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배우 설경구가 처음으로 먼 과거로 갔다. 갓을 쓰고 한복을 입고, 턱에 수염을 붙였다. 소시민의 삶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던 그가 간 곳은 조선 말기 흑산도다. 정약용의 형인 정약전을 연기한다. 새 영화 <자산어보>에서다.
배우 설경구의 연기에는 독한 맛에 있다. 강하고 진한 맛이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국군으로 현장에 투입됐던 <박하사탕>의 영호, 연쇄살인마를 쫓는 돌아이 경찰이었던 <공공의 적>의 철중, 김일성의 목을 베기 위해 인간 흉기가 됐던 <실미도>의 인찬, 김정일을 연기하다 실제 김정일이 돼버린 <나의 독재자>의 성근, 불한당 그 자체였던 <불한당:나쁜 놈들의 세상>(이하 <불한당>)의 재호 등 30년에 육박하는 시간이 담긴 그의 작품 목록에는 지독한 인간의 본능이 날뛰었었다.
조급했던 과거
일부 역할 중에서는 소탈하고 인간적이기도 했지만, 그 평범함 속에서도 울분이 그득했다. 연극배우 출신으로 인물이 느끼는 감정을 오롯이 표현하기 위해 하루 전부터 진한 감정을 입에 물고 연기에 임하고자 했던 곧은 태도를 지녔기에, 설경구의 얼굴에는 다른 배우에게서 볼 수 없는 독기가 서려 있었다.
그런 그가 이번에 맡은 배역은 인생을 통달한 듯 만물을 넓게 바라보는 조선의 대학자다. 부패한 관료들로 인해 시스템이 마비된, 피폐해진 나라를 개인이 회생시킨다는 게 불가능하다고 여겨 흑산도라는 우물로 들어와 새로운 인생을 살게 된 정약전을 연기했다.
태생부터 양반과 상놈이 정해진 시대에, 모든 인간에겐 존중받을 권리가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임금도 필요 없다고 여긴 개혁적인 사상을 가진 인물이다. 나이와 성별 상관없이 모든 사람과 편하고 즐겁게 지내고자 하는 사람이었다.
시스템이 마비된 조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올바른 마음을 가진 관료의 행정이 아닌, 백성이 배불리 먹을 방법이라 여기고 이를 고민한 학자다. 배우 설경구는 모든 이를 포용할 수 있는 어진 마음을 가진 약전을 훌륭히 표현해낸다.
“감독이 똑똑한 거다. 제가 어찌 인생을 통달한 사람이겠나. 여전히 하루하루 불안함을 느끼며 살고 있다. 대본에 충실했다. 인생을 통달한 인물로 비쳤다면, 그 공은 감독님과 제작진의 몫이고, 주위 동료들의 덕이었다.”
<소원>에서 이준익 감독과 호흡을 맞춘 설경구는 사극을 준비하고 있던 이 감독에게 시나리오를 달라고 졸랐다. 고칠 시간이 필요하다고 한 이 감독이 일주일 만에 건넨 시나리오가 <자산어보>다. 처음에는 제목도 그렇게 눈길이 가지 않았고, 약전이라는 인물도 크게 와닿지 않았다고 한다.
“어류를 중심으로 하는 영화인데, ‘이게 뭐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는 내 대사 위주로 읽어서 잘 몰랐는데, 세 번째 읽을 때는 눈물이 나더라. 나이를 먹어서 그런 건지 몰라도, 서서히 쌓인 감정이 마지막에 눈물로 터지더라. 그 눈물이 좋았다.”
이준익 감독이 원했던 감정을 설경구가 그대로 느껴버린 것. 이 사실을 알렸더니, 이 감독이 매우 고마워했다는 후문이다. 펑펑 우는 것이 아닌 차곡차곡 쌓여서 ‘핑’하고 흐르는 눈물의 힘이 영화 <자산어보>에도 담겨있다.
<자산어보> 정약용 형 정약전 연기
백성 배불리 먹을 방법 고민한 학자
약전과 창대 듀오가 영화의 줄기다. 약전의 이야기로 흐르는 듯하다가 창대가 바통을 이어받는다. 창대는 정약용이 쓴 <목민심서>의 가치를 표현하고, 약전은 <자산어보>를 만드는 마음을 드러낸다.
젊은 혈기로 입신양명해 자신이 배운 학문을 정치로서 활용하고 싶은 창대와 백성을 진짜 위하는 길은 무엇인가를 고민하는 약전의 내공이 충돌한다. 설경구는 대학자이자 급진 개혁파이지만, 태생 자체가 양반인 약전의 한계까지 담아 입체적으로 표현한다.
“대사에 양반도 상놈도 필요 없고, 임금도 없어도 된다고 한다. 어쩌면 아주 위험한 인물이다. 급진적이라는 표현으로 다 설명할 수 없다. 아무리 수평적인 사상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태생적으로 양반이라는 한계는 있을 것으로 봤다. 자기도 모르게 양반의 습성은 튀어나오는 모습인 것이다. ‘상놈의 자식’이라는 말도 아이러니하게 뱉는 거고. 인간이라서 어쩔 수 없는 아이러니가 있지 않았을까 여기며 연기했다. 적어도 양반의 습성은 놓치지 않으려고 했다.”
<박하사탕>으로 세상에 알려질 때 이미 최고의 연기로 평가받은 그다. 연극판에서는 이미 알아주는 실력파였다. 연극 포스터를 붙이던 아르바이트생에게 극단 ‘학전’의 김민기 사장이 손을 내밀면서 그의 배우 인생이 시작됐다. 국내에서 유명한 연극 <지하철 1호선>의 초연 배우로 출발해 어느덧 30년 경력에 육박한다.
그런 그에게 변곡점이 있었다면 영화 <불한당>이다. 어딘가 나사가 빠진 듯 설렁설렁 행동하지만, 모든 세포가 날카롭게 서 있어 자신을 짓누르려는 사람들을 모두 짓밟고 일어선 재호를 연기한 후 그에게는 많은 팬이 생겼다.
외모는 점점 더 멋있어졌다. ‘지천명 아이돌’이라는 새로운 별명을 얻은 것도 그 영화 이후다. 내적인 변화도 그때부터 일어났다.
“<불한당> 전만 해도 나는 매우 조급했다. ‘언제 연기를 그만두나’를 생각하며 살았다. <불한당>을 하기 위해 변성현 감독을 만났을 때 내가 그런 말을 했다. ‘나는 지금 낭떠러지로 떨어질 것 같다’고. 계단을 밟고 내려가고 싶은데, 추락할 것 같다고 토로한 적이 있다. 그러니까 변 감독이 계단으로 내려오게 해주겠다고 했다. 겨우 두 작품을 한 감독이 그랬다. 그때 이상하게 믿음이 갔고, 그 영화를 하고 나서 편해졌다. 여유가 생겼다.”
<자산어보>가 개봉한 뒤에도 그의 영화는 줄줄이 대기 중이다. <킹메이커> <야차> <더 문>은 이미 촬영이 모두 끝났으며, <유령>은 촬영 중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역사적인 위기를 겪고 있는 그도 다른 사람들처럼 단절된 세상을 경험하고 있다고 한다.
이젠 여유롭게
“전 세계적으로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 나 역시 단절된 듯한 느낌이 많이 들어서 힘들다. 그래도 이겨내면 된다. 골짜기가 깊으면 봉우리가 높다고 했다. 언젠가 높은 봉우리에 오를 날이 있다고 여기고 모두가 버티고 견뎌 이겨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