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매뉴얼이 없는 게 아닙니다. 매뉴얼대로 하질 않는 게 문제죠. 반복된 교육을 통해 관계자에게 숙지시켜야 합니다. 군중이 밀집될 가능성이 높은 장소에 가는 시민에게 방송을 통해 주의를 줘야 해요. 사고는 분명히 또 일어날 겁니다. 사전, 사고 직후, 사후 조치를 잘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임강수 사단법인 한국보안안전관리협회 회장은 이태원 참사를 보면서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임 회장은 “미련이 남는다. 사고가 일어나면 트라우마를 제일 많이 겪는 사람이 우리 같은 전문가다. 조금만 신경 썼더라면, 매뉴얼대로 했더라면 등의 아쉬움이 남는 것이다. 이태원 참사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2016년 3월 공무원 수험생 송모씨가 정부서울청사에 침입해 자신의 성적을 조작한 사건이 일어났다. 국가중요시설인 정부서울청사가 공시생 1명에게 완전히 ‘농락’당한 사건으로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됐다. 이 사건을 계기로 2018년 3월 비영리 사단법인 한국보안안전관리협회가 생겼다.
“(우리 협회는)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보안·안전·관리 3개 분야의 업무를 지원해요. 그중 안전은 재난안전과 테러가 있어요. 재난안전은 사회재난과 자연재난으로 나뉘는데 이태원 참사는 사회재난에 해당됩니다. 사회재난, 즉 인위적인 어떤 행위에 의해 발생한 재난에 대해 매뉴얼을 통해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고민합니다.”
임 회장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재난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등을 뒤적이면서 군중이 운집하는 현장에서 지자체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지역축제의 경우 1000명 이상의 사람이 모일 것으로 예상될 때는 안전 활동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법에 명시돼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매뉴얼에는 축제 기획부터 단계별로 개최자, 지자체, 경찰 등의 역할이 있다. 기획 단계에서 안전관리 계획을 세우고 축제 진행 중에는 순찰 활동, 안내요원 배치 등을 해야 한다는 것.
또 사고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취약 지역이 존재하면 지도‧점검에 나서고 축제가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도 안전관리 계획 이행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매뉴얼·교육·자원봉사자 필요
문제는 이태원에서 진행된 핼러윈 축제에 매뉴얼을 적용시킬 수 있는지 여부다. 핼러윈 축제를 ‘지역축제’로 분류할 수 있냐는 것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임 회장은 “이태원에서 핼러윈 축제가 열리고 그 자리에 1000명 이상의 사람이 몰릴 것이라는 사실은 아마 전 국민이 알았을 것”이라며 “그러면 안전 조치도 매뉴얼에 맞게 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축제가 열린다는 홍보는 지속적으로 하면서 왜 안전관리 계획은 세우지 않았느냐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그는 “조심스러운 부분이지만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책임을 물어야 하는 사람이 참여자다. 통제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참여자가 그에 따르지 않았다면 문제가 생겼을 때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다”고 했다.
1차적으로 시민의식의 문제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비역 대령으로 예편한 임 회장은 “군의 경우 예하부대에서 훈련하면 상급지휘관이 자리를 지킨다. 하지만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는 몇몇 관계자가 현장을 지키지 않는 모습이 나타났다. 자리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점에서 2차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결국 핼러윈 축제에 대한 통제는 구(용산구)에서 맡았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태원 참사 같은 대형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매뉴얼대로 관리하고 시민의식을 교육시키고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언론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시민에게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는 30초~1분 길이의 영상을 만들어서 알리는 역할을 해야 됩니다. 이태원 참사에서 언론은 자극적으로 보도만 했지, 국민을 ‘치유’시키진 못했어요.”
언론의 연이은 보도가 국민을 이태원 참사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반복되는 보도로 국민이 피로감을 느끼고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했다는 것.
그러면서 국민이 참사에서 멀어져 치유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제작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것이 국민은 물론 이태원에서 장사를 하고 있는 상인을 살릴 수 있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이태원 참사는 이미 마무리됐어야 할 일입니다. 이제 그 이후를 생각해야 해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어느 정도 진행됐고 재발 방지책이 마련되면 최종 책임자는 아마 그때쯤 물러날 겁니다. 사고는 벌어졌고 피해자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산 사람은 또 살아야 하지 않겠습니다. 정상화 작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