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손곡 이달.
쌍매당 이첨의 기첩의 아들로 강원도 원주 손곡리에서 태어났다.
엄격한 신분사회의 희생양으로 벼슬 길을 저버리고 일찌감치 시로 인생을 유유자적하기로 결정을 내린다.
박순의 문하에서 시를 배우고 서포 김만중이 그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을 정도로 경지에 오른 인물이다.
스승님을 뵙다
“너희들이 이 조선에서 신동으로 불리는 아이들이로구나.”
신동이라는 말이 어색했다. 그러나 결코 듣기 싫은 소리는 아니었다.
“오랜만에 뵈옵니다, 형님. 아니, 스승님.”
일전에 허봉이 초라하기 이를 데 없는 외모를 지닌 이달을 친구라고 집에 데려온 적이 있었다.
그 꾀죄죄한 모습에 허균이 얼굴을 찡그렸다.
대단한 친구라고 이야기하는 형의 말이 믿기지 않았다.
그런 연유로 그만 그를 외면하고 말았다.
허봉과 이달이 허균의 속내를 읽은 모양이었다.
두 사람이 잠시 눈을 찔끔거리더니 허균을 데리고 담 모퉁이로 걸음을 옮겼다.
“균아, 내 친구하고 시 짓기 시합 해보지 않을래.”
균이 속으로 쾌재를 불렀다.
아예 묵사발을 만들어서 다시는 자신의 집에 그리고 시를 논하지 못하도록 만들어야겠다는 오기가 발동했다.
“제가 나서도 될까요.”
말뿐만 아니라 말투 역시 거만했다. 그를 감지한 두 사람이 웃으며 반겼다.
“그러면 장유유서라고 손곡 자네가 먼저 하도록 하세.”
“무슨 놈의 장유유서. 나는 이 집의 손님에 불과한 만큼 주인이 먼저 해야 도리 아닐까.”
이달이 행색은 그래도 형 친구인데 차마 제가 먼저 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먼저 하시…….”
허균이 마지못해 한 말이라 그런지 끝을 맺지 못했다.
“저리도 예절이 바른 걸 보면 결례를 무릅쓰고 내가 먼저 해야 할 듯하이. 자네가 운을 뛰어주게.”
“그렇다면 당연히 그리해야지.”
허봉이 균의 행동에 쐐기를 박듯 잘라 말하고는 담 모퉁이를 바라보며 생각에 잠겼다.
그러기를 잠시 눈을 찡긋거리더니 운을 떼기 시작했다.
‘曲’(곡)
이달이 지그시 눈을 감았다.
‘曲欄晴日坐多時’(곡란청일좌다시) 날이 맑아 굽은 난간에 오랫동안 앉아있으면서
허균이 눈을 게슴츠레 뜨고 입술 한쪽을 위로 기울였다.
‘閉’(폐)
‘閉却重門不賦詩’(폐각중문불부시) 겹 문까지 닫아걸고 시도 짓지 않네
게슴츠레 떴던 눈이, 한쪽으로 치켜 올라간 입술이 정상으로 변했다.
‘檣’(장)
‘墻角小梅風落盡’(장각소매풍락진) 담 모퉁이 작은 매화 바람에 모두 떨어지니
허균의 입에서 절로 ‘어’소리가 흘러나왔다.
‘春’(춘)
‘春心移上杏花枝’(춘심이상행화지) 봄빛이 살구꽃 가지위로 옮겨 가는구나
허균의 눈동자가 아니, 입이 벌어지고 있었다.
그런 자세에서 한동안 멍하니 허봉과 이달을 바라보다 바로 그 자리에서 무릎을 꿇었다.
아울러 자신의 경솔함을 백배 사죄한 경험이 있었다.
“소녀 초희라 하옵니다.”
허균, 얼굴을 찡그리다…이어지는 시 대결
초희와 이달의 만남…어긋난 운명의 시작?
“오빠로부터 자네 이야기 많이 들었네. 아마도 이 조선 천지에서 가장 뛰어난 신동일 것이라 자랑이 대단했다네.”
“부끄럽사옵니다, 스승님.”
수줍어 내뱉는 말이 마치 그를 즐기는 듯이 투명하고 맑기 그지없었다. 그 순간 초희의 시선이 반짝였다. 이달이 애써 그를 무시하려는 듯 시선을 균에게 주었다.
“자네 형님으로부터 대략의 이야기는 들어 알겠지만 내 경우는 당시를 주로 연구하고 그 시풍에 따르고 있어. 그러니 그를 감안하고 따라주어야 할 일이네.”
“나리의 지금의 괴벽이 어려서도 그대로 살아있었네요.”
매창이 얼굴에 미소를 머금고는 허균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지금의 괴벽이라니오!”
매창이 아차 한 모양으로 자세를 바로 했다.
“거침없는 성격 말이옵니다.”
허균이 매창의 말의 진위를 알고 있다는 듯이 미소를 머금었다.
“아마도 어린 눈에 초라한 그분의 모습 그리고 한참 낮은 그분의 신분을 깔보았던 나의 교만스러움이 아니었나 싶소.”
“그럴까요?”
“그러면?”
“소녀는 나리의 자부심 때문이 아니었을까 생각하옵니다.”
“자부심이라.”
“어려서부터 천재적 기질을 보인 나리의 자부심 그리고 성격 말이옵니다.”
허균이 겸연쩍은 표정을 짓다가는 한바탕 크게 웃어 재꼈다.
“역시 매창의 명성이 헛소문이 아니었구려.”
막상 말을 그리해놓고는 어색한 기분이 들었는지 웃음을 멈춘 허균이 은근하게 매창의 얼굴을 주시했다.
“그런데 말이요, 매창.”
“말씀하시지요.”
“당시 처음 마주하는 이달 선생과 누나 사이에 뭔가가 싹트고 있었다는 사실을 나는 전혀 눈치 채지 못하고 있었다오.”
“네?”
매창의 얼굴에 호기심이 가득했다.
“그 후에 일이네만. 그 당시 누나와 손곡 선생의 첫 만남은 어긋난 운명의 전조였음을 내 알지 못했다는 말이오.”
“그렇다면…….”
허균이 가볍게 한숨을 내쉬며 잔을 기울였다.
“매창과 촌은 성생과의 일을 먼저 물어보아도 되겠소?”
가볍게 잔을 내려놓은 허균이 얄궂은 표정을 지었다.
“나으리.”
“왜 말씀하시기 곤란하신가.”
“이야기하다 마시고…… 어찌 남녀 간의 정분 이야기를 들으려 하시는지요.”
“단순히 남녀 간의 정분을 묻는 것이 아니오. 두 사람 사이에 뭔가 특별한 사연이 있을 법 하여 그러는 거요.”
매창의 시선이 천장으로 옮겨지고 있었다. 그리고는 가벼이 한숨을 내쉬었다.
“나리, 혹여 아버지의 정에 대해 알고 계시는지요.”
“딸에 대한 아버지의 각별한 사랑이 있음을 나도 알고 있다오.”
“물론 나리 아버님께서 나리의 누님께 쏟으신 사랑을 일컬음이시겠지요.”
대답 대신 잔잔한 미소를 머금고 매창의 얼굴을 주시했다.
“제 경우가 바로 그러했어요. 처음 마주하는 유희경 선생의 모습 위로 저를 애지중지해주시던 아버지의 얼굴이 자꾸 겹쳐졌지요.”
“아버지 모습이라.”
허균의 표정으로 보아 별로 놀라는 기색이 아니었다.
“오랫동안 그리워하던 모습, 아버지의 모습이 그분에게 그려지고 있었던 것이에요.”
어긋난 운명
“충분히 이해할 수 있소.”
매창이 태어나자 어머니를 여위었다.
그 이후 어머니 몫까지의 사랑을 아버지가 베풀었으니 그 심정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을 일이었다.
“일이 그렇게 되었지요.”
매창이 짤막하게 말을 잘랐다.
허균으로서도 더 이상 채근하고픈 마음이 일어나지 않았는지 조용히 매창의 얼굴을 주시했다.
마신 술기운 때문인지 서서히 달구어지고 있는 격정 때문인지 허균의 얼굴에서 열기가 피어나기 시작했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