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강릉에 도착하여 외가 근처에 자리 잡은 허균은 그야말로 은둔자 생활을 시작했다.
똑같은 일상 똑같은 날들의 연속이었다.
고작 세상을 접하는 일은 그저 낙산사를 찾고 그곳에서 스님들과 벗 삼아 지내는 일이 전부였다.
그 과정에 낙산사 아래를 가득 채우고 있는 파란 바다를 바라보면서 그 바닷물에 비치는 자신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기 시작했다.
너무나 기구한 주변 사람들의 운명, 자신 역시 언제 그리 될지 모른다 생각했다.
어머니의 부름
그렇다면 자신의 흔적을 남겨둘 일이라 판단하기에 이른다.
누나 허난설헌의 경우처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정리해서 남겨 두어야 할 일이라 생각했다.
그런 연유로 허봉, 누나 허난설헌 또 스승인 이달의 작품 그리고 알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의 시를 정리하며 자신의 생각도 정리했다.
또한 그들 속에서 함께했던 자신을 찾아 그리기 시작했고 마침내 ‘학산초담’이라 이름 붙였다.
또한 자신이 기거하는 집 뒤에 위치한 동산의 기묘한 형상, 마치 승천하지 못한 용이 이무기의 형상을 하고 있는 듯한 그 모습을 바라보며 자신의 처지를 빗대어 호도 교산이라 지었다.
“그런데 어찌 다시 속세로 나오셨는지요.”
“그곳에서 인생을 마감하려고 생각했었다오. 그래서 호도 교산이라고 지었고. 그런데 하루는 어머니께서 부르시더군요.”
“어머니께서요.”
“어머니의 말씀이 거창하시더이다. 교산이 무엇이냐. 사내로 이 세상에 태어났으면 용이 되어 승천해야지 그까짓 이무기가 무엇이냐 이 말씀이었다오.”
“그래서 나리께서는 용이 되고자 다시 세상으로 나오신 것이고요.”
“용이라…….”
“언제인가는 용이 되어 승천하실 일이 아니시온지요.”
“그리 생각하시오.”
“나리께서는 당연히 그리 되실 일이옵니다.”
다시 한 번 매창의 손에 자신의 입을 대보았다.
“하여간 나는 어머니의 말씀에 따라 승천하기 위해 다시 세상으로 나왔다오.”
“그리고 세상을 유희하고 있고요.”
“결국 어머니 권유도 있었지만 큰 형님의 성화 역시 무시할 수 없었소.”
“그분도 끔찍할 정도로 나리를 위하시는 분이 아니시던가요?”
“하나밖에 남아 있지 않은 동생이니 당연히 그러셨다오.”
“그래서요.”
“형님이 강릉까지 찾아오셨더이다. 어머니의 권유는 그냥 묻어버릴 수도 있었으나 형님의 경우는 그럴 수 없었다오.”
“방금 전에 승천하기 위해서라고 말씀하신 부분은.”
“그 부분은 원론적인 부분이었고 형님의 경우는 아주 구체적이었다오.”
그날 역시 집에서 두보의 시를 읽고 있었다.
한참 작품에 몰두할 무렵 인기척이 들려왔다.
고개를 들어 기척이 들리는 방향을 바라보았다.
일시적으로 외가에 머물던 어머니께서 모습을 드러냈다.
그를 확인한 허균이 자리에서 일어나 어머니를 맞이했다.
“어머니, 무슨 일이 있는지요.”
“지금 한양에서 네 형님이 와서 기다리고 있단다. 그래서 내가 직접 이렇게 내쳐 달려왔구나.”
“허성 형님이요!”
낙산사 찾고 스님들과 벗 삼아 지내는 삶
허성, 허균을 설득…자리를 털고 일어나다
“그래.”
이전에도 허성이 여러 번 사람을 보내어 허균을 찾았었다.
그러나 허균은 차마 허성을 볼 낯이 없었다.
그런 연유로 허성의 전갈을 그냥 흘려보낸 일이 벌써 여러 번이었다.
그러니 허성이 강릉에 직접 찾아온 이유를 이미 환하게 예견할 수 있었다.
허균이 어머니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고 걷기 시작했다.
“균아,”
“네, 어머니.”
“이번에는 네 형님을 따라 한양으로 올라가거라.”
“어머니!”
“그래, 네 마음 오죽 하겠니. 그러나 이곳이 네 자리는 아닌 듯하구나. 그리고 어미는 더 이상 너를 이렇게 내버려둘 수는 없다.”
허균은 대답하지 않았다.
답을 하지 않은 이유는 머릿속이 완벽하게 비어있던 터였다.
이상하리만치 아무런 생각도 들지 않았다.
어머니와 함께 외가에 도착하자 허성이 마당에서 서성대고 있었다.
반갑게 허성에게 다가섰다.
“형님.”
“그동안 마음 좀 추슬렀느냐.”
형의 얼굴을 바라보자 가슴속에서 뜨거운 기운이 복받치기 시작했다.
그 기운들이 눈가로 따갑게 모여들고 있었다.
허성이 균에게 다가와서 손을 잡았다.
“그동안 고생 많이 했다.”
허균은 한동안 말을 할 수 없었다.
“어서 형님 모시고 방으로 들어가지 않고 무엇하고 있노.”
문득 정신을 차리고 보니 밖이었다. 허균이 고개를 들었다.
“형님, 안에 계시지 않으시고.”
막상 말해놓고 아차 했다.
형님의 경우는 엄밀하게 이야기해서 그 곳이 외가가 아니었다.
그런 허성으로서 허균이 없는 상태에서 방으로 들기는 쉽지 않을 터였다.
그를 감지한 허균이 급히 허성의 손을 잡고 방으로 이끌었다.
어머니는 저만치에서 둘의 모습을 묵묵히 바라볼 뿐이었다.
방에 들어서자마자 먼저 큰절로 예를 올렸다.
허균을 바라보는 허성의 얼굴이 그다지 편해 보이지 않았다.
“형님, 이 먼 곳까지 어인 일로…….”
우문이다 싶었다.
허성이 만사 제쳐두고 이 먼 곳 강릉까지 직접 찾아온 사유는 삼척동자도 짐작이 가능한 것이거늘.
그렇게 해서 자신의 어색함을 풀고자 함이라는 것을 물론 허성도 알고 있을 터였다.
“균아, 이제는 그만 자리를 털고 일어나야 하지 않겠니.”
허성은 항상 그랬다.
허균에게 명령조로 이야기 한 적이 결코 없었다.
허균의 의견을 구해가면서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합일점을 찾아내 균의 마음을 움직였다.
합일점을 찾다
“형님!”
균이 대답 대신 형님을 소리쳐 부르고는 그 자리에서 엎드렸다.
허성이 그런 동생에게 다가앉아 균의 등을 쓰다듬기 시작했다.
“네 가슴속이 갈래갈래 조각나 있음을 나도 이해한다. 그러나 언제까지 이러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 아니냐. 그리고 특히 너처럼.”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