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갤러리현대가 개관 50주년을 맞아 준비한 특별전 ‘현대 HYUNDAI 50’ 2부가 관람객들을 찾아온다. 2부에서는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갤러리현대와 동행한 한국 작가 16명과 해외 작가 13명의 작품 70여점이 소개된다.
갤러리현대는 1980년대 초중반부터 세계화 비전을 전시 프로그램에 본격적으로 반영하기 시작했다. 1981년 3월 호안 미로를 시작으로 같은 해 9월 마르크 샤갈, 1983년 3월 헨리 무어의 개인전 등 해외 유명 작가의 전시를 지속적으로 개최했다.
80년∼현재
1987년 한국 갤러리 최초로 해외 아트페어에 참가해 한국미술을 국제무대에 알렸다. 장르와 매체가 다변화하고 작품 규모가 확대된 1990년대에는 동시대 미술의 최신 경향을 반영해 전시장을 새롭게 마련했다. 2000년대는 윈도우갤러리, 두아트, 16번지 등 프로젝트 스페이스를 운영하면서 젊은 작가들을 발굴하고 지원했다.
갤러리현대 개관 50주년 특별전 ‘현대 HYUNDAI 50’ 2부에서는 이승택·곽덕준·박현기·이건용·이강소 등 한국의 주요 실험미술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서 만날 수 있다. 갤러리현대는 10여년에 걸쳐 다섯 작가의 기념비적 작품을 선보이는 전시를 연이어 개최했다. 세계 미술사의 거대한 흐름과 맥락에 맞춘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2013년 이승택의 ‘고드랫돌’과 2016년 이건용의 퍼포먼스 사진 ‘장소의 논리’는 런던 테이트미술관에, 2018년 박현기의 대표작 ‘무제(TV돌탑)’는 뉴욕 현대미술관서 소장하는 등 이들의 작품이 세계적으로 뻗어나갔다.
다섯 작가는 한 장르나 특정 사조에 포섭되지 않는 전위적 작품활동을 펼쳐왔다. 이들의 작품에는 자연과 인공, 삶과 예술, 물질과 관념, 전통과 혁신, 실재와 환영 등 미술사를 가로지르는 첨예한 문제의식이 담겨있다.
4∼5월 1부 전시 이어
7월19일까지 2부 전시
다섯 작가가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중반의 한국미술계는 한국의 실험미술이 꽃 핀 시기라 할 수 있다. 앵포르멜 이후 한국 화단의 새로운 조형질서를 모색하고 창조하려던 작가들로 구성된 그룹이 동시다발적으로 결성됐다.
이승택은 한국 실험미술의 선구자로 손꼽힌다. 195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 비조각이라는 자신만의 핵심 개념을 담은 전위적 작품을 발표해왔다. 이번 특별전에 출품된 ‘무제’에는 이승택의 비조각 개념은 물론 작품이 놓이는 환경에 관한 작가의 관심이 녹아 있다. 1982년 관훈미술관서 열린 개인전서 처음 발표한 이 작품은 40년 만에 관람객들과 다시 만난다.
한국과 일본 미술계서 활약한 곽덕준은 명확하고 자명한 것으로 여겨지는 세계의 구조와 질서에 난센스의 미학으로 답했다. 이런 창작 활동의 배경과 태도는 그의 불안정한 정체성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일본 국적으로 일본서 거주하던 작가는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일본 국적을 박탈당했다. 재일한국인이 된 그는 1960년대 말 석고와 호분, 수지 등이 들어간 독특한 회화로 미술계에 데뷔한 이후 사진, 이벤트, 영상, 퍼포먼스 등 여러 매체를 활용한 작업으로 활동의 폭을 넓혔다.
박현기는 돌과 나무, 흙과 같은 자연의 물질과 TV, 거울, 유리와 같은 인공의 물질을 병치하거나 자연 풍경을 담은 영상을 건축적 설치와 결합하는 등 관념적인 비디오 아트의 세계를 구축했다.
2010년 갤러리현대는 박현기의 10주기를 기념하며 회고전을 개최, 그의 작품 세계를 재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번 특별전에는 박현기가 제15회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출품한 대표작 ‘무제(TV돌탑)’와 ‘물 기울기’를 내놨다. 자연물과 복제된 자연물에 대한 작가의 철학을 극단적으로 드러낸, 또 실재와 허상의 경계를 질문하는 작품들이다.
실험미술의 선구자들 작품
해외 유명 작가들도 조명
이강소는 누구보다 새로운 실험미술에 몰두한 작가다. 1970년 소규모 미술 그룹인 ‘신체제’를 결성했고 1973년 현대미술초대 작가전을 개최, 1974년부터 시작한 ‘대구현대미술제’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갤러리현대는 2018년, 1970년대 실험미술을 재조명하는 개인전 ‘소멸’서 갈대를 석고와 시멘트로 고정해 실내에 전시한 설치작품 ‘여백’, 화랑을 주막으로 변신시키는 ‘소멸(선술집)’ 등을 재현했다.
이건용은 한국 실험미술 운동을 대표하는 S.T. 설립 멤버이자 A.G. 주요 작가로서 전방위적 활동을 펼쳤다. 두 그룹에 모두 몸담은 작가는 이건용이 유일하다.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흐름의 최전선에 있던 이건용은 1973년 파리 비엔날레, 1979년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참여해 1970년대 한국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인정받았다.
본관 전시장을 실험미술의 선구자들인 다섯 작가들의 작품으로 꾸몄다면 신관은 현대미술사의 주요 흐름을 대표하는 해외 작가와 회화, 사진, 조각 미디어 등 한국 동시대 미술가의 다채로운 작품으로 구성됐다.
1층 전시장에는 지그재그를 그리는 12개의 네온 빛이 공간을 재정의하는 프랑스와 모틀레와, 밤하늘의 무수한 별자리가 한 장의 지도처럼 화면에 쏟아지는 이반 나바로의 아름다운 신작이 전시된다. 관람객들은 2층 전시장서 색과 형태, 언어와 이미지, 기호와 의미 사이의 다층적인 상호 작용이 만들어낸 놀라운 시각적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다.
새로운 50년
갤러리현대 관계자는 “개관 5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을 통해 갤러리의 역사뿐 아니라 한국 미술사 100여년의 발자취를 되돌아봤다. 한국 최초로 서양화가 도입된 시기에 제작된 구상회화부터 새로운 조형 언어를 꿈꾼 추상미술 1세대, 한국적 추상미술을 완성한 모노크롬 회화, 미술의 본질을 끊임없이 질문한 실험미술, 격변하는 시대의 아픔을 기록한 민중미술, 동시대 미술까지를 포괄하는 뜻깊은 시간여행이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며 “갤러리현대는 한국미술의 어제와 오늘, 미래 나아가 국제 동시대 미술의 흐름과 함께 호흡해 나갈 또 다른 50년을 준비하겠다”고 전했다. 전시는 다음달 19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