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영혼의 여행' 김영배

평화롭고 풍요로운 기억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한진그룹 산하 일우재단에서 운영하는 일우스페이스가 김영배 작가의 개인전을 준비했다. 이번 전시는 김영배의 60년간 작업 궤적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전망이다. 여기에 신작 2점도 함께 선보인다. 

김영배는 선과 면, 마티에르를 조화롭게 구성해 편안한 추상 언어로 관람객에게 접근해왔다. 그의 작품은 통제된 색상과 절제된 조형으로 인해 한편의 ‘조형시’ 같은 대작을 만들어왔다는 평을 받고 있다. 

초현실주의

그는 1960년대 국전 스타일의 아카데믹한 자연주의 회화나 전위 미술의 명분을 상실하고 추상 미술의 흐름으로 뛰어들기 시작한 형식주의 회화의 시대에서도 자신만의 고유한 회화 미학을 다져왔다. 심상용 미술사학 박사(서울대 교수)는 김영배의 회화가 ‘부침이 심했던 우리 화단’의 여러 상황들 안에서 크게 과소평가 돼왔다고 전했다.

심 박사는 “그의 회화는 감각적으로 절제되고 조형적으로 흐트러짐이 없다”며 “전체를 조율하는 감각은 섬세하고 막힘없이 자연스럽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채색과 유채색의 조정된 충돌, 큰 면과 작은 면의 교차 사이로 막혔던 감정선이 리듬을 타고 시적으로 흐른다”고 덧붙였다. 

60년 작품세계 조명
신작도 2점 선보여


김영배는 국전과 창작미술가협회전을 통해 초현실주의적인 경향을 안은 추상화의 맥락을 개척해왔다. 국내 화단에서 초현실주의의 독보적인 맥락을 보여주면서 부분적으로 대상을 연상시키고, 형태를 만들어 아득한 창공과 자유로운 자연물을 연상케 하는 화사한 내면을 가득 채워냈다. 

심 박사는 “김영배의 회화에선 시점과 차원이 즐거이 뒤섞인다. 꿈과 현실이, 경험과 상상이, 시적 도양과 산문적 흐름이 공존한다”며 “꿈과 기억, 물질과 비물질은 서로에게 조금도 적대적이지 않다. 이 세계의 어떤 것들은 꿈과 환상으로부터 공수해온 것이고, 또 다른 어떤 것들은 실존으로부터 인용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같은 기억이라 할지라도 어떤 것은 또렷하고 어떤 것들은 망각 뒤꼍으로 사라지는 중이다. 시간의 이편과 저편이, 사물과 사물의 해체가 이 세계에서만큼은 격의 없이 혼합된다”며 “김영배가 조율하는 이 세계는 열려 있고, 여기서는 모든 시간에 속한 것들과 모든 공간에서 온 것들이 각각 자신에게 할당된 자리를 제공받는다. 이 세계에선 누구도 위협받지 않으며, 무엇도 추방될 염려가 없다”고 강조했다. 

오브제와 내용의 따스한 조화
심상·내면 풍경 신선함 전해

추상화는 대체로 대상을 해체‧재조합해나가는 구성의 과정을 거쳐 색과 형태를 자립시킨다. 김영배의 작업은 이러한 과정을 거침에도 불구하고, 그 오브제들과 내용이 따스한 조화를 이루며 심상의 풍경 혹은 내면의 풍경이라 할 수 있는 신선함을 전해준다. 

심 박사는 “김영배의 회화가 구상과 비구상을 넘나들고 추상과 초현실주의 풍을 오갔던 기록을 20세기 회화사의 어느 지점에 위치시킬 것인가는 오히려 그리 시급한 일이 아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영혼의 여행’에 더 가까이 다가서서 깊이 음미하는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화사한 내면


일우스페이스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당대의 시대적 화풍과 주류에 휩쓸리지 않고 화가의 신념을 다져온 김영배만의 회화 미학과 그의 ‘영혼의 여행’까지 살펴볼 수 있는 기회”라며 “평화롭고 풍요로운 자유의 기억, 그 한 장면으로 관람객을 초대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전시는 다음달 26일까지.


<jsjang@ilyosisa.co.kr>

 

[김영배는?]

▲출생
1942년 강원도 횡성

▲학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과 졸업(1982)

▲개인전
국립공보관화랑 제3실(1963)
국립공보관화랑 제1실(1966)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1979)
압구정점 현대백화점 현대미술관(1986)
무역센터 현대백화점 현대미술관(1991)
신세계본점 신세계 갤러리(1994)
인사아트센터(2003)
조선화랑(2009)
인사아트센터(2016)

▲수상
국전 14·17회 특선(1965·1968), 연속 14회 입선(1962~1980)
현대작가전 입선(1961·1962·1963)
한국미술대상전 입선(1970·1971·1976·1978)
동아미술대전 입선(1978)
중앙미술대전 입선(1978·1979)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br>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국민의힘 지도부가 대선후보 교체를 강행한 데 대해 10일, 김문수 후보가 “불법적이고 부당한 후보 교체에 대한 법적·정치적 조치에 즉시 착수하겠다”며 강력히 대응을 예고했다. 김 후보는 이날 여의도 선거캠프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야밤에 정치 쿠데타가 벌어졌다. 대한민국 헌정사는 물론이고 전 세계 역사에도 없는 반민주적 일이 벌어졌다”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국민과 당원의 선택을 받아 정당하게 선출된 저 김문수의 대통령 후보 자격을 불법적으로 박탈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에 의하면 대통령후보는 전당대회 또는 그 수임 기구인 전국위원회서 선출하게 돼있는데 전국위원회가 개최되기도 전에 아무런 권한이 없는 비상대책위원회는 후보 교체를 결정해 버렸다. 이는 명백한 당헌 위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는 제가 후보로 선출되기 전부터 줄곧 한덕수 예비후보를 정해 놓고 저를 압박했다”며 “어젯밤 우리당의 민주주의는 죽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저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투쟁을 계속 할 것”이라며 “우리가 피와 땀으로 지켜 온 자유민주주의의를 반드시 지키겠다. 국민 여러분, 저 김문수와 함께해달라”고 호소했다. 실제로 김 전 후보 측은 이날 중으로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대통령 후보자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후보가 시간 끌며 단일화를 무산시켰다”며 “당원들의 신의를 헌신짝같이 내팽개쳤다”고 주장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이재명 독재를 저지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후보로 단일화해서 기호 2번 국민의힘 후보로 세워야 한다는 게 당원들의 명령이었다”며 “우리 당 지도부는 기호 2번 후보 단일화를 이루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했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께 단일화 약속을 지켜주실 것을 지속적으로 간곡히 요청드렸고 저를 밟고서라도 단일화를 이뤄주십사 부탁했다”는 권 비대위원장은 “하지만 결국 합의에 의한 단일화는 실패하고 말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너무나 안타깝고 가슴이 아프다. 단일화는 누구 한 사람, 특정 정파를 위한 정치적 선택이 아니다. 누구를 위해 미리 정해져 있던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민의힘 비대위는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뼈아픈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며 “비대위는 모아진 총의와 당헌·당규에 따라 김 후보 자격을 취소하고 새롭게 후보를 세우기로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앞서 당 지도부는 이날 새벽 비대위와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를 열고 한 예비후보를 대선후보로 재선출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이날 오후 9시까지 진행되는 당원 투표를 거쳐 오는 11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마치면 대선후보 교체가 이뤄질 예정이다. 일각에선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이 이뤄졌던 이번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선후보 교체를 두고 절차적 정당성 등의 다양한 뒷말이 나오고 있다. 치열한 경선 과정을 통해 최종 후보로 선출돼있는 공당의 후보를 두고, 당 지도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무소속의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시도하려는 것 자체가 상식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후보 접수도 이날 새벽 3시부터 4시까지 단 한 시간만 받았던 점, 한 후보가 32개에 달하는 서류를 꼭두새벽에 접수했다는 점 등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양수 선관위원장은 이날 당 홈페이지를 통해 “당헌 74조 2항 및 대통령 후보자 선출 규정 제29조 등에 따라 한 후보가 당 대선후보로 등록했다”고 공고했다. 앞서 이 선관위원장은 김 후보의 선출을 취소한다는 공지와 후보자 등록 신청을 공고했다. 김 전 후보와 한 후보는 후보 단일화 문제로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여왔다. 지난 1차 회동에 이어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모처서 가졌던 2차 긴급 회동서도 단일화 방식 등 룰에 대해 논의를 시도했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끝내 결렬됐다. 그러자 이날 권성동 원내대표는 “단일화 없이 승리는 없다”며 국회 원내대표실 앞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권 원내대표는 “두 후보 간의 만남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며 “후보 등록이 11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오늘(7일)은 선거 과정서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가 불과 27일 남았다. 이제 남은 시간이 없다”며 “이재명 세력은 공직선거법상의 허위 사실 공표죄를 사실상 폐지하고 대법원장 탄핵까지 공언하면서 대한민국 헌정 질서의 마지막 숨통까지 끊어버리려고 한다. 반면 우리는 단일대오조차 꾸리지 못하고 있다”고 자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