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항’ 코스맥스 잠재적 리스크

잘 나가는데 빚이…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코스맥스의 3분기 실적 전망이 밝다. 그럼에도 우려의 시각이 존재한다. 근거는 자본의 3배를 웃도는 부채다. 국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다. 현실화될 경우 불가피하게 자금조달 비용이 늘어난다. 코스맥스의 잠재적인 리스크를 살펴봤다.
 

코스맥스의 분위기가 좋다. 사드 보복으로 인한 충격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증권업계는 코스맥스의 3분기 실적에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기대와 우려

양지혜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코스맥스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3090억원, 영업이익 11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48.2%, 133.0%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며 “최근 새로운 브랜드들의 폭발적인 주문 증가로 국내법인 매출액이 전년대비 20% 증가하고 낮은 기저를 바탕으로 수익성도 2.6%포인트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영업이익의 급등세는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코스맥스는 최근 2개년 동안 성장세가 한풀 꺾였다. 연결 기준 매출액을 살펴보면 2015년 5333억원, 2016년 7569억원, 2017년 8839억원으로 외연 성장을 기록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2015년 359억원서 이듬해 526억원으로 166억원 상승한 뒤 지난해 351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감소한 데는 중국 사드 보복에 따른 업황 부진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지난해 3분기 실적 악화 당시 코스맥스 측은 “사드 여파에 따른 고객사(화장품 기업) 실적 저하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호실적 전망에도 불안한 이유
자본의 3배 웃도는 부채 왜?

하지만 이번 3분기 사드 보복 여파서 벗어나는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기분 좋은 시기를 보내고 있다. 최근 5분기 영업이익 추이를 살펴보면 이 같은 분석에 힘이 실린다. 코스맥스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143억원, 3분기 32억원, 4분기 16억원으로 가파른 하락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1분기 104억원, 2분기 185억원을 기록하면서 반등에 성공했다. 지표상으로 완연한 회복세다.

다만 코스맥스의 전망이 장밋빛만은 아니다. 최근 들어 재무건전성에 이상 징후가 나타나면서부터다. 코스맥스는 지난해 말 연결기준 자본총계 2284억원, 부채총계 7056억원을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308.96%를 기록했다. 

이전 년도 부채비율 221.21%에 비해 87.75%포인트 증가한 수준이다. 2015년 354.76%였던 부채비율을 100%포인트 이상 낮췄지만 다시 재무건전성이 악화됐다.

2015년 당시 증권시장에는 300%를 크게 웃도는 부채비율을 근거로 코스맥스의 수익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다만 코스맥스의 실적 성장이 받쳐주면서 이 같은 우려는 잊혀졌다.


그러나 최근 다시 부채비율이 가파르게 높아지면서 코스맥스의 재무건전성에 물음표가 찍혔다. 코스맥스는 부채의 질이 나쁘다는 평가가 있다. 코스맥스의 지난 반기(2018년 6월30일) 기준 부채비율은 302.19%로 지난해 말(308.96%)에 비해 다소 개선된 모습이지만 단기금융부채 비중은 여전히 높다. 

상반기 부채총계 가운데 1년내 만기가 도래하는 단기금융부채 비중은 42.07% 수준이다. 이는 경쟁사인 한국콜마의 12.97%에 비해 29.1%포인트 높은 수치다.

“재무구조 건전?
부정적 측면도”

문제는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상승 압력이 강해지고 있는 양상이라는 점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18일 기준금리를 연 1.5%로 11개월째 동결했다.

하지만 기준금리 상승요인은 해소되지 못했다. 미국과의 금리 역전 폭 확대로 외화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 금융과 부동산 시장 불안까지 겹쳤다. 이번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위원 7명 가운데 2명이 인상 필요성을 강조한 소수의견을 내면서 이 같은 의견에 동참했다.

만약 인상이 단행되면 코스맥스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코스맥스는 부채 규모가 확대하면서 금융비용도 증가했다. 사상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2016년 반기 55억2446억원이었던 금융비용은 2018년 반기 114억5908만원으로 두 배가량 증가했다.

수익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올 반기에 173억777만원의 순이익을 기록한 반면 2016년 같은 기간에는 190억1523만원을 기록했다. 금융비용이 당기순이익 규모에 영향을 미쳤다. 금융비용의 차이가 수익성에 큰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현재 코스맥스는 이자율이 1% 상승하면 당기순이익이 36억6922만원이 감소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코스맥스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이 289억8500만원으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2016년 312억5818만원을 넘지 못하고 있다. 반면 부채규모는 올 상반기 7398억9530만원으로 2016년 4586억191만원을 크게 웃돌고 있어 수익성 개선에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묵직한 단기부채

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코스맥스의 재무구조가 건전하다고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최근 중국 사드 보복 충격서 벗어나고 있는 모습이지만 300%를 웃도는 부채비율이 수익성을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donkyi@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부채비율이란?

통상적인 부채비율 산식은 부채총액/자기자본(자본총계)*100이다. 올 상반기를 기준 부채비율은 302.19%다. 하지만 코스맥스의 반기보고서에 나오는 부채비율 산식대로 계산하면 부채비율이 낮아진다. 반기보고서 기준 부채비율은 부채총계-현금및현금성자산/자본총계이다. 계산하면 부채비율은 291.37%이다. <호>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케이삼흥 사태가 대국민 사기극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피해자가 최소 1000여명, 피해액은 수천억원에 이르는 등 실체가 드러날수록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는 상황이다. 피해자들은 무엇에 홀려 돈을 넣었을까? 무엇이 그들에게 절대적인 믿음을 안겨줬을까? “징조도 없었어요. 2월까지는 돈이 잘 들어왔거든요. 3월25일하고 27일에 원금하고 배당금이 안 들어오면서 난리가 난 거죠.” <일요시사>와 연락이 닿은 한 케이삼흥 투자 피해자는 여전히 정신이 없는 듯했다. 이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에게도 투자를 권유했다고 한다. 현재 원망 그 이상의 감정을 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2월까진 괜찮았다 최근 케이삼흥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2021년 설립된 부동산 투자플랫폼업체 케이삼흥은 월 최소 2% 수익을 보장하겠다며 투자자를 끌어모았다. 연 단위로 따지면 24%의 고수익 투자상품인 셈이다. 피해자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의 말에 현혹된 것으로 보인다. 케이삼흥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개발 예정인 토지를 매입한 뒤 개발사업이 확정되면 소유권을 넘겨 보상금을 받는 방식으로 수익을 만들 수 있다고 홍보했다. ‘토지 보상 투자’라는 용어가 나왔다. 직급에 따라 수익금을 차등 지급하는 다단계 방식으로 업체를 운영해 전형적인 ‘다단계금융 사기’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번 사태서 의문이 제기된 부분은 횡령 등의 혐의로 복역한 경험이 있는 김현재 케이삼흥 회장이 어떻게 또다시 수천명에 이르는 투자자를 끌어모았는지다.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의 창시자로 불린다. 토지를 싼 가격에 사들인 뒤 개발 호재 등이 있다고 소문내 이를 쪼개 파는 방식으로 사기를 저질렀다. 이 과정서 투자금 200억원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2006년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20여년이 지난 2021년 김 회장은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서울 등 전국에 7개 지점을 둔 케이삼흥은 언론 광고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투자자를 모았다. 한 케이삼흥 직원에 따르면, 7개 지점서 일하는 직원은 300~350명가량이었다. 직원들은 이른바 가족·지인 영업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했다. 월 2% 수익 약속에 수천명 투자 20년 전과 과정도 결과도 같다? 대부분의 직원은 중·장년층으로 인터넷 기사 등을 통해 공개된 김 회장의 과거를 잘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의 사기 전과를 알고 있던 피해자 역시 “원래 무죄였다”거나 전직 대통령을 거론하는 김 회장의 말솜씨에 넘어갔다고 한다. 훈장, 공적비, 기부 기사 등은 김 회장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따박따박 통장에 찍히는 배당금은 김 회장에 대한 신뢰를 굳건하게 만들었다. 투자금의 1.5~2%에 이르는 배당금이 매달 입금되고 계약에 따라 만기가 되면 원금이 들어오는 구조였다. 예를 들어 1000만원을 투자하고 3개월 만기로 계약을 맺었다면 1060만원을 돌려받게 되는 셈이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파격적인 수준이었다. 김 회장은 본인의 사재를 털어 부족한 부분을 메꾸고 있다고 직원들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면서 직원들에게 더 열심히 일하라고(투자자를 모집하라고) 했다는 것이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김 회장은 자신의 재산이 1조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수익이 나기 전까지 자신의 돈으로 원금과 배당금을 일부 주고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꾸준히 원금과 배당금을 받은 대부분의 피해자는 더 많은 돈을 재투자했다. 피해액이 천문학적인 수준으로 불어난 이유다. 하지만 ‘윗돌 빼서 아랫돌 괴는’ 방식의 사업구조는 자금 순환이 막히면서 결국 무너져 버렸다. 피해자는 지난 2월까지 원금과 배당금을 정상적으로 받았기에 케이삼흥 사태를 예측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 중장년층↑ 하지만 경고음은 분명히 존재했다. 회계법인은 케이삼흥에 대해 ‘감사 의견 거절’을 냈다. 감사 의견 거절은 ▲감사인이 감사보고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증거를 얻지 못해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의견 표명이 불가능할 때 ▲기업의 존립에 의문이 들 때 ▲감사인의 독립성 결여 등으로 회계 감사가 불가능한 상황에 제시한다. 기업 내부 사정이 심상찮다는 소리다. 케이삼흥의 경우 ‘회계연도의 현금흐름표 및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을 받지 못했다’가 감사 의견 거절의 근거가 됐다. 그럼에도 수많은 피해자는 김 회장을 철석같이 믿었다. 오히려 정관계 인사를 잘 안다는 김 회장의 말이 피해자의 투자심리를 부추겼다. 과거에도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 사기로 검찰 조사를 받던 시기에 정관계 로비 의혹을 받은 바 있다. 당시 김 회장이 횡령한 돈 일부가 정치자금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정치권 등의 유력인사를 언급해 투자자의 믿음을 사는 김 회장의 수법은 이번 케이삼흥 사태서도 반복된 것으로 보인다. 한 피해자는 “(김 회장이)정치인 인맥이 많다는 말을 하곤 했다”고 말했다. 다양한 통로로 정보를 얻는 젊은 층에 비해 정보에 어두운 중‧장년층은 김 회장이 주장하는 인맥에 신뢰를 보냈다. 사기 전과 있는데도… <일요시사> 취재에 따르면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과의 친분도 주장했다. 강연 과정서 서울시 고위공무원의 직책을 언급하면서 그를 통해 협조 약속을 받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과정서 토지나 주택 등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의 이름도 등장한다. 투자자에게 수익금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김 회장은 “작년에는 부동산 경기 자체가 불투명하니까 1년 동안 거의 안했어요. 착공 들어가려면 제일 먼저 하는 게 보상 업무잖아요. 올해 작년 것까지 합쳐서 하고 있어요. 사업계획 세워놓은 것은 차질이 없다고 하니까”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공공기관,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을 말하면서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이)그걸 관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은 서울시서 주택, 재난안전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을)만나서 사업이 진행되면 케이삼흥 것을 우선적으로 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했다. 토지 보상을 하는 과정서 케이삼흥에 우선적으로 협조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회장은 ‘주진입도로’ 등을 언급하면서 “2단계든, 3단계든 관계없이 케이삼흥 것을 먼저 협조해주겠다고 그 약속까지 제가 다 받아냈으니까. 하반기에 보상 나오는 것은 확실합니다”라고 강조했다. 강연에 참석한 투자자들은 중간중간 호응하다가 김 회장의 말이 끝나자 박수를 치면서 환호했다. 정치인 인맥·훈장 자랑 당사자는 “처음 들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실 확인을 요청하는 <일요시사>에 “개인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확인을 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의 인물은 지난 8일 <일요시사>와의 통화서 “김현재라는 이름은 지금 처음 듣는다”고 전했다.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명도 이날 처음 들었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과는 사적 친분은 물론이고 전혀 관계가 없다는 말이다. 현재 케이삼흥 사태는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서 수사하고 있다. 김 회장 등 케이삼흥 경영진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법)과 유사수신행위 규제법 위반 등의 혐의를 받는다. 지금까지 파악된 피해자와 피해액은 최소 규모로 시간이 가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직원으로 불린 모집책이 가족이나 지인 등을 상대로 투자를 권유한 경우가 많아 가정이 파탄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피해자 가운데 일부는 가족의 병원비 등을 투자금으로 넣은 경우도 있었다. 피해자들은 수사기관에 고소하거나 집회를 준비하는 등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빠른 수사가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피해자가 받는 정신적 고통이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 케이삼흥 사태와 같은 대형 사건서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투자를 권유한 사람에게 독촉을 받던 피해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례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빠른 수사 피해 복구는? 한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 돈까지 다 끌어모아서 투자했다. 원금만이라도 제발 돌려받고 싶다. 가족과 지인들에게 얼굴을 들 수 없다”고 안타까워했다. 직원이면서 동시에 투자자인 이 피해자는 5억원 이상을 투자금으로 넣었다고 고백했다. 김 회장의 입장을 듣기 위해 문자메시지, 전화 등을 통해 연락을 취했지만 닿지 않았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