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전문]
미쓰에이, 티아라, 시크릿, AOA, 볼빨간 사춘기, 이 그룹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한때 국내 정상급 아이돌로서 대중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그룹 내 불화로 인해 멤버가 탈퇴하거나 해체된 걸 그룹이라는 점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몇몇 아이돌 그룹의 대표적인 불화설과 이런 불화설이 끊이지 않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12년경 그룹 티아라의 멤버 화영이 그룹 내에서 왕따를 당한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불화설이 불거졌습니다.
당시 티아라 소속사 김광수 대표는 왕따 논란에 대해 "팀의 존속을 위해 화영을 탈퇴하기로 했다"고 밝히면서 화영 왕따설은 기정사실로 굳어졌습니다.
하지만 사건 발생 5년 후 티아라의 전 스태프로 추정되는 사람이 멤버들과 화영 자매의 메신저 대화를 공개하면서 당시 왕따 사건이 재조명을 받게 되는데요.
스태프는 화영의 태도를 지적하면서 "누가 누구를 따돌린 건지 모르겠다"며 당시 왕따 사건의 전말이 모두 드러나게 됩니다.
2015년 그룹 시크릿의 멤버 한선화는 자신의 SNS에 의미심장한 글을 올렸는데요.
그건 바로 TV 예능 프로에 출연한 멤버 정하나의 발언을 저격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이후 네티즌들 사이서 불화설이 불거졌습니다.
이에 대해 리더 전효성이 해명에 나섰지만, 한선화는 해명에 대한 저격글을 또 올리면서 불화는 기정사실화됐습니다.
결국 이듬해 한선화는 소속사와 계약을 종료하면서 시크릿을 탈퇴하기에 이릅니다.
미쓰에이의 불화설도 이 즈음에 불거지기 시작합니다.
멤버 수지의 왕따설이 제기되면서부터인데요.
네티즌들은 그 원인으로 2012년 개봉한 영화 '건축학개론'을 지목하고 있습니다.
멤버 수지를 국민 첫사랑으로 만들어준 영화지만 영화 촬영과 홍보 등 개인 활동이 잦아지면서 미쓰에이의 앨범 준비에 차질이 생긴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후 영화, 드라마 등 수지는 배우의 길을 걷게 되고 결국 2017년 12월27일 공식 해체됐습니다.
2인조 그룹 볼빨간 사춘기의 불화설은 멤버 우지윤이 그룹을 탈퇴하고 안지영과 우지윤이 서로 SNS를 언팔하면서 불거졌습니다.
남은 멤버 안지영이 방송을 통해 “불화가 아닌 탈퇴”라고 밝혔지만 두 사람이 SNS에 남긴 글에는 서로에게 서운한 감정들이 드러나 있었습니다.
네티즌들은 소속사가 너무 안지영에게만 스포트라이트를 집중해서 생긴 불화라고 지적하고 있는데요.
자세한 속사정은 당사자들만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룹 AOA의 경우 전 멤버 권민아는 리더 지민으로부터 지속적인 괴롭힘을 당했다고 폭로해 불화설이 확인됐는데요.
이후 지민은 “권민아를 찾아가 사과했다”고 밝혔지만 “사과하는 사람의 태도가 아니다”라며 권민아의 추가 폭로로 이어졌습니다.
결국 논란이 계속되자 지민은 AOA 탈퇴 및 연예계를 은퇴하면서 사건은 일단락됐습니다.
그럼 아이돌 그룹에서 이런 불화설이 계속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째 숙소에서의 단체생활 및 합숙 문화
국내 아이돌의 대부분은 소속사의 인큐베이팅 시스템에 의해서 만들어집니다.
수년간 소속사의 혹독한 트레이닝을 받으며 다른 연습생들과 치열한 경쟁을 거쳐 데뷔로 이어지는데요.
데뷔 이후에도 대부분의 아이돌은 숙소생활을 이어 나가게 됩니다.
하지만 감수성이 예민한 10대, 20대들이 모여 있는 만큼 멤버 간에 불만과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는데요.
그러나 오직 데뷔와 성공이라는 목표 아래에서 불만의 목소리는 묵살되기 마련입니다.
두 번째 서열문화
매니저가 그룹을 24시간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소속사는 그룹 내에서 리더를 정하고 그에게 힘을 실어주게 되는데요.
이 경우 그룹 내에서도 갑과 을이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 밖에도 멤버 간의 나이 차이에서 발생하는 상명하복도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갑과 을이 존재하고 상명하복을 지켜야 하는 그룹에서 불만이 없을 수가 있을까요?
세 번째 멤버 간의 인지도와 수익 배분
팀원으로서 모두 노력했지만, 모두가 똑같은 인지도를 얻는 건 아니죠.
특정 멤버에게 인지도가 쏠리는 경우는 아이돌 계에서 흔한 일입니다.
결국 인지도가 높은 멤버는 개인활동이 많아지게 되고 결국 불화의 씨앗이 되고 마는데요.
예를 들어 있는지도 높은 A 멤버가 개인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을 다른 멤버들과 똑같이 분배하는 것에 불만이 생겨 개별 정산을 요구하게 되고 회사가 이를 받아들입니다.
하지만 이후 B 멤버가 큰 인기를 끌게 되면서 개인활동이 시작되고 수익을 독차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나머지 멤버들은 피해를 봤다며 A 멤버를 비난하게 되고 결국 그룹은 해체 수순을 밟는 식입니다.
실제로 이 같은 상황은 자주 벌어진다고 하네요.
네 번째 7년 차 징크스
대부분 소속사 입장에서 그룹이 데뷔하고 3년까지는 적자 상태지만 이후부터는 많은 수익을 벌어들이게 되는데요.
국내 소속사들은 약속이나 한 듯 계약 기간을 7년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룹이 재계약을 논한다는 것은 그룹의 성공을 뜻합니다.
하지만 재계약을 결정할 때가 되면 멤버들 간에 이해관계나 상황이 달라집니다.
탄탄하게 입지를 다지는 멤버가 있지만, 그룹이 아니면 활동이 불가능한 멤버도 존재하게 됩니다.
결국 멤버들 각각 다른 조건의 계약을 회사에 요구하게 되고 이 과정서 감정이 상하거나 상처를 입은 멤버가 떠나거나 그룹을 해체하는 일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