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대가의 작품이 국내에 상륙했다. ‘설악의 작가’라 불리는 김종학 화백의 개인전. 김 화백은 40여년간 설악산 등에서 활동하면서 그곳에서 만난 자연을 재구성해 캔버스 안에 담았다. 관람객들은 이번 전시를 통해 김 화백의 작품세계를 한 눈에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 소재의 갤러리 조현화랑서 김종학 화백의 개인전 ‘대혼돈(Pandemonium)’을 준비했다. 올해로 81세인 김 화백은 국내 현대회화사에서 독보적인 화풍을 지닌 작가로 평가받는다. ‘설악의 작가’로도 잘 알려진 그는 40년간 자연서 지내며 캔버스 안에 색채와 형태의 조화를 추구해왔다.
81세 노화가
1979년 설악산시대라 불린 이 시기에 김 화백은 단색조 추상화풍의 첨단사조와 거리를 두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풍을 만들기 시작했다. 단색화는 1970년대 초반 국내 현대미술의 대표 사조로 자리매김한 화풍이다.
서구의 모노크롬과는 다르게 시각만이 아닌 질감을 드러내거나 자연미, 관계성 등을 담았다.
김 화백의 독창적 화풍은 국내 현대회화사에서 채색화의 한 축을 이끄는 계기가 됐다. 그가 죽음의 문턱서 만난 자연은 객체로서가 아닌, 외부대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동경의 대상이자 예술적 영감의 원천이었다.
설악산서 영감 얻어
독자적·독보적 화풍
설악산 천지의 꽃 더미와 우거진 나무들, 절기마다 바뀌는 풍경은 그에게 치유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색의 충격이었다.
이것은 새로운 구상화의 방법을 모색하고 있던 김 화백에게 자신만의 화풍을 구축할 수 있는 좋은 바탕을 마련해줬다. 김 화백의 구상화는 개념주의적 미술에 빠져있던 동시대 화단에 신선한 충격을 안겨줌과 동시에 그가 국내 한국회화사에서 독보적 입지를 차지할 수 있는 발판이 돼줬다.
그에게 자연은 재현된 모습이 아닌 형태가 와해된 무질서하고 환상적인 모습으로 드러난다. 특히 이번 전시서 소개하는 신작에는 예전보다 더욱 과감하고 거친 필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의식이나 의도 없이 손이 움직이는 대로 그린 몸의 기억이라 할 수 있다.
즉흥적인 색의 무리가 2차원 화면에 펼쳐진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기 작품은 자연의 원초적인 생명력을 봄·여름·가을·겨울이라는 서사적 구조로 보여줬다면 신작은 실재하는 자연이 아닌 색의 근원과 형상이 혼재된 시공간을 초월한 추상의 세계로 안내한다.
대형 작품 등 10여점
프랑스서도 개인전
신작 대혼돈 시리즈는 김 화백이 처음 설악산서 마주한 자연의 민낯을 파격과 정제가 오가는 즉흥적인 표현으로 담아냈다. 원근법을 무시하고 방향을 잃은 꽃의 형상과 강렬하고 두터운 색은 가상공간서 춤추듯 뒤섞여 새로운 조형언어로 재탄생했다.
이번 전시는 벽면을 가득 채우는 압도적인 스케일(5×2.5m)의 평면작품을 포함, 10여점이 전시된다.
조현화랑 관계자는 “지난 아트부산 아트페어서 김종학 화백이 선보인 6m 대작은 81세의 나이의 화가가 그렸다고 보기 힘든 강인한 에너지와 색의 향연으로 뜨거운 찬사를 받았다”며 “거친 마티에르는 그리기에 대한 작가의 자유로움에 대한 갈망이 여실히 투영됐다”고 말했다.
이어 “조현화랑서 선보이는 김 화백의 신작을 통해 국내 현대회화사의 중요한 맥락을 이해하고 회화가 가진 본연의 힘을 깊이 공유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전시는 8월5일까지.
강인한 에너지
한편 김 화백의 전시는 프랑스서도 열리고 있다. 프랑스 기메 국립동양박물관은 지난 6일부터 4달간 김 화백의 개인전을 소개한다. 기메 국립동양박물관은 유럽에 위치한 아시아 최대 국립 박물관으로 알려져 있다. 루브르 미술관서 이슬람 미술 디렉터를 지낸 소피 마까이유 관장의 취임 이후 아시아 현대미술을 활발히 소개 중이다. 김 화백은 6번째로 초대된 작가다.
<jsjang@ilyosisa.co.kr>
[김종학은?]
1937년 평안북도 신의주 출생
▲학력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1962)
동경미술대학 서양화 판화과 연수(1968~1970)
프랫 대학원 그래픽 센터 연수(1977)
▲개인전
기메 동양 박물관, 파리, 프랑스(2018)
토미오 코야마 갤러리, 도쿄, 일본(2018)
‘생동’ 조현화랑, 부산(2016)
‘설경’ 조현화랑, 부산(2015)
‘창작의 열쇠’ 서울시립 남서울생활미술관, 서울(2015)
‘바라보다-목안·보자기’ 조현화랑, 부산(2013)
‘진정(眞情)-김종학 희수’ 갤러리 현대, 서울(2013)
‘김종학의 다정’ 갤러리 현대, 서울(2012)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2011)
예화랑, 서울(2008)
조현화랑, 부산(2007)
가나아트센터, 서울(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