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배우 공유에게는 특별한 특징이 있다. 드라마에서는 스타성을 극대화하는 반면, 영화에서는 사회적 메시지를 던지거나, 새로운 도전을 하는 데 두려움이 없다는 것. <도가니>를 시작으로 <밀정> <부산행> <남과 여> <82년생 김지영>까지, 누군가가 선뜻 발 딛기 어려운 작품을 주저 없이 선택한 그다. 신작 <서복>에서도 실험정신을 발휘한다. 이번에는 삶과 죽음에 대해 묻는다.
부귀영화의 극단을 누린 진시황이 마지막에 바라본 것은 ‘생명 연장’이다.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욕망을 만끽한 그가 마지막으로 바란 것은 수명이었다. 그 욕망을 채우기 위해 희생된 인물이 진시황의 신하인 서복이다.
욕망의 끝
약 8000여명의 일행을 이끌고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불로초를 구하려 했던 서복은 끝내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했다는 전설을 남겼다.
이용주 감독의 신작 제목이 <서복>인 이유는 기원전 200여년 전 서복의 삶과 연결된다. 과거의 서복이 진시황의 죽지 않는 삶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쳤 듯, 영화 속 복제인간 서복(박보검 분)은 인간의 영원한 생명을 위해 태어났다.
줄기세포 복제와 유전자 조작으로 탄생했다. 그의 존재 이유는 무수한 인간에게 무한한 생명을 주는 것. 마치 돼지에서 인슐린을 빼내듯, 연구원들은 서복으로부터 인간에게 필요한 에너지를 매일 추출한다.
이성과 감정이 모두 존재할 뿐 아니라 생김새도 인간과 똑같은 서복은 그를 탄생시킨 과학자들로부터 개·돼지와 다름없는 수준의 대우를 받는다.
이 영화에서 공유가 맡은 배역은 뇌종양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은 전직 정보부 출신 기헌이다. 매일 머리가 깨지는 고통 속에서 마약 수준의 진통제로 하루를 견디는 인물이다. 과거의 죄책감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죽느니만 못한 삶을 살고 있다. 그래도 살 수만 있다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는 의지가 있다.
기헌은 선배 정보원으로부터 제안을 받는다. 서복을 다른 지역까지 운송해달라는 요청이다. 일이 잘되면 서복을 통해 목숨을 구제해주겠다고 한다. 그 과정에서 서복의 삶을 알게 된다. 그에게도 희노애락이 존재함을 깨닫는다.
서복은 기헌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예민한 질문을 이어간다. “너를 내가 왜 살려줘야 하지? 너는 그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인가?”
시나리오에 있는 이 대사가 자연인 공유를 자극했다. 이는 “인간은 무한히 살 가치가 있는 존재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서복>의 주제 의식에 해당한다.
“<서복> 시나리오를 읽고 저한테 이 질문이 던져졌어요. 어떻게 보면 답이 있는 당연한 질문 같은데, 대답하려니 대답이 잘 안 나왔어요. ‘영화를 찍다 보면 답이 나오겠지’라는 생각도 했었는데, 아직도 답을 못 얻었어요. 죽을 때까지 물어봐야 하는 질문이 아닐까 싶네요.”
<서복>서 시한부 선고 받은 국정원 요원
“소모적인 시나리오는 손이 가질 않네요”
“우리의 삶은 어떤 가치를 지니나요?”
이번 작품에서 공유는 많은 것을 준비했다. 먼저 엄청난 체중 감량에 돌입했다. 그 결과 퀭한 낯빛으로 스크린에 나온다. 죽어가는 사람의 얼굴을 표현하기 위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아울러 과거 동료를 구하지 못한 죄책감에 시달리는 인물이다. 자신 때문에 동료가 죽었다는 것에 심하게 자책한다. 그 괴로움과 예민함이 기저에 깔려 있다. 스스로 죽어 마땅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삶에 대한 의지는 놓지 못하는 인물이다. 복합적인 감정을 표현해야 했다.
“자연인 공유가 어떤 인물화가 된다는 게 아직도 재밌어서 배우를 놓지 못하는 것 같아요. 살을 빼고 힘겨운 감정을 상상하는 등의 행위가 고통스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제가 살아있음을 느껴요. 모든 인간은 유한한 삶을 살잖아요. 기헌은 특히 죽을 날짜를 받고 기다리는 존재죠. 저도 실제로 경험해보지 못한 거라 그게 얼마만큼의 고통인지는 헤아리지 못했어요. 그저 작은 일에도 예민하지 않을까 싶었고, 평소와 어떤 순간의 반응이 막 오락가락하지 않을까 싶었어요. 유한한 생명을 가진 인간을 표현하기 위해 많이 고민하긴 했는데, 대답이 쉽지 않네요.”
영화는 끊임없이 역설적이다.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 탄생한 서복은, 누가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서 재앙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인간의 존엄에 차별성을 갖는 사람의 손에서 활용된다면 세상은 그야말로 살아있는 지옥이 될 테다. 누구는 영원히 살고, 누구는 죽게 될 테니까.
서복이 평생 실험체로써 유전자를 만들어 내 수많은 사람을 살려내는 일을 한다고 했을 때, 과연 서복이 느끼는 불행함은 누가 대신해줄 수 있을까. 인간은 가치가 있는 존재이고, 인간과 다름없는 존재는 가치가 없는 것일까. 영화는 2시간 내내 삶과 죽음, 인간의 가치에 대해 물어본다.
“저 역시 연기를 하면서 끊임없이 생각했어요. 나의 삶의 가치를 어디에 둬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요. 예전에는 안 그랬는데, 이제는 매일을 소중히 살려고 해요. 미래에 대한 걱정도 많고 과거에서 허우적대는 일도 많았어요. 이제는 되도록 감사함을 갖고 충실한 하루를 보내려고 하죠. 요즘 전 세계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잖아요. 저뿐만 아니라 많은 분이 저와 비슷한 생각을 하지 않을까요. 지금의 정답은 주어진 24시간을 잘 쓰자입니다.”
공유는 스타성과 연기력을 동시에 인정받는 배우다. 드라마와 영화를 넘나들며, 어떤 채널에서든 자신의 역량 이상을 발휘한다. 그가 출연하는 작품은 언제나 이슈가 된다. 그런 공유에게서 변화하는 점이 있다면 시나리오를 고르는 것이다. 점점 더 어려운 작품에 손이 간다는 그다.
주제의식
“단순 소모적인 이야기에는 손이 잘안가요. 시나리오가 저에게 울림과 깊은 고민을 주는 작품에 흥미가 생겨요. 예전보다 점점 더 심해지고 있어요. 아마 앞으로도 계속 깊은 주제의식이 있는 작품으로 찾아뵙지 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