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전문]
요즘 온라인상에서는 P2W(Pay to win)이라는 용어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P2W는 말 그대로 ‘이기기 위해 돈을 지불’하는 형태로, 게임에서 승리하기 위해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행위 또는 이러한 행위를 유도하는 구조를 뜻합니다.
그렇다면 최근 P2W가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P2W를 소개하기에 앞서 한국의 게임 시장을 짧게 알아야 하는데요.
지난해 한국 게임 시장의 규모가 20조원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이 소식이 마냥 달갑지만은 않았습니다.
그 이면에는 게임사들의 ‘과도한 과금유도 시스템’이라는 구조가 있었기 때문이죠.
유독 2021년의 한국 게임업계는 바람 잘 날 일이 없었습니다.
특히 3N이라 불리는 한국의 대표적인 온라인 게임 기업인 넥슨, 엔씨소프트, 넷마블이 과도한 과금정책을 펼치며 유저들의 빈축을 샀고, 트럭 시위로까지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국내 내로라하는 게임들인 마비노기, 메이플스토리, 에픽세븐, 리니지 등의 유저들은 커뮤니티를 통해 시위 모금 활동을 진행했고, 덕분에(?) IT기업들이 몰려있는 판교에서 심심치 않게 시위 트럭을 볼 수 있었죠.
하지만 이런 와중에도 유저 친화적인 운영으로 소위 말하는 ‘갓겜’이라는 칭호를 받은 게임이 있습니다.
바로 스마일게이트의 ‘로스트아크’입니다.
그리고 지난 2월, 국내 유저들의 호응에 힘입은 로스트아크는 게임 플랫폼 ‘스팀’을 통해 북미·유럽·남미·호주 등 160여개국에 정식 서비스를 오픈했습니다.
그리고 결과는?
최고 동시 접속자 132만명이라는 스팀 역대 2위 기록을 달성하며 전례 없는 성과를 이뤘는데요.
덕분에 한국의 글로벌 문화산업이 미디어에 이어 게임까지 흥행했다는 호평이 이어졌죠.
그리고 서비스 출시 약 한 달이 넘은 지금, 해외 유저들 사이에서 ‘로스트아크는 P2W 게임’이라며 불만을 표출하는 유저들이 생기기 시작했고, 이를 본 국내 유저들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이 펼쳐졌습니다.
그 이유는 P2W를 해석하는 기준이 조금씩 달랐기 때문입니다.
게임의 과금 구조는 굉장히 다양합니다.
과금을 지불하고 ▲스펙이 높은 아이템을 구매하는 경우 ▲게임 속 재화를 구매하는 경우 ▲랜덤박스를 구매하는 경우 ▲아이템의 강화 및 업그레이드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물론 로스트아크에도 이러한 과금 시스템이 존재하기 때문에 P2W로 바라보는 시선이 있죠.
반면 로스트아크를 ‘과금하지 않아도 성장할 수 있는 T2W(Time to win)’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긴 하지만, 로스트아크는 과금을 지불하지 않아도 과금러들만큼 성장하는 것이 가능하긴 합니다.
게임사가 게임을 운영하기 위해선 수익을 내야 하는데, 수익구조와 과금 유도의 정도에 따라 저마다 해석이 달라지니 ‘로스트아크를 P2W 게임으로 봐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는 것이죠.
P2W라는 뜨거운 감자 속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로스트아크, 이번 논란을 잠재우고 장기흥행 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총괄: 배승환
내레이션: 강운지
기획&구성&편집: 배승환/김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