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 경제2팀] 박효선 기자 = BGF리테일 청약으로 공모주 시장이 후끈 달아올랐다. BGF리테일 상장은 GS리테일에 이은 두 번째 편의점 프랜차이즈 업체의 상장으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공모주 시장의 최대어로 꼽혔다. 이번 청약으로 4조5000억원의 공모자금이 몰렸다. 그러나 BGF리테일은 입맛만 다시게 됐다. 청약을 통해 들어온 공모자금은 일본 훼미리마트에만 좋은 영향을 줄 뿐 사실상 BGF리테일과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BGF리테일 입장에서는 들어온 청약자금이 그림의 떡이나 다름없다.
BGF리테일은 7일과 8일 이틀 동안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공모주 청약을 실시했다. 공모주 시장의 최대어를 증명하듯 공모주 청약에는 엄청난 자금이 몰려들었다. 총 4조5789억원의 자금이 몰리면서 지난해 현대로템(3조4269억원) 이후 최대 규모의 투자자금이다.
BGF리테일 기업공개(IPO) 대표주관사인 삼성증권에 따르면 청약 첫날인 7일부터 2556억원이 넘는 자금이 들어왔다. 청약 마감 8일에는 경쟁률이 무려 181.3대 1까지 올라갔다.
경쟁률 181대 1
앞서 지난달 24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기관수요 예측에서는 국내외 730개 기관이 참여해 337.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해외 기관투자도 512개 들어왔다.
당시만 해도 BGF리테일의 공모 소식에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5만원이 넘는 공모가를 예상했다. 기관들도 5만원 이상을 예상한 것으로 파악됐다. 공모가 5만5000원 이상이라고 써낸 기관이 39.89%에 달했고 6만원 이상을 예상한 기관도 30.95%나 됐다. 전체적으로 5만원 이상을 쓴 기관이 82.25%였다.
그런데 BGF리테일의 희망 공모가는 4만1000원에서 4만6000원 선으로 선정됐다. 공모가는 희망 공모가 밴드에서도 가장 저렴한 4만1000원으로 결정됐다. 공모가가 5만원 이상으로 예측될 때도 투자자들의 수요가 높았는데 생각보다 저렴한 공모가가 결정된 것이다. 투자자들이 BGF리테일 공모 청약에 폭발적인 관심을 보인 이유이기도 하다.
예상보다 낮은 가격 형성의 배경에는 BGF리테일의 상장 특수성과 관계가 있다. 우선 이번 상장은 일본 훼미리마트가 보유한 616만30주 전량을 구주 매출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구주 매출은 대주주 보유 지분 중 일부를 일반인들에게 공개적으로 파는 것이다. 일본 패밀리마트가 보유한 지분을 투자자에게 판매한 것이라서 BGF리테일 입장에서는 이득 볼 게 없는 셈이다. 따라서 공모가를 올릴 필요가 없었던 것.
BGF리테일 입장에서는 공모가가 비쌀수록 신규 주주가 많은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회사로 유입되는 신규 자금도 없는데 공모가를 높게 산정할 필요가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당초 BGF리테일 최대주주인 홍석조 회장 측에 지분을 넘기는 방안도 검토됐지만 가격을 산정하기가 애매했다. 홍 회장 입장에서는 이미 안정된 경영권을 확보했기 때문에 수천억원의 자금을 들여 추가 지분을 확보할 필요도 없었다. 유상감자의 경우 BGF리테일의 자금 유출이 불가피했다. 결과적으로 양사가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인 거래 기반은 IPO가 유일했다.
BGF리테일의 코스피 상장도 일본 훼미리마트와 기업공개 협약에 따른 것이다. BGF리테일이 2014년 7월 말까지 상장하지 않을 경우 일본 훼미리마트 보유 지분에 대한 위약금을 지불해야 한다. 상장하지 않으면 제3자에 대한 지분 매각이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이번 공모는 일본 훼미리마트 지분 25%의 자금 회수를 위한 것이다. 즉 공모 시장에서 아무리 대박을 쳤어도 회사와는 상관없는 셈이다.
공모 청약에 폭발적 관심…4조5000억 몰려
‘그림의 떡’ 모두 대주주 일 훼미리마트 몫
BGF리테일도 못내 아쉬운 눈치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이번 상장으로 회사로 유입되는 신규 자금은 없다”며 “이번 공모로 (일본 훼미리마트의) 지분 25%를 털어내게 됐다”고 답했다.
BGF리테일이 상장하게 되면 홍석조 회장을 비롯해 홍석현, 홍라영 등 특수 관계인들이 BGF리테일의 65.9%의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BGF리테일의 최대주주는 홍 회장이다. 홍 회장은 홍 회장은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부인 홍라희 여사의 동생이다.
BGF리테일은 1999년 삼성그룹에서 계열 분리됐다. 이후 일본 훼미리마트에서 도입한 편의점 사업이 크게 성장하면서 유통 사업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그동안 일본 훼미리마트와의 계약으로 제휴관계를 유지해오다 지난 2012년 8월 국내 독자브랜드 ‘CU'로 전환했다. BGF리테일은 CU 편의점을 운영하면서 국내 편의점 시장 점유율 1위(32%)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지배주주 순이익으로 689억원을 벌어들였다. 이번 상장으로 BGF리테일은 24년간 사업 파트너로 지내온 일본 훼미리마트와 지분관계를 정리하면서 완벽한 독자경영을 하게 된다.
청약이 끝나고 시장의 관심은 19일 BGF리테일 상장일 시초가로 쏠리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편의점 포화상태에 따른 리스크도 거론되고 있다.
최근 국내 편의점 점포수가 2만점을 넘어서면서 업계 포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조사한 ‘2014년 유통산업 전망’에 따르면 올해 편의점 시장 성장률은 8.1%에 불과하다. 성장률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추세다. 2011년 이후 편의점 수가 2만점을 돌파하면서 점포수 포화 증상 및 정부의 출점규제 등의 영향으로 성장률이 감소하는 모습이다.
CU의 무리한 점포수 확대에 따른 부실점포에 대한 지적도 나오고 있다. BGF리테일의 경우 지난해 국내 편의점업계 중 가장 많은 점포수인 7939개를 확보했다. 업계 내 포화 현상이 나타나면 편의점 업체들 간 출혈 경쟁이 예상된다.
리스크 주의
BGF리테일 관계자는 “3년, 5년 단위로 길게 보면 업계 내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다”며 “1인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편의점 업계의 성장성이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편의점 포화상태에 따라 상장 후 또 다른 성장전략이 필요하지만 뚜렷한 계획은 보이지 않는다. 이 관계자는 “상장 후 해외진출에 대한 길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아직까지 어느 나라로 진출할 것인지, 어떻게 해외로 진출할 것인지 등의 이렇다 할 구체적인 계획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
<dklo216@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