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경제팀] 박호민 기자 = 우리은행에서 횡령 사건이 터졌다. 여의도 모지점에서 부지점장 A씨가 20억원을 횡령한 것이다. 우리은행의 발빠른 언론 대응으로 횡령사건은 개인비위에 초점이 맞춰져서 마무리되는 듯 했다. 그러나 <일요시사>의 취재 결과 그동안 언론을 통해 보도된 내용은 사실과 다른 점이 많았다. 결과적으로 새롭게 발견된 사실로 인해 개인비위보단 내부통제시스템에 큰 허점이 드러났다.
지난 8일 우리은행의 여의도 모 지점의 부지점장 A씨가 20억원의 돈을 횡령했다고 언론을 통해 보도됐다. 우리은행은 “내부통제시스템을 통해 거액의 예금이 인출된 사실을 파악해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며 촘촘한 내부통제시스템을 강조하기도 했다.
‘오보’로 재미
실제 횡령사건 보도 이후 여론은 내부통제시스템 문제가 아닌 개인의 비위에 초점이 맞춰져 비판이 가해졌다. 심지어 발빠른 사건 대응을 했다며 우리은행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 분위기가 형성되기도 했다.
당시 기사를 간추려보면 호주로 자녀와 부인을 보낸 기러기 아빠 A씨는 지난 4일(3일로 보도된 곳도 있음) B기업의 예금을 자신의 해외 계좌로 나눠 송금한 뒤 5일 잠적했다. 5일 우리은행은 사건 발생 하루만에 횡령 사실을 인지하고 검사팀을 꾸려 A씨의 가족이 있는 호주로 조사 인력을 보냈다. 이후 우리은행은 A씨를 찾는 데는 실패했지만 11억원을 되찾았다는 내용이 복수의 언론사를 통해 보도됐다.
하지만 우리은행의 감사국 및 내부관계자에 따르면 A씨는 지난달 말 해외계좌로 돈을 빼돌렸으며, 이달 3일 정상적으로 휴가를 내고 한국을 빠져나갔다. 우리은행이 횡령사실을 파악한 시점은 3일 저녁이었다. B기업으로부터 계좌가 이상하다는 연락을 받으면서 알게 된 것이다. B기업의 연락을 받지 못했다면 사고는 대형 사고로 번질 수 있는 대목이다.
결과적으로 우리은행이 사건 발생 하루만에 횡령 사실을 인지한 것이 아니라 최소 6일동안 횡령 사실을 파악하지 못한 셈이 됐다.
문제는 A씨가 언론에서 알려진 대로 B기업 계좌에서 자신의 해외 계좌로 직접 분할 송금을 한 것이 아니었다는 데 있다. A씨는 지난달말 B기업의 계좌를 해지하고 잔액을 수표로 바꾸는 수법을 통해 20억원을 횡령했다. 우리은행은 A씨가 횡령을 위해 B기업 계좌를 해지하고 수표로 바꾸는 과정에서 횡령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 내부시스템의 부재가 그대로 횡령으로 이어진 것이다. 특히, 계좌해지 및 수표 전환 과정에서 A씨를 포함해 총 2명이 교차 확인을 해야 했지만 우리은행은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면서 절차상의 문제를 노출했다.
여의도 모지점서 부지점장이 횡령
치밀한 계획범죄에 뚫린 내부통제
사고후 6일동안 사실 파악도 못해
우리은행 관계자는 “A씨가 20억원을 횡령하는 과정에서 점표를 위조하는 방법으로 횡령 사실을 숨겼다”며 “일반적으로 계좌를 해지하면 다음날 거래명세서와 점표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지점장이 확인하는데 A씨가 점표를 치밀하게 위조해 횡령 사실을 파악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온순하고 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A씨가 부지점장의 지위를 이용해 교차확인 과정을 형식상으로만 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번 금융사고로 우리은행의 부실 내부통제시스템에 대한 논란이 예상된다. 또, 우리은행은 금융사고가 많은 은행 가운데 한 곳으로 꼽혔기 때문에 부정적인 이미지도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실제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학영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우리·국민·신한·하나·SC·씨티·외환·산업·기업·수출입·농협·수협·대구·부산·광주·제주·전북·경남 등 18개 국내은행으로부터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 2010년부터 2014년 8월까지 5년간 횡령 및 유용 건수가 가장 많은 은행 순위 2위(농협 1위)에 이름을 올렸다. 횡령액수도 농협(159억원)에 이어 115억원으로 2위를 기록했다.(2010년 1건에 499억원 횡령 사건이 발생한 외환은행은 제외)
특히, 10억원 이상 대형 횡령건수는 4건으로 우리은행이 가장 많았으며, 농협·국민·하나은행이 각각 2건, 외환·경남·제주은행은 각 1건으로 나타났다.
금융소비자원 조남희 대표는 “우리은행에서 크고 작은 횡령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는 것은 조직의 안정성면에서 다른 곳보다 불안한 부분이 있었고, 이에 따른 전 직원의 사기가 떨어진 점이 문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은폐·축소 의혹
한편, 이번 횡령 사건을 두고 일각에서는 우리은행이 횡령사건을 축소·은폐하려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번에 확인된 횡령사건의 발생시점과 인지시점이 언론에 알려진 것보다 오래됐고, 느렸기 때문이다.
우리은행 홍보실 관계자는 이와 관련 “사건 발생 초기 검사국과 홍보실 간 정보전달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면서 부정확한 정보가 언론에 제공된 거 같다”며 “잘못된 정보가 나간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donkyi@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해외로 나간 A씨, 어디로?
A씨가 횡령한 20억원 가운데 13억원 정도는 회수된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해외로 빠져나간 뒤 잠적했으며, 가족들은 아직 호주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 검사국은 4일 호주로 가 A씨의 가족들과 함께 있는 것으로 전해지며, A씨 본인과도 최근 연락이 닿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은행 측은 “회수되지 못한 7억 가운데 상당 부분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며 “A씨의 신변에 이상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