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 소재의 갤러리도스는 새로운 작가 발굴을 위해 상반기와 하반기, 1년에 두 번 공모전을 기획하고 있다. 2020년 상반기는 ‘각자의 영역’이라는 주제로 백나원, 한선주, 한연선, 김찬미, 김보경 등 총 5명의 작가를 선정했다. 오는 22일부터는 한선주 작가의 개인전 ‘고도를 기다리며’전이 열린다.
지금은 다양한 의견이 폭넓게 수용되고, 과거에는 금기시되던 것들이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시대다. 의견을 드러내고 수용하는 자유는 각자의 영역을 더욱 두드러지게 한다. 각자의 영역에 대한 관용과 아량, 포용을 뜻하는 이른바 톨레랑스(Tolerance)가 요구된다.
슬픔을 다루다
의견 표현의 방식이 다양해지면서 사람들은 타인의 삶과 지적 탐구, 취향의 공유를 손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에 놓였다. 자신의 영역을 주체적으로, 동시에 객체적으로 바라보며 작업 안에서 자아정체성을 찾는다면 그것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한 나름의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갤러리도스 공모전 두 번째 작가인 한선주는 기다림에 천착했다. 그는 기다림 속 쓸쓸한 풍경을 담은 생생한 색채들로 허무와 무의미, 덧없음의 세계서 찰나에 마주친 생기의 순간을 끄집어내려 했다.
갤러리도스 공모전 두 번째
사무엘 베케트 희곡 차용해
이 과정서 한선주는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 <고도를 기다리며>를 전시 제목으로 삼았다. <고도를 기다리며>는 현대인의 고독과 소외된 삶을 기다림의 행동으로 표현한 인간 실존 문제를 다룬 작품이다.
한선주는 베케트의 희곡 제목을 전시 제목으로 차용하면서도 기다리는 대상인 ‘고도’에 취소선을 그었다. 그는 “(전시 제목서) 고도를 삭제한 것은 작품의 주제와 같이 어느 순간 기다림의 대상이 사라져버린 기다림만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해서”라며 “고도보다 기다림에 집중시키려는 의도를 담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주제적인 측면에 한정되며 우스꽝스러운 화법으로 타인과의 소통을 거부하고 허무함 속에서 실존을 비관하는 부조리극의 형식적 특성을 반영하진 않았다”고 덧붙였다.
한선주는 오히려 타인과의 진정한 소통을 갈망하고 실존의 의미와 가치를 찾으려는 동시에 허무와 의미 사이를 고요히 응시하며 기다림을 경험하는 일에 머물렀다.
그는 은유를 통해 슬픔의 무게를 설명한다. 설명할 길 없는 애매모호함을 드러내려는 작업방식은 시 쓰기와 닮아있다. 슬픔이 두고 간 기다림의 시간에 벌어지는 내면의 서사와 심상을 그림으로 적어보는 셈이다.
자신이 있는 곳을 형상과 색으로 추적해가는 한선주의 작업 과정은 또 다른 색으로 변한 슬픔의 성격을 이해하고, 현재 머물고 있는 좌표가 어디인지를 탐색하게끔 한다. 이것은 한선주가 슬픔을 다루고 음미하는 방식이다.
한선주는 “이전까지는 글을 쓰듯 그림을 그렸다. 어떤 사건을 잊기 위해 다른 서사로 재구성하거나 기억하기 위해 당시의 환경을 종이 위에 기록했다”며 “이것들은 남에게 새로운 이야기가 돼 읽히기도 하고 바로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이 되곤 했다”고 설명했다.
슬픔과 소망의 공존
삶에 대한 올바른 답
이어 “그러나 정작 내가 끄집어내고 싶었던 것들은 서사의 일부가 아니라 때마다 느꼈던 내 안의 깊숙한 무언가와 측정 불가능한 무게들이었다”며 “내가 머물고 있는 곳과 그 시간의 온도를 표현해 내는 데까지의 분투는 슬픔과 희망, 고통과 평화가 불꽃 튀며 충돌하는 격렬한 전투와도 같았다”고 강조했다.
또 “잃어버린 것에 대한 슬픔과 도래할 것에 대한 소망이 공존한다. 이런 시적 순간은 유한한 존재인 내가 발을 딛고 있는 자리에서 인간으로서 가야 할 길을 생각하게 해줬다”며 “슬픔이 두고 간 기다림의 지대서 이제는 스스로 자처한 머무름 속에서 삶을 성찰하고 질문하며 올바른 답을 찾아 나서려 한다”고 맺었다.
머무름 속에서
갤러리도스 관계자는 “개인의 영역을 타인과 공유하거나 스스로 고립시키는 것도 각자에게 달렸다”며 “이번 공모전을 통해 각자의 영역을 다양하고 편견 없는 시선으로 공유하고 수용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전시는 2월3일까지.
<jsjang@ilyosisa.co.kr>
[한선주는?]
▲학력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 박사과정(2019)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 석사(2015)
홍익대학교 프로덕트디자인 학사(2012)
▲개인전
‘고도를 기다리며’ 갤러리 도스(2020)
‘미슈테카의 노래’ 터무니창작소(2019)
▲기획·단체전
‘약사산책’ 문화체육관광부주관 문화도시재생프로젝트(2019)
‘아트레시피展’ 춘천문화예술회관(2017)
‘기와집골릴레이展’ 문화공간100(2016)
‘홍익대학교석사학위 청구전’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2014)
‘도술·축지법과 비행술展’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