘비전2023’을 통해 매각을 밝힌 바 있다. 인천시 중구 을왕동에 위치한 왕산마리나 운영사 왕산레저개발 지분 매각을 추진하게 된다.
부동산도 대상…현금 확보 주력
지난해 이어 올해도 실적 ‘깜깜’
한진그룹은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해 추가 매각이 점쳐지는 상황이다. 그룹 핵심사 대한항공은 지난해 부채비율이 900%에 달한다. 경영권 분쟁 과정서 KCGI는 대한항공의 높은 부채비율을 공격하기도 했다.
LCD(액정표시장치) 사업도 속속 정리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4분기에 충남 아산 사업장과 중국 쑤저우 대형 LCD 라인 폐쇄 계획을 밝혔다. LCD사업 30년 만에 철수하게 되는 셈이다.
지난해 1조원대 영업손실을 기록한 LG디스플레이는 비상 경영체제에 나서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사업성 악화로 관련 사업을 축소할 계획이다. 지난 1월 정호영 LG디스플레이 대표는 올해 연말까지 국내 LCD TV용 라인을 정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사업 재편
롯데케미칼은 업황 악화로 울산공장과 파키스탄 공장 일부 공정을 가동 중단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연결 기준 15조원 매출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8389억원 감소했고, 순이익은 절반 넘게 주저앉았다. 특히 롯데케미칼은 올해 1분기 영업손실 860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됐다.
정유·화학 업계의 부진은 비단 롯데케미칼만 해당하지 않는다. 앞서 SK종합화학은 SK울산콤플렉스 내 나프타분해 공정과 합성고무 제조공정을 올해 12월 중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SK종합화학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9%, 31%가량 하락했다.
<kjs0814@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