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 발전하고 창업시장 역시 진화한다. 세상이 아무리 어수선하다고 해도 변화와 혁신은 불가역적이다. 올해 역시 미래지향형 업종들은 발전했고, 프랜차이즈 산업은 자영업의 브랜드화와 투자 유치 및 M&A를 통한 기업형 프랜차이즈화 움직임을 많이 보였다. 공정한 경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하는 사회적 요구는 줄어들지 않으면서 창업시장의 법적 제도적 성숙도 이뤄졌다.
한때 정크푸드라고 인기가 시들했던 햄버거가 대중을 사로잡았고, 샌드위치 등 간편식도 인기를 끌었다. 수제 햄버거 등 트렌디한 메뉴를 선보이고, 에그 샌드위치 등 신메뉴를 내자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현상은 불황기의 새로운 외식 트렌드를 보여준다.
신메뉴
코로나19 사태로 주머니가 가벼워지며 한 끼 식사를 간단히 때울 수 있는 ‘생계형 외식’이 확산되고 있는데다, 저렴하고 배달·포장이 용이해 건강식 패스트푸드의 성공 방정식이 먹히고 있다. 당분간 불황이 이어진다면 아주 새롭고 실험적인 메뉴보다는 기존 메뉴에서 건강식 메뉴를 추가하고 가성비와 편의성을 높이는 전략이 창업시장에서 유망할 수 있다.
카페샌드리아는 수제 건강식을 내세워 올해도 많은 인기를 끌었고, 에그샌드위치 에그존과 샐러드 배달전문점 그린스미스도 가성비를 내세워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들 업종은 간단히 끼니를 때울 수 있는 외식업종으로 웰빙, 소자본 창업, 배달이라는 키워드에 맞아 꾸준히 점포가 증가하고 있다.
버거 전문점 역시 ‘배달 및 포장 주문’과 ‘가성비’라는 키워드에 맞으면서 성장했다. 과거 햄버거가 빠르고 간편하게 때우는 값싼 정크푸드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엔 건강과 맛을 강조한 버거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는 게 그 이유가 된다.
‘마미쿡치즈버거’는 간편식, 웰빙, 가성비, 카페형 점포 등 창업시장 키워드에 딱 맞는 업종으로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배달 붐과 함께 더욱 인기가 올라가고 있다. 마미쿡치즈버거의 특징은 모든 메뉴에 젊은 층이 아주 좋아하는 고급 모짜렐라치즈가 들어간다는 점이다. 두꺼운 100% 천연 치즈 1장이 통째로 들어가는데, 젊은 층 고객들은 리얼 버거와 치즈 맛에 열광해 반응이 좋다.
이 밖에 신세계푸드의 노브랜드버거는 올해만 100개 이상의 점포를 오픈했고, BHC와 이마트24, 이삭토스트, 채선당, 미니스톱 등도 신규 버거 브랜드를 출시하면서 코로나19 이후 버거 시장이 또 한 번 도약기를 맞이했다. 모두 건강식 메뉴를 추가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수제 베이커리 전문점도 도심 외곽 지역이나 지방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해외여행이 막히면서 상대적으로 국내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 속에 도심 외곽 지역에서 다양한 베이커리와 커피 및 음료를 판매하는 카페의 성장이 돋보였다.
또 지방 읍내 지역에서도 브랜드가 있는 베이커리 카페가 큰 인기를 끌었다. 수제 베이커리 카페 ‘마크빈’과 ‘크로엔젤’은 도심과 도심 외곽 지역, 그리고 지방 중소도시에 속속 입점 후 많은 인기를 누려 내년의 도약을 예고하기도 했다.
한 끼 간단히 ‘생계형 외식’ 확산
웰빙·소자본·배달 키워드로 증가
프랜차이즈 업계에 본격적인 ESG 경영, 즉 환경 보호(Environment)·사회 공헌(Social)·윤리경영(Governance)이 시작되었다. 코로나19 이후 세상은 기업을 바라보는 시각이 완전히 바뀌었다.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은 단순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차원을 넘어서 이제 필수로 인식돼 기업의 의무로 전가되고 있다.
지구 환경 보호에 대해서도 기업에 요구하는 수준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나아가서 이제 기업은 윤리경영 차원을 넘어서는 지배구조로 투명한 외부 감시 감독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들은 가맹점과 상생 발전은 기본이고, 가맹본부와 가맹점 등 브랜드 공동체가 사회적 책임을 더욱 많이 분담해야 하는 의무를 지게 됐다. 브랜드 공동체가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구성요소라는 것을 소비자에게 심어줄 때 그 브랜드는 지속적인 성장을 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사회 공헌 활동이 면피용이나 마케팅 수단으로 단순히 보여주기 식이 아니라 지속성, 진정성, 실질적 효과성이 점점 더 요구되고 있다.
개정된 가맹사업법에 의하면 앞으로는 직영점 1개를 1년간 운영해야만 가맹점을 모집할 수 있게 됐고, 가맹점 사업자 단체의 교섭권도 실질적으로 인정되면서 가맹본부와 가맹점이 동반자 관계로 발전하는 법적 제도적 기준이 정비됐다.
한편, 올해는 프랜차이즈 업계의 M&A(기업합병)도 활발히 일어났다. 중견 프랜차이즈 브랜드인 노랑통닭, 메가엠지씨커피, 크린토피아,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반올림피자샵 등이 사모펀드에 매각됨으로써 프랜차이즈 업계의 새로운 피가 수혈되기도 했다.
이제 프랜차이즈 산업은 영세 자영업자가 가맹점을 모집해 브랜드화하는 부분과 어느 정도 성장한 브랜드에 외부의 큰 자본이 투자돼 전문 경영인이 운영하는 기업형 프랜차이즈로 나뉘며 두 부류가 공존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마치 벤처가 스타트업에서 출발해 투자를 받고 M&A 과정을 거치거나 상장을 통해 성장하는 흐름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피
근본적으로 자본과 경영전략이 개입돼야만 산업이 발전하고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프랜차이즈 산업이 양적 팽창을 넘어서 질적으로 성숙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