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경기도 광주 소재 닻미술관에서 한국 1세대 사진작가 주명덕의 개인전 ‘집’을 준비했다. 주명덕은 우리네 삶이 시작되는 곳인 집에 주목했다. 이번 전시는 주명덕의 55년 화업을 총망라한 전시가 될 예정이다.
닻미술관에서 오는 6월27일까지 주명덕 작가의 개인전 ‘집’을 진행한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에 찍은 우리나라의 집과 배경이 담긴 사진을 주로 선보인다. 특히 1980년대 직접 인화한 초기 사진들과 프린트도 새롭게 소개한다.
무엇을
집은 우리의 삶이 시작되는 곳이다. 긴 하루를 보내고 돌아갈 수 있는 안식처이기도 하다. 집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마을, 이웃과 함께 오가던 길, 집을 둘러싼 안팎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세월을 따라 한 점에서 그 점을 둘러싼 우주로 넓고 조화롭게 퍼져나간다.
주상연 닻미술관 관장은 “전시를 준비하며 찾아간 안동의 작업실에서 오래전 한 지면에 실린 글을 읽었다”며 “선생님께서 50대에 쓰신 ‘무엇을, 누구를 위해’라는 제목의 글에는 ‘나의 사진들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사진가로서 사회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하는 공적 소명의 마음이 담겨 있었다”고 회상했다.
주명덕은 <네이버캐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작품세계가 크게 3번 변했다고 설명했다. 1960년대 다큐멘터리 사진, 한국의 사람과 자연을 주제로 한 사진, ‘풍경’ 연작 등이다.
1966년 혼혈고아 사진으로 조명
다큐멘터리에서 풍경 연작으로
당시 그는 “처음에는 사회에 대한 관심이 깊어 다큐멘터리로 시작했다. 사명감이라고 하기엔 조금 거창하고, 어두운 사회가 밝은 곳으로 가는데 내 사진이 일조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다큐멘터리를 이어가지 못했다. 주명덕은 사회가 자신의 사진을 받아들여주지 않아 다큐멘터리 사진을 포기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후 그의 사진은 사회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에서 조국에 대한 관심으로 영역이 확장됐다.
그는 “신세계백화점의 화랑에서 ‘헌사(獻寫)’라는 제목의 전람회를 했다. 시인 오정환의 시집인 <헌사(獻詞)>에서 영감을 얻어 헌정할 헌(獻)자에 사진 사(寫)자로 바꿔 ‘내 사진을 조국에 바친다’는 뜻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당시 전람회를 계기로 주명덕의 작품세계는 변화를 맞았다. 그는 “평소 사진은 어떤 것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사회문제를 제기하지 않는 사진은 죽은 사진으로 봤다. 하지만 사회는 내가 찍은 사진을 외면했고, 그래서 나도 어쩔 수 없이 피해갔다. 그 시절을 생각하면 스스로 ‘비겁한 작가’라고 생각할 때도 있지만, 지금 와서 생각하면 그것도 자연스러운 변화였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한미사진미술관은 ‘주명덕 섞여진 이름들’ 전을 개최했다. 당시 1960년대 한국전쟁의 잔재와 신문물의 유입이 공존한 서울을 포착한 작품들이 소개됐다. 주명덕은 1966년 서울 중앙공보관화랑에서 ‘홀트씨 고아원 아이들의 초상’ 95점을 선보였다. 한국 사진사 최초로 주제의식을 가지고 연작 형태로 진행된 전시였다.
사회 기여에 대한 고민
55년 작품세계 담았다
한국전쟁의 아픈 역사를 드러내는 사진전 ‘포토에세이 홀트씨 고아원’은 혼혈고아 문제를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 이후 전시를 정리한 사진집 <섞여진 이름들>이 출간됐고, 책에 수록된 전작을 한미사진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가 지난해 전시를 통해 대중에 소개한 것.
작품에는 한국의 시대상이 생생하게 담겼고, 대상과 풍경을 바라보는 주명덕의 시선이 녹아있다.
주명덕은 이번 전시에서도 많은 것들이 변했지만 변하지 않는 근원적인 질문,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오랜 질문을 사진에 담았다.
주상연 관장은 “우리는 사진을 보지만 이 사진들은 선생님의 발자욱이고 삶의 기억이라는 생각을 해본다”고 했다.
그는 “좋은 사진은 기억을 불러내고 그것을 기록한 이가 바라본 시선의 온도를 전한다. 사진 속 집을 둘러싼 빛과 바람, 보이지 않는 공기에는 작가가 오래도록 지켜온 이 땅과 사람에 대한 따뜻한 사랑이 담겨 있다”며 “비록 아무것도 없을지라도, 마음만은 풍족했던 옛 삶의 모습이 담긴 그의 사진 속 ‘집’으로 여러분을 초대한다”고 덧붙였다.
누구를 위해
한편 닻미술관은 다음달 8일 전시연계프로그램으로 강미현 예술학 박사의 ‘주명덕의 집- 기록 사진의 힘’ 강연을 진행한다. 주명덕의 집 사진과 함께 사진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 보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19세기 유럽의 산업화와 함께 태어난 사진은 기록을 바탕으로 저널리즘과 다큐멘터리 사진으로 정체성을 다져왔다. 기록을 사진의 힘으로 믿었던 주명덕 사진과 1960년대 다큐멘터리 사진을 통해 사진이란 무엇인가 근본으로 돌아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전망이다.
<jsjang@ilyosisa.co.kr>
[주명덕은?]
1940년 황해도에서 태어나 1947년 38선을 넘어 서울에 정착했다. 경희대 사학과 재학 시절부터 아마추어 사진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사진작가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건 1966년 ‘포토에세이 홀트씨 고아원’ 개인전이 큰 반향을 일으킨 이후다.
1968년 <월간중앙>에 입사한 그는 ‘한국의 이방’ ‘한국의 가족’ ‘명시의 고향’ 등 다수 연작을 선보였다.
이후 한국의 자연을 주제로 기록성을 넘어 한국적 이미지에 대한 자신만의 시선을 작품에 담아냈다.
한국 기록사진의 전통을 통합하고 대상을 창조적으로 해석해 현대적 의미를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