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눈부신 성장세를 이어가던 BHC가 가맹점의 고혈을 빼먹는다는 의혹에 휘말렸다. 매출 대비 영업이익이 과도하게 높은 탓이다. 가맹점 지원은 고사하고 본사 차원서 잇속 챙기기에 급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BHC가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건 2013년부터다. 2004년 BHC를 인수했던 제너시스BBQ는 2010년에 접어들면서 대내외적인 악재에 휘말렸고 결국 2013년 6월 1200억원을 제시한 외국계 사모펀드(로하튼)에 BHC를 매각하기에 이른다.
본사가 주적?
새 주인을 맞이한 후 엄청난 상승세를 타기 시작한 BHC는 업계 2위인 비비큐(제너시스비비큐)마저 끌어내렸다. BHC 자체 집계에 따르면 2012년 811억원에 불과했던 BHC의 매출은 지난해 2326억원으로 치솟았다.
가맹점수 역시 급격히 늘었다. 2015년 371개의 신규매장이 오픈한 데 이어 지난해 225개의 매장이 새롭게 문을 열었다. BHC는 지난해 말 기준 1378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BHC의 눈부신 실적 상승세가 예상치 못한 논란으로 이어졌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연결감사보고서를 보면 ‘프랜차이즈서비스아시아리미티드(이하 FSA)’는 3365억원의 매출액과 762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는 영업이익률은 무려 22.6%에 달했다. FSA는 로하튼이 BHC 인수를 위해 만든 특수목적법인이다.
BHC가 로하튼에 인수된 직후인 2013년 6∼12월만 해도 영업이익률은 지난해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11.4%였다. 그러나 2014년 12.5%에 이어 2015년 20.6%로 급격히 증가하더니 지난해는 한층 더 올랐다. FSA의 영업이익률은 교촌에프앤비(6.1%), 제너시스비비큐(8.7%) 보다 3∼4배 높은 수준이다.
물론 FSA의 영업이익률을 BHC의 것과 온전히 동일하다고 보긴 어렵다. FSA의 영업이익률 표본에 ‘그램그램’ ‘큰맘할매순대국’ ‘불소식당’ ‘창고43’ 등 다른 프랜차이즈 계열사까지 포함되는 까닭이다. 다만 FSA 전체 매출의 70%를 BHC가 담당한다는 점에서 영업이익 대부분이 BHC서 발생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FSA 측은 매출을 제외한 BHC의 나머지 개별 실적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FSA 관계자는 “매출을 제외한 나머지 실적 지표는 내부 기밀상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게 회사 방침”이라고 선을 그은 상태다.
눈부신 성장세 알고 보니 쥐어짜기
가맹점 상대로…과도한 영업이익률
문제는 BHC의 호실적이 가맹점을 쥐어짜낸 결과물처럼 비친다는 데 있다.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가맹점으로 생닭 등을 가공해 판매하며 매출을 얻는다.
가맹본부서 가맹점주에게 제공하는 치킨 원가를 마리 당 8000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BHC 본사에서 가져가는 액수는 1800원이다. 영업이익률 6∼9%대의 경쟁업체들은 500∼800원을 가져간다는 셈이다. 물론 원가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있는 만큼 원가이익률을 기반으로 환산한 추정치다.
반면 마케팅을 통한 가맹점 간접 지원은 상위권 경쟁업체 사이에서 가장 소극적이었다. 지난해 FSA는 광고선전비와 판매촉진비에 각각 86억원과 16억원씩 도합 102억원을 투입했다. 교촌에프앤비(광고비 120억원, 판촉비 27억원), 제너시스비비큐(광고비 93억원, 판촉비 35억원)보다 광고 및 판촉에 들인 금액이 20∼40억원가량 적은 셈이다.
또 전체 매출서 광고비와 판촉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3.3%에서 지난해 2.5%로 감소했다. 이 같은 수치는 신제품 개발, 공격적인 마케팅, 가맹점과의 상생 정책을 취한다는 FSA 측 입장과 상반되는 지표다.
먹튀 준비하나
공교롭게도 몇몇 업계 관계자들은 FSA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BHC 매각설과 연결 짓고 있다. 본사 덩치를 키우고 수익성을 극대화해 매각 가치를 올리려 한다는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실제로 지난해 9월 BHC는 법인명을 3년 만에 유한회사에서 주식회사로 변경 후 ‘먹튀’ 소문에 시달린 바 있다.
본래 주식회사였던 BHC를 실적 공시 의무가 없는 유한회사로 바꿔 몰래 덩치를 키운 뒤 다른 계열사와 통합·매각하기 위해 주식회사로 재변경 했다는 것이다. FSA 측은 매각설이 돌 때마다 “매각 계획은 전혀 없다”고 일축해 왔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BHC 폐점률 엇갈린 반응
BHC 매장 폐점률을 두고 상반된 견해차가 나타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정보공개서 자료와 BHC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BHC 신규매장수는 879개, 총 가맹점수는 1395개다. 연도별로 보면 2013년 97개, 2014년 175개, 2015년 371개, 지난해 236개로 매년 꾸준히 가맹점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같은 기간 BHC의 폐점수를 살펴보면 2013년 333개, 2014년 108개, 2015년 45개, 지난해 40개로 총 526개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사실상 매장 10개 가운데 6개가 폐점한 것 아니냐는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BHC 측은 통계 적용 과정에서 폐점률이 부풀려졌다는 입장이다.
BHC 관계자는 “2013년 7월 인수당시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사실상 폐점상태인 매장을 운영 또는 휴점매장으로 관리한 경우 등 운영매장수가 부풀려져 있었다”며 “이에 독립경영이후부터 2014년까지 약 1년6개월동안 이러한 부실매장에 대한 정리 과정을 진행했다”고 해명했다.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은 지난해 2월 ‘프랜차이즈 비교정보-치킨업종’ 자료에서 폐점률은 ‘폐점가맹점수/당해년도 총 가맹점수(폐점가맹점 포함)’으로 계산하는 것이라고 공식화한 바 있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BHC 폐점률은 2014년 11%, 2015년 3.6%, 지난해 2.8%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