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원제약이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 온 여명약품의 부실로 인해 곤혹스러운 입장에 처했다. 여명약품이 폐업 수순을 밟으면서 든든한 조력자 역할은 빛이 바랬고 한술 더 떠 의도치 않게 피해를 감내해야 하는 처지에 몰렸다. 수십 년에 걸친 의리가 발목을 잡는 형국이다.
고 백부현 회장이 1958년 1월 부산서 창업한 대원제약은 60년에 걸쳐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지속해온 상장 제약사다. 계열사로는 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를 하는 딜라이트(종속회사) 바이오의약품 연구를 주목적으로 하는 대원바이오텍(관계회사)을 거느린 구조다.
의리가 뭐길래…
계열사 이외에도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던 회사가 또 있다. 바로 여명약품이다. 의약품 도매업 및 무역업을 영위해 온 여명약품은 1991년 12월 창립 때부터 대원제약과 각별한 사이였다. 무엇보다 여명약품 창업주인 백승선 대표가 대원제약 출신이다.
백 대표는 2000년에는 대원제약 퇴직임직원 모임인 ‘원우회’ 회장에 선출되기도 했다.
여명약품의 지분구조에서도 대원제약과 연관성이 드러난다. 지난해 말 기준 여명약품 최대주주는 지분 28.91%를 보유한 백 대표다. 나머지 지분은 이득연(24.81%) 상무, 김항만(23.17%) 부사장, 이규정(23.11%) 이사 등 핵심 임원 3인이 엇비슷한 규모로 나눠 갖는 구조다. 이들 역시 대원제약 출신이거나 직간접적으로 연결돼있다.
아직까지 두 회사 간 물품 거래 내역 및 규모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게 없다. 하지만 ‘대원맨’이 주축인 여명약품을 대원제약이 간접 지원했던 정황은 지급보증을 통해 유추해볼 수 있다.
수년째 거래 회사에 지급보증
계열사 아닌데…독이 된 옛정
공시자료 분석 결과 대원제약은 2011년부터 여명약품에 대한 지급보증을 실시했다. 당시 지급보증액은 13억원. 이듬해는 지급보증이 없다가 2013년 13억원, 2014년 13억원, 2015년 6억4200만원, 지난해 4억7500만원 등 꾸준히 지급보증에 나섰다.
지급보증액이 매년 감소했고 큰 액수도 아니지만 계열사가 아닌 회사를 위해 지급보증에 나섰다는 점은 대원제약과 여명약품의 관계가 꽤나 돈독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지급보증이란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고자 할 때 회사의 신용이나 담보가 부족하면 대부분 재무구조가 타 기업서 보증을 받는 행위를 뜻한다. 물론 보증받은 회사가 자신의 채무를 이행하면 지급보증은 별 탈 없이 소멸하지만 보증받은 회사가 도산할 경우 보증해준 회사의 주채무로 바뀐다.
이런 이유 때문에 지급보증은 통상 모기업과 계열사 사이서 이뤄지는 게 일반적이다.
대원제약의 지원 속에서 여명약품은 순항하는 듯 보였다. 여명약품의 지난해 말 기준 매출액은 371억원,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4억원, 5억8847만원이다. 2015년에는 매출액 364억원, 영업이익 13억원, 당기순이익 4억5320만원을 기록한 바 있다.
그러나 여기까지였다. 지급보증은 약소하게나마 대원제약에 금전적 피해로 되돌아올 가능성이 커졌다. 여명약품이 최악의 상황에 직면한 까닭이다.
여명약품은 지난 25일일자로 사실상 부도 처리됐다. 뜬소문처럼 퍼지던 ‘여명약품 부도설’이 현실이 되는 순간이었다. 관련 업계는 세무조사 후 수십억원대 추징금을 낸 게 회사를 심각한 경영 위기로 내몰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여명약품 청산의 기미는 엿새 전부터 본격적으로 드러났다. 지난 19일 직원 정리에 나선 것을 시작으로 사흘 뒤 모든 업무가 중단됐고 회사 문은 폐쇄됐다. 지난 23일에는 제약사에서 받은 의약품을 돌려주기 위해 반품 의약품 명단을 출입문에 기재했다.
거래제약사와 의료소모품사, 그리고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재고 의약품 반품에 나선 것이다. 다수 제약사가 반출 명단에 기재돼있으며 대원제약 역시 여기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여명약품 창고에 재고 의약품이 얼마나 쌓여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히 알려진 바 없다. 제약사 중에 어음 회수 여부에 따라 제약사별 피해 규모가 추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끈끈했던 관계
결과적으로 여명약품의 부도는 수년 간 지속된 양사의 끈끈한 보증 관계를 부각시켰다. 지급보증으로 인한 금전적 피해가 미미하더라도 대원제약은 제대로 된 기준 없이 계열사도 아닌 회사에 부주의한 보증을 섰다는 비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상장사가 옛정에 끌린 나머지 주주들의 재산권을 훼손했다는 지적도 부담스럽긴 마찬가지다. 실제로 여명약품 부도 이전부터 몇몇 대원제약 소액주주들 사이에서는 여명약품에 대한 지급보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된 바 있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기막힌’ 대원제약 형제경영
재계 형제간 경영권 분쟁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대원제약 형제 오너는 아직까지 ‘우애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대원제약 ‘쌍두’체제는 1982년 백승호 회장이 입사한 지 3년 뒤인 1985년 백승열 부회장이 입사하면서 첫 단추를 채웠다.
지난 2001년 백부현 창업주가 세상을 떠난 후 백 회장과 백 부회장이 나란히 대표이사에 오르면서 본격적으로 2세 경영이 시작됐다. 백 회장 형제의 역할 분담은 명확하다. 백 회장이 경영과 영업을 도맡았다면 백 부회장은 연구개발(R&D)을 책임진다.
형제간 소유지분도 엇비슷하다. 현재 백 회장은 대원제약 지분 15.5%, 백 부회장은 14.3%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율 차이가 크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오너 일가에서 흔히 발생하는 지분 경쟁도 불거진 바 없다. 이 같은 안정세를 바탕으로 대원제약은 60년 무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