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나리, 누님의 경우도 이옥봉처럼 자신을 이해해 주지 못하는 사람을 만난 경우인지요.”
허균이 물끄러미 천장을 보다가는 찬찬히 매창을 응시했다.
“이옥봉의 경우와는 조금 다르게 보아야 하지 않겠소. 내 누나의 경우는 그녀에 비하면 훨씬 불행했던 사람으로 간주할 수 있겠지.”
불행한 사람
“하오나 나리의 누님께서는 명문가의 여식이지 않사옵니까?”
“명문가의 여식이라 더욱 불행했다는 이야기요.”
허균의 자조 섞인 말에 매창이 가느다랗게 한숨을 내쉬었다.
“아무리 누나가 명문가 자식으로 태어났다고 해도 지금 이 나라 사정으로는 사치에 불과하다 이 말이오. 아니, 오히려 타고난 재주가 부담 되는 시대지요. 차라리 이거저거 생각할 게재가 되지 않았다면 그리 억울하지는 않을 일이건만.”
“그 말씀은.”
“누나의 경우 명문가의 여식이라는 부분이 꼬리표가 되어 이거저거 따질 일이 많았던 게지요.”
매창이 이해하기 힘들다는 듯이 고개를 가로 저었다.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었다 이 말이오. 누나의 문제로 걸핏하면 집안을 들먹여 대니 그 중간에 낀 누나의 입장이 어떠했겠소.”
“누님의 서방님 되시는 분이 참으로 문제였던 모양이지요.”
“매부도 알고 보면 불쌍한 사람이었다오. 그저 평범한 여인을 만났으면 좋았으련만 누나와 같은 뛰어난 사람을 만나고 말았으니.”
“나리의 말씀을 듣자면 두 분의 만남이 모두에게 불행이었다는 이야기로 들리옵니다만.”
허균이 길게 한숨을 내쉬었다. 그것이 진짜 답답해서 그런지 술기운을 좆아내려고 하는 행동인지 구분하기 힘들었다.
“어느 누구의 탓이 아니니 문제 아니요. 지금 우리 조선이 안고 있는 문제에서 출발하고 있으니 서로 답답할 뿐이오.”
“스승님, 오늘은 스승님의 스승님인 박순 대감에 대해서 알려주실 수 있겠습니까.”
허균이 느닷없이 박순의 이름을 들먹였다.
“갑자기 나의 스승님은 무슨 일로.”
“다름이 아니오라, 스승님이 박순 대감님의 수제자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제자가 스승님의 스승님에 대해 모른 데서야 말이 되는지요.”
이달이 가만히 허균의 얼굴을 응시했다.
“진짜 알고 싶은 게 무엇이냐.”
“스승님, 중국의 오언율시도 좋지만 이제는 사람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그도 배우고 싶어서 그럽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방법이라.”
말을 잇지 않고 이달의 얼굴을 빤히 주시했다.
“하기야, 그것이 너의 비극이로구나.”
“비극이라니요, 좀 더 현명하게 어떻게 살아가야 이 시대를 헤쳐 나갈 수 있는지 그를 알고 싶습니다. 그런 차원에서 스승님의 스승님에 대해서도 알고 싶습니다.”
이달이 밖을 바라보았다.
“몹쓸 친구 같으니 제 입으로 알려주지 않고. 하기야 저로서는…….”
자신의 친구, 허균의 형인 허봉을 지칭하고 있었다.
자신의 아버지와 사사건건 반대편에 섰었던 인물인 박순을 그의 아들인 허봉이 좋아할 리 없었다.
아버지 허엽은 동인으로 또 박순은 서인으로 첨예한 의견 차이를 보이고 상대방을 제압하려고 하는 과정에서 여러 변고가 생기고는 했으니 허봉으로서는 박순에 대해 좋게 생각할 리 없었다.
그렇다고 막역한 친구인 이달이 있는데 자신의 입으로 동생 허균에게 그를 이야기 할 수 없는 노릇이었다.
명문가의 여식이란 꼬리표는 불행으로
누나 행복을 외면한 스승에 대한 한탄
“균아, 어찌 보면 너의 삶도 기구할 듯 보이는구나.”
의외의 말이 흘러나왔다.
“그래서 제가 스승님께 이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그리고 저의 경우 어찌 처신해야 하는지 그를 알고 싶습니다.”
“그래, 그런데 당사자가 아닌 내가 그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자격이 되는지 모르겠구나.”
“당사자가 아니라니요?”
말을 꺼낸 허균이 아차 하는 모양으로 심각한 표정을 지었다. 얼자인 이달의 입장이 불현듯 떠오른 탓이었다. 이달이 허균의 표정을 무시하고 조용히 책을 덮었다.
“우리 실질적인 배움에 대해 말해보도록 하자.”
“스승님, 그렇다면 처음부터 가르침을 주십시오. 왜 우리가 정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부분들이 그리 되지 않는지 말입니다.”
“균아, 진정 네가 알고 싶은 바가 무엇이냐?”
덮은 책을 한쪽으로 밀어내면서 이달이 자세를 바로 했다. 허균이 나이에 걸맞지 않게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얼마 전 누나를 만나고 왔습니다. 차마 안쓰러워 견딜 수 없었습니다. 마치 새장에 갇혀있는 새처럼 가련하기 그지없었습니다. 그 일을 두고 계속 생각해보았습니다. 왜 그리도 총명한 누나가 총기를 발휘하지 못하고 작은 세상에 갇혀 신음을 토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초희.”
이달이 가벼이 되뇌었다.
그리고는 깊게 한숨을 내쉬었다.
그런 이달의 모습을 허균이 하나도 놓치지 않겠다는 듯이 주시하고 있었다.
“그래, 균아. 우리 근원적인 곳에서부터 이야기를 나누도록 하자.”
이미 이달은 허균의 의도를 알고 있는 듯했다.
허균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세상이 모순 천지였다.
허균의 누나인 초희의 문제도 그러하려니와 지금 자신의 앞에 있는 스승의 경우도 그랬다.
자신의 스승인 이달에 대해서 형인 허봉으로부터 전해들은 바가 있었다.
현재 조선에서 가장 뛰어난 자질을 갖추고 있는 인물이라고 말이다.
그런데 방금 자신의 입으로 밝힌 바 있듯이 세상 살아가는데 있어서 생각한대로 되지 않았다.
그저 현실에 만족하고 안일하게 안주하는 듯 보였다.
“왜 저의 누나가, 이 세상에서 가장 사랑받아야 할 제 누나가 그 고통 속에서 살아야 하는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그것이 이 시대의 굴레 아니겠느냐.”
“굴레라 하셨나요?”
“일종의 족쇄 말이야.”
이 시대의 굴레
허균이 ‘굴레’를 되뇌며 이달의 얼굴을 빤히 바라보았다.
“그래서 스승님과 저의 누나가 맺어지지 못했군요.”
질문이라기보다는 질책에 가까운 말투였다. 그 굴레 때문에 자신의 누나의 행복을 외면한 스승에 대한 일종의 한탄이었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