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비올리스트 조아람

  • 강현석 angeli@ilyosisa.co.kr
  • 등록 2013.01.16 09:57:50
  • 댓글 0개

"클래식, 절대 어렵지 않아요"

[일요시사=사회팀] '클래식은 어렵다?' 독일 유학파 출신 비올리스트 조아람(27)은 클래식이 대중에게 좀 더 쉽게 다가가야 한다고 말한다. 예술의 전당의 고고함보다는 일상으로 초대된 친근함을 말하는 그에게서 한국 클래식의 미래가 엿보였다.



독일 뒤셀도르프. 젊은 예술가들이 모여드는 이곳에 한 한국인 비올리스트가 있었다. 귀국 후 또 다른 도전을 준비하고 있는 비올리스트 조아람을 <일요시사>가 만났다.

-먼저 소개를 부탁드릴게요.
▲ 안녕하세요. 13살 때 처음 비올라를 시작해 지금까지 인연을 맺고 있는 비올리스트 조아람입니다.

-13살이면 또래에 비해 늦게 음악을 시작하신 거죠.
▲ 네. 클래식은 보통 5∼7살에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제 경우에는 사촌오빠가 비올라 전공인데 그 오빠에게 배우다가…. 이게 너무 재밌는 거예요. 원래 전공까지 할 생각은 아니었는데 욕심이 좀 생겼죠.

-그럼 중학교 입학할 때 이미 비올라 전공을 선택하신 거네요.
▲ 안 그래도 부모님이 반대를 좀 하셨어요. 그냥 피아노를 치는 게 어떻겠냐고. 하지만 전 비올라가 더 좋았어요. 그때는 '예중에 가야지' 이런 생각보다 비올라를 연주하는 게 좋았던 것 같아요.

- 좋아서 그랬는지 고등학교까지 쭉 수석이셨네요.
▲ 네. 실기 우수자를 계속했는데…. 수석이었죠. 민망하군요(웃음). 보통 한국 학생은 '난 어디 대학을 갈 거야' 이런 목표를 잡는데 저는 늦게 시작한 만큼 무대에서 경험을 많이 쌓는 게 목표였거든요. 콩쿠르도 많이 하고요. 거기서 실력이 좀 늘지 않았나 싶어요.


- 국내 여러 대학의 스카우트 제의도 있었을 텐데 갑자기 왜 독일 유학을 떠났습니까.
▲ 아무래도 유학은 언어 장벽이 가장 힘들거든요. 10대 때 유학을 가야 언어습득이 빠르다는 생각도 있었고요. 당시 제가 17살이었는데 유학 초반 의사소통이 어려워서 보디랭귀지를 했던 기억도 나네요. 하지만 그런 어려움보다 독일 고전주의 음악을 경험하고 싶다는 욕심이 더 컸어요.

- 하지만 학비가 만만치 않잖아요. 클래식은 돈도 많이 들고요.
▲ 네. 많은 분들이 잘못 알고 계시는 게 독일이 학비가 없다든지 그런 건 아니에요. 물론 미국에 비해서는 싸요. 하지만 모든 물건에 세금이 19%가 붙고요. 유로화도 비싸고요. 유럽 유학은 만만히 보시면 안 돼요. 유학 온 한국 친구들 중에는 정말 훌륭한 재능이 있는데 집안 형편이 안 돼서 학비 때문에 아르바이트하는 유학생도 많아요. 접시 닦고, 서빙도 하고.



- 클래식 연주자가 접시를 닦아요? 왠지 다 부유한 집안에서 자랐을 것만 같은데요.
▲ 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아요. 저는 (경제수준이) 중간인데 집 난방비가 비싸서 점퍼 걸치고 리포트 쓰고 그랬거든요.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라요.

- 그런데 유학 생활 도중 독일 필하모니 베스트팔렌 오케스트라의 정식 단원이 되셨죠.
▲ 운이 좀 좋았죠. 학교 실습실에서 한밤중에 연습을 하고 있었어요. 창밖을 보면서. 그런데 마침 그곳을 지나던 한 교수님이 비올라 소리를 듣고는 저보고 오디션을 보러 오라는 거예요. 그래서 시험에 참가했죠. 특이했던 건 독일은 악단 멤버 전원이 오디션 참가자를 평가해요. 들어갈 때는 좀 무서웠지만 나중에 보니 팀워크가 좋은 이유가 있던 거죠.

-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기억나는 에피소드 하나만 얘기해주세요.
▲ 일단 참 좋았던 점이 공연 가격이 한국과 많이 달라요. 무료 공연도 많고, 5유로(약 7000원) 공연도 있고요. 그래서인지 할아버지가 손자들과 함께 가족 단위로 공연장을 찾기도 해요. 관람료가 낮은 만큼 관객층이 넓다는 것도 한국과는 다르죠.

접시 닦고 서빙하면서 유학 생활
"한국은 생계 때문에…독일은 자기가 좋아서"

- 독일의 음악과 한국의 음악, 또 어떤 점이 다른가요.
▲ 우선 한국은 굉장히 절도가 있어요. 하지만 독일은 즐기면서 재미있게 하는 음악이 많아요. 실내악은 율동도 섞어서 하고요. 제 생각에 한국은 (연주자의) 생계랑 맞닿은 부분이 많아서 (음악이) 딱딱해질 수밖에 없어요. 반면 독일은 돈과 상관없이 자기가 좋아서 음악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독일에서는 내가 연주를 하든 농사를 짓든 서로 큰 차이 없이 돈을 벌 수 있거든요. 그만큼 생계에서는 자유로운 편이죠.


- 꼭 돈을 벌려고만 음악 하는 건 아니잖아요.
▲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이게 현실이죠. 음악가가 돈을 벌 수 있는 조건이 많이 제한돼 있어요. 기회도 많지 않고요. 더 슬픈 건 음악에 재능 있는 친구들도 예중·예고를 다니다가 중간에 나가요. 왜냐면 그 돈은 부모님이 해주고 싶어도 너무 부담이 크니까. 독일에 있을 때도 금전적인 문제로 유학을 포기하는 한국 친구들 많이 봤어요. 하지만 독일인 중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음악 그만둔다는 사람 보지 못했어요. 씁쓸한 현실이죠.



- 요즘 한류 얘기가 많은데 클래식도 한류 열풍이 불면 시장이 좀 넓어지지 않을까요.
▲ 우리나라 천재들을 놓고 보면 정말 가능성이 많아요. 문제는 그게 끝이죠. 저는 아직 멀었다고 봐요. 먼저 교육이나 공연 인프라 문제가 크죠. 특히 티켓 값이 너무 비싸요. 예를 들어 정명훈씨가 서울시향에 계시잖아요. 그런데 정명훈씨에게 돈을 많이 주면서 티켓 값도 그만큼 올라갔죠. 그런데 또 특별한 계층만 클래식을 듣는 건 아니잖아요. 참 답답하죠.

- 그런데 클래식 애호가들은 클래식 대중화에 반대하지 않나요.
▲ 아니요. 제 생각에는 뉴에이지 이런 것도 클래식의 한 범주라고 생각해요. 집에서 만돌린 음악을 듣는 것도 클래식을 즐기는 거구요. 취향이잖아요. 다만 고전적인 클래식이 있는 거고 현대적인 클래식도 있는 거고요. 대중적이라고 해서 나쁜 게 아니잖아요. 그리고 클래식도 대중적으로 알려야죠. 제 음악만 고집할 게 아니라 대중이 아는 곡들로 먼저 다가가서 친근하게 활동하고 싶어요.

- 앞으로의 계획은 뭡니까.
▲ 공연 끝나고 단원들과 같이 내려오면서 "수고했어"라고 말하는 이때가 너무 좋아요. 독주회도 지금 준비는 하고 있지만 실내악이든 오케스트라든 대중화된 음악을 동료들과 함께 선보이는 그런 비올리스트가 되고 싶어요. 그래서 '비올라하면 조아람' 이렇게 제가 떠오를 수 있다면 더 좋겠어요. 이거 너무 꿈이 큰가요?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조아람은?>

99' 선화콩쿠르 2위

00' 선화예술학교입학

03' MHS Mannheim음대 주최 GMI 국제 콩쿠르 1위없는 2위

05' Knabechor Wuppertaler Kurrende 어린이합창단 및 성인합창단과 현악4중주로 협연

08' Robert-Schumann-Musikhochschule Duesseldorf Vordiplom졸업

09' Duesseldorf대학원 Saint-Saens 7중주로 연주활동


09' 재독 코리아심포니 수석 역임. 고양시 , 광주 공연

09' 아이레네 오케스트라 부수석 역임. 예술의 전당 및 부산 공연

10' RSH재학도중 Neue Philharmonie Westfalen 최연소 오케스트라단원.

10' Swiss Zuerich 초청연주회.

11' NPW 오케스트라 Mahler Sinfonie5. 솔로 Viola CD녹음참여 그외 오페라 음악 및 다수 CD녹음 참여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한샘 시흥공장 그린벨트 훼손 의혹

[단독] 한샘 시흥공장 그린벨트 훼손 의혹

[일요시사 취재1팀] 김철준 기자 = 우리나라는 개발이 제한돼있는 토지가 있다. 해당 토지들의 개발을 위해선 지자체장의 승인이나 대통령령 승인이 있어야 한다. 부동의 가구 1위 기업인 한샘이 개발제한구역을 마음대로 훼손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대상은 시흥 제1공장 부지 주변 필지다. 행정조치가 완료됐다고는 하지만 완전히 원상복구는 되지 않았다. 한샘은 주방·인테리어가구를 판매·제조하는 대한민국 부동의 1위 가구 업체다. 1970년 9월 한샘으로 창립한 뒤 1977년 국내 최초로 주방가구를 수출해 1979년에 수출 100만달러 돌파의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한샘의 2023년도 기준 매출액은 1조9669억원에 달한다. 영업이익은 19억4660만원이다. 최초의 공장 성장 시발점 한샘의 성장은 시흥 공장과 함께했다. 조창걸 명예회장이 자본금 200만원으로 은평구 대조동에 23.1㎡의 매장으로 시작했던 한샘은 1976년 시흥시 조남동에 최초의 공장다운 공장을 설립했다. 제1공장을 통해 한샘은 생산 체계를 크게 개선하며 큰 실적 향상을 이뤘다. 한샘은 현재 시흥과 안산 등에 4개의 물류센터·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당초 한샘 시흥 공장은 조남동 ▲594-1번지 ▲91-144번지 ▲91-145번지 세 곳의 필지, 약 1만4610㎡의 면적으로 지어졌다. 현재는 한샘은 91-117번지 매수해 총 1만8429.8㎡의 면적을 공장 부지로 사용 중이다. 등기사항전부증면서 확인 결과 한샘은 해당 부지 외 시흥 공장과 인접한 4개 필지 ▲조남동 91-163번지, 2076㎡ ▲조남동 91-165번지, 207㎡ ▲조남동 91-166번지, 109㎡ ▲조남동 산 57-1번지, 3273㎡도 소유하고 있다. 항공지도에 따르면, 한샘 시흥 공장의 정문 바로 앞을 3개의 필지 ▲조남동 91-163번지 ▲조남동 91-165번지 ▲조남동 91-166번지가 둘러싸고 있으며 산 57-1번지는 공장 뒤편 산과 맞닿아 경계를 이루는 형세를 나타낸다. 그런데, 가장 오래된 2008년 항공사진부터 지금까지 해당 필지를 야외주차장 및 자재 적재용으로 사용해 왔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점은 해당 필지의 지목이 모두 ‘임야’라는 것이다. 임야는 산림과 원야로 구성된 토지로, 공간정보관리법에서는 죽림지, 수림지, 암석지, 모래땅, 습지, 황무지, 자갈땅 등을 예로 들고 있다. 임야는 대부분 산림자원보호법에 따라 산림보호구역 또는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다. 즉, 산림청의 허가 없이는 토지의 용도변경이나 개발이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간혹 산림보호구역이나 지역이 아닌 임야도 있지만 이 역시 산림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토지의 용도변경이나 개발이 가능하다. 시흥 제1공장 주변 4필지 무단 개발 개발제한지역·공익용 산지에 해당 한샘이 야외주차장과 자재 적재용으로 사용한 필지는 모두 개발제한구역에 포함돼있다. 한샘이 산림청의 허가를 받지 않고 개발제한구역 땅을 개발해 무단으로 다른 용도로 사용했다는 의심이 드는 사안이다. 실제로 시흥시 도시정책과는 해당 필지와 관련해 많은 민원을 접수했다. 민원은 해당 필지들의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2조 위반이 주된 내용이었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2조에 따르면, 개발제한구역에서는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 공작물의 설치, 토지의 형질변경, 죽목의 벌채, 토지의 분할, 물건을 쌓아놓는 행위(적재) 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1항에 따른 도시·군계획사업의 시행을 할 수 없다. 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와 이에 따르는 토지의 형질변경 ▲개발제한구역의 건축물로서 제15조에 따라 지정된 취락지구로의 이축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철거된 건축물을 이축하기 위한 이주단지의 조성 ▲건축물의 건축을 수반하지 않는 토지의 형질변경으로서 영농을 위한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의 형질변경 등 9가지의 경우만 예외로 하고 있다. 이렇듯 한샘의 4 필지 사용은 예외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다. 산림청장 허가받았나 민원을 접수한 시흥시 건축과 개발제한구역지도팀은 2020년에 해당 필지에 관한 현장조사 이후 한샘에 원상회복 행정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한샘은 이에 불복하고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감행했다. 재판부는 개발제한구역 지정으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한 한샘의 주장을 일부 받아들여 이행강제금 일부를 한샘에 돌려주도록 판단했다. 하지만 이는 시흥시의 행정조치가 잘못됐다는 판결이 아니었다. 법적 싸움 끝에 시흥시의 원상복구 행정조치는 진행됐다. 시흥시 개발제한구역지도팀에 따르면, 한샘은 행정소송 이후 2022년부터 2023년에 걸쳐 원상복구를 완료했다. 시흥시 개발제한구역지도팀 관계자는 “행정조치 이후 원상복구까지 불법으로 개발한 것을 모두 해체하고 폐기물 처리까지 완료해야 하는 만큼 많은 시일이 걸린다”며 “해당 필지(조남동 91-166번지와 산 57-1번지)는 지난해 11월 원상복구 이행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샘 관계자는 “해당 부지는 한샘이 소유하고 있거나 소유했던 땅으로 불법 점용한 적이 없으며, 해당 부지는 개발제한구역 지정 전과 동일한 상태로 복구를 완료한 상태”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요시사> 취재에 따르면, 한샘은 여전히 해당 필지들을 불법 점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흥시가 원상복구 이행을 확인한 필지는 조남동 91-166번지와 산 57-1번지다. 하는 척 얼렁뚱땅 <일요시사> 확인 결과 조남동 91-166번지는 도로와 인접한 부분의 절반의 울타리만 철거됐으며 여전히 4~5대의 차량이 주차돼있는 상태였다. 해당 필지는 개발제한구역이면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역‧지구로는 도시지역, 자연녹지지역로 구분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해당 지역에 4층 이하의 건축물을 지을 수 있지만, 개발제한구역이므로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 등이 불가능하다. 시장 혹은 도지사·군수 등의 허가를 받을 경우 가능하지만, 시흥시에서는 해당 부지의 주차장 사용을 허가해주지 않았다. 행정조치 이후에도 계속 불법으로 점용하고 있는 셈이다. 산 57-1번지도 마찬가지다. 항공사진을 분석한 결과 2008년부터 해당 필지를 덮고 있던 콘크리트는 2013년에 사라졌지만 자재가 적재돼있었다. 이후 2020년에 다시 콘크리트가 덮였다가 2022년 흙밭으로 복구됐다. 하지만 여전히 자재는 적재돼있다. 게다가 <일요시사> 확인 결과 조남동 산 57-1번지와 조남동 산 57-5번지가 개발제한구역이면서 공익용 산지로 지정돼있어 보전산지로 분류되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산 57-5번지가 산지 그대로 있는 것과 다르게, 산 57-1번지는 콘트리트가 지반을 받치고 있으며 경계선에는 울타리가 쳐져 있다. 행정조치 완료? 완전 복구 안돼 한 부동산 전문 변호사는 “공익용 산지를 마음대로 개발하면 산지관리법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다”며 “해당 부지 명의가 한샘이더라도 시장 등 지자체의 허가 없이 개발하면 안되는 곳으로 구조물을 통해 공장부지와 평행을 맞추는 지반을 만드는 것도 허가가 필요한 작업”이라고 말했다. 행정조치가 진행 중인 상황에 문제가 되는 필지를 매매한 정황도 포착됐다. 한샘은 조남동 91-163번지의 필지를 1985년 매입했다. 이후 야외주차장으로 사용하던 해당 필지를 2022년 11월4일 갑자기 팔아버렸다. 2022년은 한샘과 시흥시의 행정소송이 끝나고 행정조치가 진행되던 시기였다. 현재 해당 필지는 ㈜효경개발이 매수해 크레인과 덤프트럭 등 중장비 주차장으로 이용 중이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원상복구에 많은 금액이 들어가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토지를 매매한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한 토지 전문가는 “일반적으로 야외주차장으로 사용하던 토지를 원상복구하는 데 많은 금액이 들어가지 않지만 해당 필지는 공익용 산지로 산지 조성까지 해야 해 상황이 다르다”며 “산지 조성에 들어가는 금액도 지불하지 않고 토지를 매매한 것은 이중으로 이익을 얻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한샘 관계자는 “크레인 등 장비가 있는 부지는 한샘의 소유가 아니므로 저희가 알 수 없다”며 답변을 회피했다. 문제의 필지 매매한 정황 한샘 측은 이번 불법 점용 의혹에 관해 개발제한구역 지정이 공장 설립보다 늦게 이뤄져 어쩔 수 없이 불법적인 개발로 분류됐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해당 필지들은 지난 1976년 12월에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됐다. 시기상 한샘의 공장 설립 이후에 묶인 셈이다. 하지만 산 57-1번지를 제외하고 나머지 필지들은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이후인 1985년 매입한 땅이라 불법임을 알고도 마음대로 개발했다는 지적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 <kcj512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