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바랜 이우현 OCI 부회장 청사진

‘질척질척’ 적자 수렁에 빠지다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글로벌 태양광시장의 한파에 신음하던 OCI가 국내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생산 중단을 결정했다. 글로벌 태양광시장서 최후 승자로 남고자 했던 당초 계획은 일정부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우현 부회장의 리더십에 흠집이 난 형국이다.
 

▲ 이우현 OCI 회장

OCI는 오는 20일부터 전북 군산공장의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생산을 중단한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김택중 OCI 사장은 전날 열린 4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서 “폴리실리콘 가격이 매년 낮게 형성 중이고, 반등하더라도 군산공장은 이를 맞추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마이너스

업계에서는 OCI가 초강수를 둔 것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반등을 기대하기보단 사실상 한계에 다다른 재무상태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더 컸다는 분석이다. 일제히 뒷걸음질 친 OCI의 지난해 주요 실적지표가 이를 뒷받침한다. 

지난 2018년 1500억원대 영업이익을 올렸던 OCI는 눈덩이처럼 불어난 손해를 감당하지 못했고 결국 영업손실액만 1807억원에 달하는 충격적인 2019년도 성적표를 공개해야만 했다. 당기순손실 역시 8093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무엇보다 4분기 부진이 결정적이었는데, 이 시기에만 영업손실 643억원, 당기순손실 6626억원을 기록했다. 2018년 4분기부터 시작된 ‘적자의 고리’는 끝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 한마디로 총체적 난국이다.


OCI가 부진에 빠진 건 2년 전부터 본격화된 업황 부진에 기인한 바가 크다. 2018년 중국 정부는 태양광발전소 설치에 투입되는 정부 보조금 축소를 발표했고 곧바로 글로벌 태양광시장은 냉각기에 접어들었다. 업체들은 뒤늦게 생산량 조절에 나섰지만 이미 시장에는 수요처를 찾지 못한 태양광용 폴리실리콘이 대량으로 풀려 있던 상태였다. 이제 남은 수순은 폴리실리콘 가격 폭락뿐이었다.

실제로 에너지시장조사기관 PV인사이트에 따르면 2018년 1월 ㎏당 17달러 선에서 형성됐던 폴리실리콘 스팟 가격은 지난해 초 ㎏당 9~10달러까지 급락한 데 이어, 급기야 올해 초에는 ㎏당 7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

㎏당 400달러 선에서 거래되던 2009년과 비교하면 약 10년 만에 폴리실리콘 가격은 87% 폭락했다. 폴리실리콘 손익분기점이 ㎏당 13달러인 점을 감안하면 OCI는 지난 2년간 손해를 감수하며 힘겨운 버티기를 해왔다고 봐도 무방하다.

국내 태양광 폴리실리콘 생산 중단 결정
극복 가능? 눈앞에 닥친 재무 개선 불똥

OCI는 오는 20일부터 군산공장의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생산을 중단하고 정기보수를 거쳐 오는 5월 1일부터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생산 공장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한 상황이다. 대신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생산은 말레이시아 공장서 도맡아 원가를 25% 이상 절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재계에서는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국내 생산 중단 소식이 이우현 부회장 체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로 연결될 지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이 부회장은 OCI그룹 창업주인 고 이회림 명예회장의 장손이자 고 이수영 전 회장의 장남인 오너 3세 경영인이다. 2013년 대표이사 부임과 함께 본격적으로 경영 전면에 모습을 드러냈던 이 부회장은 2017년 고 이수영 회장 타계 후 지난해 초 부회장 승진을 거치며 그룹 내부서 존재감을 키워왔다. 
 


2017년까지만 해도 이 부회장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대표이사에 오른 뒤 이 부회장은 OCI케미칼, OCI머터리얼즈를 매각하면서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태양광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했다. 그 결과 OCI는 2016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그러나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시장이 불황기에 접어들면서 이 부회장에 대한 평가는 조금씩 부정적으로 바뀌는 양상이다. OCI 전체 매출 가운데 40%가량을 차지하는 폴리실리콘 사업 비중을 줄이지 못하면 회사 수익성 개선이 힘든 작금의 현실서 이 부회장이 꺼내들 수 있는 카드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실적 부진과 함께 OCI의 재계 위상도 갈수록 하강하고 있다. 2014년 자산 12조1310억원으로 재계 22위에 이름을 올렸던 OCI는 이후 지속적인 자산 감소를 겪었고 지난해 9월 말 기준 재계순위는 30위 권으로 떨어졌다. 

재계에서는 신사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여부가 이 부회장을 향한 비관적인 시장 평가를 반전시킬 열쇠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근 글로벌 바이오 시장 공략을 위해 바이오 전문 기업을 인수한 것도 이 같은 흐름의 연장선상이다. 

부정적 기류

재계 관계자는 “OCI가 주력사업서 단기간에 반전을 거두기란 사실상 힘든 게 사실”이라며 “신사업서 이른 시일 안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느냐에 따라 이우현 부회장에 대한 평가가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