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김정수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송옥주 의원은 새해 벽두부터 바빴다. 송 의원은 올해 국회서 가장 먼저 법안을 발의해 ‘1호 법안’의 주인공이 됐다. 사실 그는 3년 연속 새해 첫 업무일마다 법안을 발의했다. 민주당 계열 정당서 20년간 당직자로 재직한 송 의원은 지난 20대 총선서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했다. 당시 송 의원은 오랜 실무 경험에 따른 기대를 받았다. 그 기대는 송 의원의 빠듯한 의정활동으로 방증되고 있다. “국민의 안전을 지켜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송옥주 의원이 올해 처음 발의한 법안은 ‘라돈’과 관련돼있다. 평소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은 송 의원은 그간 해당 분야에 대한 법안을 다수 발의했다. 송 의원은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송 의원은 “우리 사회에는 아직 풀어야 할 다양한 환경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음은 송 의원과 일문일답. -기해년 1호 법안 발의의 주인공이 된 소감은? ▲‘1급 발암물질 라돈으로부터 우리 국민의 안전을 지켜내야 한다’는 제 마음속 울림과 바람으로 라돈과 관련된 개정안을 준비했다. 국민 여러분께서 더 안전한 생활공간을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일과의 시작과 끝에는 ‘집’이 있다. 잠자리를 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이치. 특히 의식주 가운데 가장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많은 환상이 있다. 재계를 이끄는 리더의 보금자리 역시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들은 어디서 재충전할까. <일요시사>서 확인했다. 이번 주 살펴 볼 회장님 집은 광동제약의 최성원 부회장의 자택이다. 광동제약은 현재 회장이 없다. 실질적인 업무 수행은 최성원 부회장이 하고 있다. 최 부회장은 소위 말하는 금수저다. 슈퍼리치 1969년생인 최 부회장은 만 49세다. 한국나이로 50세. 그는 영동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1992년)를 받았다. 이후 일본 됴쿄에 위치한 게이오기주쿠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1996년)를 받았다. 광동제약에 합류한 것은 대학교를 졸업한 뒤였다. 1992년 광동제약에 입사했으며, 8년 만인 2000년 광동제약 영업본부장 상무이사에 오르면서 임원이 됐다. 이듬해에는 2001년 광동제약 전무이사, 2004년 광동제약 부사장, 2005년 광동제약 사장에 오르면서 초고속 승진을 거듭했다. 이후 2013년 광동제약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행위는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범현대가 일원인 현대성우홀딩스(옛 현대성우오토모티브코리아)의 정몽용 회장이 지난해에도 변함없이 거액의 배당금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자그마치 60억원에 달한다. 실적 부진의 영향으로 배당금 수령액이 반토막 난 게 이 수준이다. 금싸라기 지분 현대성우그룹은 현대·기아차에 대한 안정적인 물품 공급을 통해 연매출 1조원에 육박하는 회사로 성장한 범현대가의 일원이다. 고 정순영 회장은 슬하에 4명의 아들을 뒀고 이들 가운데 4남이 현대성우그룹을 이끌고 있는 정 회장이다. 1987년 5월 설립된 현대성우홀딩스는 2015년 5월1일을 기준일로 물적 분할방식에 의해 주물사업부문(현대성우캐스팅), 배터리사업부문(현대성우쏠라이트), 휠사업부문(현대성우메탈)을 분할했다. 존속회사로 남은 현대성우홀딩스는 이때부터 투자 및 부동산임대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행위는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지난해 인천도시가스는 선순환 수익구조를 다지는 데 성공했다. 인천도시가스는 도시가스 판매량 8억3900만㎥를 기록한데 힘입어 매출액 5376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4.4% 늘어난 수치다. 영업이익은 148억원으로 전년도 109억원보다 35.7%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137억원을 올려 전년도 85억원에 비해 61.1% 늘어나는 성적을 거뒀다. 마르지 않는 샘 실적이 몰라보게 좋아진 인천도시가스는 지난해 역시 현금배당을 실시했다. 지난달 9일 본사 강당에서 제35기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보통주 1주당 1250원, 배당금총액 51억5300만원의 현금배당을 승인했다. 인천도시가스는 2015년과 2016년에도 지난해와 동일한 규모로 배당을 실시한 바 있다. 배당금총액 규모는 동일했지만 ‘시가배당률’과 ‘배당성향&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일과의 시작과 끝에는 ‘집’이 있다. 잠자리를 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이치. 특히 의식주 가운데 가장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많은 환상이 있다. 재계를 이끄는 리더의 보금자리 역시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들은 어디서 재충전할까. <일요시사>서 확인해봤다. 삼양식품 그룹은 1961년 8월에 설립됐다. 전중윤 명예회장이 삼양식품의 모태가 되는 삼양제유주식회사를 세웠다. 삼양식품은 1963년 국내 최초의 라면인 삼양라면을 출시해 국내 라면 시장을 선도했다. ‘라면왕’ 그러나 1989년 우지파동을 겪으면서 시련을 겪었다. 라면 제조과정서 식용이 아닌 공업용 소기름을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1997년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업계 1위자리를 신라면에게 내줬다. 1998년 삼양식품은 화의신청을 해야할 정도로 경영난이 격화됐다. 2005년 화의절차를 마쳤지만 과거의 명성이 많이 약화됐다. 그래도 삼양식품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4584억원, 영업이익 433억원, 291억원 규모의 중견 회사다. 회사 소속의 직원은 1491명(2017년 12월 기준) 수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행위는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스마트폰 부자재 공급사인 서원인텍은 전자업계서 손꼽히는 고배당 업체로 유명하다. 창업 후 회사를 키워오는 과정서 일찌감치 후계구도를 정비해 덕분에 오너 일가는 배당액의 외부 누수를 최소화하는 데 성공했다. 압도적 지분율 서원인텍의 지난해 주요 실적 지표는 일제히 하락세를 나타냈다. 연결 기준 3575억원이던 매출은 2841억원으로 줄었고 151억원, 192억원이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90억원, 31억원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3분기 부진이 결정적이었다. 당시 서원인텍은 연결 기준 매출액 572억원, 영업이익 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8.9%, 91.6% 줄었다. 시장 기대치 매출액 958억원, 영업이익 48억원을 훨씬 하회하는 수준이다. 심각한 실적 부진은 배당 축소로 이어졌다. 서원인텍은 2017회계연도 결산배당으로 보통주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행위는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이연제약의 뿌리는 지난 1955년 2월 서울대 약대 교수이던 김경호 박사가 의약품 원료 국산화의 신념을 갖고 설립한 이연합성연구소다. 이후 1964년 11월 이연합성약품공업이라는 상호의 법인으로 전환, 1991년 3월 지금의 이연제약으로 상호가 변경됐다. 2010년 6월에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됐다. 쏠쏠한 종잣돈 지난해 이연제약은 내실을 키우는 데 성공했다. 감사보고서 기준 지난해 매출은 1263억원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하는 데 불과했지만 영업이익(167억원)과 당기순이익(134억원)은 전년 대비 각각 7.9%, 13.8% 늘었다. 실적 상승세에 걸맞게 배당 규모 역시 한층 커졌다. 지난 2월5일 이연제약은 2017회계연도 결산배당으로 보통주 1주당 35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보통주 1주당 배당금은 전년과 동일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행위는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휴온스그룹은 지난해 눈부신 실적 상승세를 나타냈다. 지주사인 휴온스글로벌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3254억원, 영업이익 607억원을 기록하며 최대실적을 갈아치웠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각각 98.7%, 109.9%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482억원으로 90.8% 감소했지만 직전 사업년도에 지주사전환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발생한 중단영업순이익을 감안해야 한다. 순풍 탄 회사 주가도 고공행진 중이다. 10년전 2000원대에 불과했던 주가는 현재 6만원대까지 올랐다. 2016년 최고 9만6000원까지 올랐던 주가는 당해 6월 휴온스글로벌과 휴온스로 인적 분할하고 재상장을 마친 뒤 줄곧 내리막길을 걸어 2만원대까지 하락했지만 지난해 3월부터 큰 하락없이 줄곧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눈에 띄는 성장세는 배당 확대로 이어졌다. 휴온스그룹 주력 계열사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행위는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지난해 부국증권은 내실을 다지는 데 성공했다. 부국증권은 지난 1월30일, 연결 기준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35.6% 늘어난 37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24.9% 감소한 5663억원, 영업이익은 34.1% 늘어난 472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회사 측은 전 사업부문의 수익구조 강화에 힘쓴 결과 괄목할만한 손익 개선이 이뤄졌다고 평가하고 있다. 고배당 기조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한 부국증권은 지난 6일 배당금총액의 결산 현금배당을 공시했다. 1주당 배당금은 보통주 1200원, 종류주 1250원이다. 배당 안건을 오는 24일 주주총회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부국증권은 2015년과 2016년에도 119억원씩 배당금을 책정한 바 있다. 부국증권의 배당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시가배당률이다. 시가배당률은 배
[일요시사 정치팀] 최현목 기자 = 1995년 처음 민선으로 치러진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올해로 제7회를 맞았다. 광역단체장부터 기초의원에 이르기까지 약 4000명의 정치인이 배출된다는 점에서 매번 지방선거마다 각 당은 사활을 걸어왔다. 특히 올해 지방선거에 맞춰 '미니 총선'급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가 예정돼있어 각 당은 더욱 엄중한 자세로 선거를 준비하고 있다. 올해는 어떤 정치인이 국민들 앞에 새롭게 모습을 드러낼까. <일요시사>는 선거를 앞두고 참신한 인물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다섯 번째 인물은 충남 천안갑 국회의원 출마를 선언한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이규희 예비후보다. ‘흙속의 진주’ 민주당 이규희 예비후보는 숨겨진 인재였다. 12년 이상 충남 천안 토박이로 지역을 위해 헌신해왔음에도 좀처럼 빛을 보지 못해 지역에선 이를 안타까워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절차탁마’ 자신을 갈고 닦는 데 주력했던 이 예비후보는 지난 14일 공식 출마선언을 하며 이전보다 더욱 단단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 공공기관 브리핑룸이나 선거사무실이 아닌 천안역 지하상가서 기자회견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행위는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시가총액 8700억원대 코스닥 상장사로 성장한 케어젠은 아미노산 종합체 ‘펩타이드’를 원료물질로 하는 플랫폼 기술을 확보한 생명공학회사다. 지난해 2분기부터 러시아에 첫 제품을 판매한 데 이어 사우디아라비아서 판매 계약을 체결하는 등 눈에 띄는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쌓이는 곳간 케어젠의 눈부신 성장세는 실적서 여실히 드러난다. 지난달 8일 잠정 공시된 지난해 케어젠의 연결 기준 매출액은 577억78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3.2% 올랐다. 연결 기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23.9%, 6.4% 증가한 324억1900만원, 244억7600만원을 기록했다. 외형과 수익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 사냥에 성공한 셈이다. 세포성장·증식·분화 등에 관여하는 성장인자 펩타이드 원천기술이 적용된 더말
“청소년들에게 도전과 꿈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그늘에 있는 아이들이 희망을 잃지 않도록 돕고 싶다.”<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청소년들이 미래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구본무 LG그룹 회장> “인재육성은 미래 성장을 위한 중요 과제 중 하나다.”<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자라나는 꿈나무의 중요성을 강조한 발언들이다. 불안한 미래, 해답은 바로 아이들이다. 위기를 헤쳐 나갈 유능한 인력 확보가 매우 중요한 때다. 인재 확보는 재계 화두이자 기업들의 가장 큰 고민이기도 하다. 경기침체인 요즘 그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기업들은 불황을 극복하고 불안한 미래를 대비해 미리 인재 영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총수들이 직접 현장에 나가 ‘모시기’도 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25개 기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사회공헌의 핵심 화두는 ‘인재’로 나타났다. 기업들의 주된 관심 대상은 아동과 청소년이었다. 실제 각 기업들
[일요시사 정치팀] 최현목 기자 = 1995년 처음 민선으로 치러진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올해로 제7회를 맞았다. 광역단체장부터 기초의원에 이르기까지 약 4000명의 정치인이 배출된다는 점에서 매번 지방선거마다 각 당은 사활을 걸어왔다. 올해는 어떤 정치인이 국민들 앞에 새롭게 모습을 드러낼까. <일요시사>는 6·13지방선거를 앞두고 참신한 인물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네 번째 인물은 서울시장 출마를 선언한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우상호 의원이다. 불의에 항거한 대학생서 대한민국 국회의원으로, 대변인서 최고위원으로, 그리고 원내대표까지, 1987년 6월 항쟁 시위 현장서 이한열 열사의 영정사진을 들고 고개를 숙였던 복학생은 그렇게 제도권서 성장을 거듭했다. 그런 그가 정치인으로서 최고의 전성기라는 50대에 새로운 영역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여당 서울시장 후보군 중 가장 먼저 출마를 선언했다. 민주당 우상호 의원의 이야기다. 다음은 우 의원과 일문일답. - 서울시장 후보군 중 가장 먼저 출마선언을 했다. 각오를 밝힌다면? ▲첫 번째 문재인정부의 성공을 도와 세상을 바꾸겠다. 16년 만에 민주당 대통령과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행위는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대한민국 최초의 LED 전문기업인 서울반도체는 1992년부터 25년 이상 LED 연구개발(R&D)에 집중해왔다. 착실한 성장을 거듭하던 서울반도체는 2010년대에 접어들면서 위기에 봉착했다. 중국발 LED 공세가 극심해진데다 정부 보조금을 등에 업은 중국 기업이 증설 경쟁에 나서면서 가격 인하경쟁으로 수익성은 갈수록 악화됐다. 쏠쏠한 곳간 TV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광원이 LED에서 OLED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도 악재로 작용했다. 불과 1~2년 전만해도 서울반도체에 대한 증권가 평가가 호의적이지 않았던 이유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상황이 급반전됐다.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면서 LED 공급과잉 현상은 일부 해소됐다. 이 시기에 디스플레이, 조명, 자동차로 분산된 서울반도체의 포트폴리오가 제대로 작동하기 시작했다
[일요시사 정치팀] 최현목 기자 = 1995년 처음 민선으로 치러진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올해로 제7회를 맞았다. 광역단체장부터 기초의원에 이르기까지 약 4000명의 정치인이 배출된다는 점에서 매번 지방선거마다 각 당은 사활을 걸어왔다. 올해는 어떤 정치인이 국민들 앞에 새롭게 모습을 드러낼까. <일요시사>는 6·13지방선거를 앞두고 참신한 인물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세 번째 인물은 더불어민주당 홍미영 인천시장 예비후보다. 홍 예비후보는 최초라는 단어가 가장 잘 어울리는 정치인 중 한명이다. 2004년 열린우리당 비례대표로 인천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이 됐다. 지방의회 의원이 국회의원으로 된 최초의 사례였다. 2010년 제5회 지방선거에서는 인천 부평구청장으로 당선, 전국 최초 민주당 소속 여성 지방자치단체장에 이름을 올렸다. 2014년 재선에 성공해 인천 최초로 재선에 성공한 여성 구청장이 됐다. 연이어 최초를 달성할 수 있었던 원동력에 대해 홍 예비후보는 1991년 지방자치 시작과 함께 다져진 정치 경험과 30년 넘게 인천지역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을 해오며 일궈낸 내적 성장을 꼽았다. 그런 홍 예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서호전기는 항만과 조선소의 크레인 전기제어시스템을 제조·판매하는 코스닥 상장사다. 서호전기는 지난해 매출 446억7086만원, 영업이익 129억8813만원, 순이익 61억8531만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탄탄한 재무구조 일단 영업이익이 매년 증가추세를 보였다는 점이 눈에 띈다. 2012년 4억원, 2013년 12억원, 2014년 24억원, 2015년 33억원, 2016년 79억원이던 영업이익은 지난해 65.1% 급증했다. 다만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24.7%, 29.3% 줄었다. 글로벌 항만 크레인 무인화 시스템의 수요가 많아진다는 점에서 서호전기의 향후 전망은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 서호전기의 전체 매출 가운데 수출비중은 70%를 상회한다. 게다가 순현금(37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골프존뉴딘그룹은 지주회사인 골프존뉴딘(전 골프존유원홀딩스) 산하에 골프존(스크린골프), 골프존유통(골프용품), 골프존카운티(골프장 운영) 등 18개 계열사를 거느린 기업집단이다. 그룹의 중심축은 골프존뉴딘과 골프존이다. 코스닥 상장사인 두 회사는 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덕분에 오너일가는 배당금 명목으로 막대한 현금을 수령할 수 있었다. 일석이조 효과 골프존은 2011년 코스닥 상장 이래 꾸준히 배당을 실시했다. 2011년 94억원을 시작으로 2012년 141억원, 2013년 147억원, 2014년 183억원으로 배당금총액은 매년 불어났다. 이 기간 동안 ‘배당성향(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비율)’은 525.8%를 기록한 2013년 제외하면 20% 안팎으로 일정히 유지됐다. 배당 기조에 변화가 감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신안그룹은 휴스틸, 신안인스빌, 웰리힐리파크, 리베라CC, 호텔 리베라, 신안저축은행, 신안코스메틱 등 건설·레저·금융·호텔·제조·화장품 계열사를 둔 중견기업이다. 휴스틸을 제외한 나머지는 비상장 회사고 배당을 실시하는 계열사는 휴스틸과 신안저축은행 두 곳이다. 회사 어려운데… 강관 제조업체인 휴스틸은 2016년 심각한 실적 악화를 경험했다. 연결 기준 매출 3640억원, 영업이익 13억원, 순손실 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이 16.9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84.15% 감소했다. 순이익은 적자전환 했다. 강관 판매량이 줄어든 게 실적 악화로 연결됐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된 수요부진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국 철강산업 보호를 위한
[일요시사 정치팀] 신승훈 기자 = 1995년 처음 민선으로 치러진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올해로 제7회를 맞았다. 광역단체장부터 기초의원에 이르기까지 약 4000명의 정치인이 배출된다는 점에서 매번 지방선거마다 각 당은 사활을 걸어왔다. 올해는 어떤 정치인이 국민들 앞에 새롭게 모습을 드러낼까. <일요시사>는 6·13지방선거를 앞두고 참신한 인물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첫 번째 인물은 더불어민주당 양향자 민주당 최고위원이다. 양 최고위원은 ‘고졸신화’로 불린다. 고졸출신으로 삼성전자 상무까지 오른 유일한 여성이다. 입지전적인 경력을 지닌 그는 문재인 대통령의 ‘인재영입 7호’로 화려하게 정치무대에 데뷔했다. 삼고초려 양 최고위원은 “삼성서 3년 차 임원을 지내던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만나고 싶어한다는 메일을 받았다”며 “처음 영입 제의를 받고는 거절했다”고 말했다. 당시 야당 당수의 부름을 마다했던 그의 마음을 움직인 것은 무엇이었을까. 그는 “한두 번에 그치지 않고 진정성 있게 영입제의를 하시는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1961년 설립된 성보화학은 작물보호제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이다. 1976년 12월 유가증권시장에 등록됐고 2005년부터 꾸준히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다. 다른 상장사보다 배당을 적극적으로 실행하면서 소액주주들 사이에서는 배당기대주로 손꼽힌다. 다만 최근 실적치를 뛰어넘는 배당을 실시하면서 고배당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공장 팔아서… 2016회계연도 사업보고서 분석 결과 성보화학은 주주들에게 88억800만원(1주당 배당금 440원)을 현금배당금으로 건넸다. 전년(44억400만원, 1주당 배당금 2200원) 대비 정확히 2배 증액된 액수다. 성보화학은 2016년 2월 유통주식수를 늘리기 위해 1주당 액면가액을 5000원서 500원으로 낮추는 주식분할을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발행주식 총수는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