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사회팀] 김현성 예술만세 대표는 '미술계의 네이버'와 같은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작가와 컬렉터, 딜러와 대중이 모여드는 거대한 미술 허브를 그리고 있는 것. 얼핏 무모해보이지만 그는 미술계에 닥친 거대한 변화를 이미 감지하고 있다.
국내 미술작가는 모두 3만여명. 그러나 상위 5%의 유명 작가를 제외하고는 작품을 찾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여기 발상의 전환을 통해 국내 미술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사람이 있다. 김현성 예술만세 대표는 국내 작가 100여명과 함께 '아트 라이선스 에이전시'라는 새로운 사업에 도전했다.
새로운 활력소
"제가 광고디자인 회사를 한 지가 13년 정도 됐습니다. 아시다시피 업계 특성상 화가 작품을 쓸 일이 많아요. 그러다보니 여러 화가들과 만나게 됐는데…. 아니 글쎄, 국내 화가가 3만명이라는데 이 많은 작가들의 그림은 지금 다 어디 있는 거냐. 매번 '유명 화가의 똑같은 작품만 써야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죠. 사실 문화체육관광부나 협회 차원에서 미리 아카이브를 구축해놨으면 우리가 필요한 그림만 골라서 쓰면 됐는데 그런 시스템이 미술계에는 아직 없었던 거죠."
소위 '이미지의 시대'라는 21세기를 살고 있지만 이미지를 만드는 일을 하는 화가들의 현실은 척박하다. 김 대표는 한 지적장애인 디자인업체와의 협업 과정에서 '아트 라이선스' 사업에 뛰어들기로 결심했다.
"예손이라고 하는 화가들 모임이 있습니다. 이분들을 만나보니 재능은 확실히 있어요. 예쁜 엽서도 만들고, 컵도 만들고 하는데 생각보다는 잘 안 되는 것 같았어요. 그래서 우리 같은 광고회사는 늘 이미지를 쓰는데 우리가 이 재능 있는 분들을 어떻게 도울 수는 없을까. 사실 사업모델을 처음 만들었을 때는 잘 몰랐어요. 하지만 매일같이 전시회 다니고, 도록도 보고 하면서 많은 작가들을 섭외했습니다. 그리고 얘기했죠. 당신들의 '이미지'를 달라고요."
'아트 라이선스 에이전시' 도전
국내 최다 이미지 판매권 보유
예술만세는 화가가 그린 작품의 이미지를 대행해서 판매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기존 화가들이 '단 한 점의 그림'만 팔 수 있었다면, 이젠 '무한대의 이미지'를 팔 수 있게 된 것이다.
"작가들이 수입을 창출하는 방법은 단 하나입니다. 전시를 하고 그림을 직접 컬렉터에게 판매하는 것뿐이죠. 그나마 전시에서 안 팔리면 남은 그림은 모두 창고로 갑니다. 좋은 그림을 세상에 알릴 기회가 사라지는 거죠."
"그런데 저희는 이미지를 다루니까 사업 모델이 무궁무진합니다. 표지나 가방, 옷, 접시 등 무수히 많죠. 그런데 재밌는 점은요. 화가의 원작품이 누군가에게 팔려도 이미지의 소유권은 화가한테 있습니다. 즉 이미지는 지속적인 수입 보장이 가능한 지적 재산권이란 얘기죠. 물론 상속도 되고요."
김 대표는 이렇게 판매된 이미지의 사용료를 작가와 나누고, 이 수익을 다시 작가들을 홍보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예술만세의 이미지 보유량은 현재 국내 최고며, 출판계에서 특히 반응이 좋다고 전해진다.
"출판사 입장에서는 저희 같은 업체가 반갑겠죠. 실제로 수요도 많습니다. 우리가 보유한 이미지는 모두 3만점인데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이 쉽지 않았어요. (원화에 가까운) 고해상 이미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작가들 작업실마다 방문해서 촬영하고 또 이동하고. 그런데 작업실에서 얘기를 듣다보니 이분들 고민이 전시에 드는 비용 문제였어요. 몇백만원에서 몇천만원까지는 그냥 깨지는 거죠."
"그래서 우리가 작가들의 원화도 좀 걸어야겠다. 이렇게 만들어진 갤러리가 지금 대학로에 있습니다. 작가 100인과 함께 초대전과 기획전 위주로 운영 중인데 원화는 워낙 고가인 만큼 사는 사람은 정해져있다고 봐야 합니다. 솔직히 인사동 놀러온 사람이 갑자기 덜컥 갤러리 들어가서 1000만원이나 하는 고가의 그림을 사지는 않을 거 아녜요. 어쨌든 갤러리 수익 문제는 지금도 고민해야 합니다. 원화를 파는 건 쉽지 않은 일이에요."
작가+컬렉터+딜러+대중
거대한 미술허브 구상
최근까지 미술시장은 재력 있는 개인이 주도하는 측면이 강했다. 한 관계자는 컬렉팅을 시작하는 컬렉터의 기본 자산이 50억원이라고 귀띔하기도 했다. 하지만 김 대표는 개인 수준의 거래는 시장 확장성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는 기업 CEO들이 미술계에 관심을 갖고 작품을 사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요. 꼭 대기업뿐만 아니라 튼튼한 중소기업도 문화적 마인드를 가져가면서 사무실에 그림도 걸고 직원들에게 문화적 감성도 전달하고 하면 좋겠거든요. 그래서 우리도 기존의 CEO 컨설턴트 분들과 제휴를 맺고 작가들의 좋은 그림을 소개하기로 했어요. 우리 입장에서는 그들이 아트 컨설턴트 임무를 대행하는 셈이죠."
문제는 수익
김 대표는 "우리나라는 그림을 돈 주고 사는 문화가 없다"며 안타까워했다. 함께 협력한 방송국이나 공공기관도 이미지 사용료 지불에 대한 인식이 없는 게 아쉽다고 했다. 방송국은 PPL로 공공기관은 재능기부로 이미지를 채우다보니 사용료를 들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사실 딜레마는 결국 수익입니다. 좋은 일은 누구나 많이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작가들의 생계가 걸려 있는 문제입니다. 이건 제 회사 운영 때문에 드리는 말씀이 아니라 작가들 진짜 작업 열심히 해요. 하지만 연봉을 물어보면 1000만원 남짓합니다. 단돈 1만원이라도 의미 있는 수익이 나줘야 작가들도 신이 나서 더 좋은 작품을 그리겠죠. 그래서 누군가는 건강한 시장을 만들어야 합니다. 제가 그런 문화를 만드는 데 일조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김현성 대표는?]
▲1969년 서울 출생
▲동국대 국문학과 졸업
▲환크리에이티브컴퍼니 이사
▲한글문화연대 운영위원
▲예술만세 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