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선감학원이란 그 정도로 고달픈 곳이었다. 아마 자살을 한두 번쯤 생각해 보지 않은 아이는 없을 것이었다. 그런 긴장과 공포 속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유일한 방법이 그것이었기 때문이다.
용운은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은 없지만 줄곧 한 가지 생각에만 매달려 있었다.
언젠가는 이 지옥 같은 곳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었다.
귀중한 자유
‘아무런 자유도 없이 개돼지처럼 목숨을 남의 손에 맡겨 놓고 산다는 것은 얼마나 서글픈 노릇인가. 잘못도 없이 이런 지옥에 갇혀 사는 건 도대체 누구의 뜻에 의한 것인가?
남의 손에 목숨을 맡기느니 차라리 내 스스로 생명을 걸고 귀중한 자유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그리고 빨리 이곳을 탈출하여 엄마를 찾아서는 그 은은하고도 정겨운 미소를 보아야만 한다!’
용운은 몸서리를 치는 상황 속에서 입을 꽉 다물고 있었다. 그의 눈은 종이꽃을 태우기라도 할 듯이 활활 타올랐다.
녹음이 절정을 이루면서 산비탈 밭엔 보리가 익고, 낮엔 뻐꾸기가 아련한 향수(鄕愁)를 자아 올리며 울고, 밤이면 숲속에서 소쩍새가 구슬피 울었다.
그 즈음 마을의 어느 집에 굿이 있었다.
용운은 다시 백곰 반장의 비밀스런 지시를 받고 피에로와 함께 마을로 나갔다. 피에로는 굿 음식 얻어오기, 용운은 하얀 옷을 입은 절름발이 누나에게 쪽지를 전하는 것이 주어진 임무였다.
“얌마, 꼭 희망적인 답장을 받아와야 해. 알았지? 이건 지상명령이다!”
떠나기 전 백곰은 용운을 한 구석으로 불러 지시했던 것이다.
“혹시 안 주면 어떡해요?”
“이 새끼가 정신상태가 글러먹었군. 얌마, 하면 된다! 안 되면 되게 하라! 신성하고 위대한 이 혁명 구호도 몰라? 무슨 수를 쓰든 꼭 답장을 들고 와야만 해. 만약 빈손으로 왔다가는 바다 속에 처넣어 버릴 거야. 알았지?”
“예.”
용운은 마지 못해 대답을 했다. 그의 위악적이고 징그러운 미소가 보기 싫어 용운은 고개를 숙였다.
“어서 가 봐.”
“그 누나가 정말 싫다고 하면 어찌해요?”
“염려 붙들어 매고 된다고 구호를 외치면서 정신무장을 단단히 하란 말이야. 허허, 내가 어젯밤에 상당히 감미로운 꿈을 꾸었으니 걱정을 마. 허허, 처남 빨리 출동하라구! 예쁜 누나한테 말이야.”
백곰 반장의 유들유들한 말을 뒤로 하고 용운은 기다리던 피에로를 향해 뛰어갔다.
여름 볕은 따가웠지만 그 속에 따스함도 간직하고 있었다. 수용소의 억압으로부터 벗어나 잠시나마 해방감을 느낄 수 있는 그 순간이 용운은 너무나 소중하다는 듯 살포시 미소를 지었다.
생기를 띠고 자라나는 들판의 벼와 푸른 산빛을 용운은 눈부신 듯 바라보았다.
“구름아, 반장이 뭐라구 했어?”
피에로의 물음에 용운은 정신이 들었다.
백곰반장의 비밀스런 지시
그저 잠시나마 느낀 해방감
“특급비밀이라면서 아무한테도 말하지 말래.”
“그래? 그럼 난 머릿속으로 그게 뭘지 상상해 봐야지. 마치 영화라고 생각하구서 쭉 생각해 보면…… 현재뿐만 아니라 구름이 너가 모를 미래까지도 대강 알 수 있거든.”
“형아, 어떻게 되는데? 답장을 받을 수 있을까?”
“헤헤, 특급비밀이 뭔지 알았다. 그럼 이제 가만 있어 봐. 영화 필름을 한번 돌려 볼게.”
피에로는 눈을 슬며시 감은 채로 계속 걸었다. 용운은 그의 얼굴을 유심히 쳐다보았다.
“음…… 카사블랑카의 눈에 어린 눈물이 보인다……. 잉그리드 버그만은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비련의 여인……. 험프리 보가트는 떠나라고 말하지만 사실은 자기 품에 남기를 바란다……. 에~ 그러나 여기는 할리우드가 아니라 선감도이기 때문에 백곰은 결국 아름다운 인어를 잡게 된다. 아! 슬픈 눈물 방울이 진주처럼 두 뺨에 굴러 내리네…….”
피에로가 변사 흉내를 내어 억양을 이리저리 바꾸며 읊조렸다.
“안 돼. 착하고 고운 누나가, 아니 인어가 백곰 같은 흉한 놈에게 잡혀서는 안 돼.”
용운은 저도 모르게 울상을 지으며 중얼거렸다. 피에로가 눈을 슬금 흡떠서 우스꽝스런 표정을 지었다.
마을이 가까워지자 꽹과리와 피리 소리가 들려왔다. 음률도 제대로 맞지 않고 또 빈약한 소리였지만, 마을 자체가 워낙 작고 고적했던지라 일종의 잔치 기분을 느끼게 했다.
피에로의 뒤를 따라가던 용운은 우선 산기슭의 그 누나 집부터 가 보려 하다가 일단 굿 장단이 들려오는 집으로 들어갔다.
작은 마을에서 그나마 가장 번듯한 그 집의 대문 앞에는 이미 낯익은 다른 사(舍)의 원생들이 꽤나 먼저 와서 눈을 번들거리고 있었다.
푸르스름한 하늘 아래 멍석을 깐 마당에서는 한창 굿이 벌어지고 있었다.
굿상 중앙에는 삶은 돼지머리가 놓였고 그 둘레에 생쌀을 수북이 담은 그릇, 시루떡, 인절미, 그리고 배, 사과, 참외 등속이 줄느런했다. 상머리 위에 붉고 희고 노란 삼색 종이꽃이 꽂혔고 향로엔 향연이 피어 오르고 있었다.
나지막이 울리던 꽹과리 소리가 점점 고조되었다. 늙은 무당은 비손을 한 채 먼 허공을 우두망찰 올려다보고 있더니 사설을 읊조리기 시작했다.
굿판의 임무
“에헤야~ 해동 조선국 경기도 선감도라
해신님 굿받아 은관자 옥관자 쓰고 오시네
산은 몇 넘으셨나 물은 몇 건느셨나
에~ 오소사 오소사~ 산신님 해신님 오소사
정성 즐겨이 받으시고 잔마다 명과 복을 실어서
자손들이 크게 되고 부자 되게 도와주소사
바람 불던 전날 같고 비 오다 갠 날같이
만사를 다 도와서 요물사귀 소멸하고
많이 받아 잡수시고 극락 가소사 에헤야…….”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