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가 있는 고택 ④논산 명재고택

자세히 봐야 더 어여쁜 논산 명재고택

“목적지에 도착했습니다.” 내비게이션의 안내에 따라 논산 명재고택(국가민속문화재)에 다다랐다. 사대부 집이라면 으레 등장할 법한 솟을대문도, 담장도 없다. ‘어디가 입구지?’ 생각하며 몇 걸음 걷는 사이, 고택 마당에 들어섰다.

명재고택은 평생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 연구와 후대 교육에 전념한 조선 대학자 명재 윤증의 집이다. 300년이 훌쩍 넘는 세월을 간직한 고택은 뒤쪽으로 선 고운 산과 마당에 단아한 인공 연못이 어우러진다. 여기에 열을 맞춘 장독대가 운치를 더한다. 첫눈에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아름다운 집이다.

300년이 넘는 세월

명재고택의 진가를 알려면 그 안에 숨은 실용적이고도 과학적인 원리를 세심하게 살펴봐야 한다.

고택은 안채와 광채(곳간채), 사랑채, 사당으로 구성된다. 사랑채 뒤에 안채와 광채가, 안채 동쪽 뒤편에 사당이 자리한 구조다. 고택서 제일 먼저 마주하는 사랑채는 앞면 4칸에 옆면 2칸 규모로, 안채와 달리 담 없이 개방된 형태다. 정면서 볼 때 중앙이 사랑방이고 오른쪽에 대청, 왼쪽에 누마루를 배치했다.

사랑채에는 창호가 많은데 ‘경치를 빌린다’는 차경(借景)의 매력을 엿볼 수 있다. 곳곳에 있는 창이 액자가 되어 시간과 계절에 따라 다른 풍경화를 담아낸다. 소유하는 그림 대신 자연의 경치를 잠시 빌려 즐긴다는 한옥의 미학이다.


더불어 효율적인 공간 창출의 지혜가 담겼다. 큰 사랑채와 작은 사랑채를 연결하는 안고지기가 독특하다. 안고지기는 미닫이와 여닫이 기능을 합친 문이다. 네 짝짜리 문이 가운데 두 짝은 미닫이, 양쪽 끝은 여닫이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가운데 문을 밀고 여닫이로 활용할 수 있다.

여닫이로 모든 문을 개방하면 공간 확장이 가능해, 많은 사람이 모일 때 유용하다.

누마루 역시 창호 개폐에 따라 분위기가 크게 달라진다. 문이 닫힌 누마루는 아늑한 방이지만, 문을 여는 순간 정자처럼 변신한다. 주변 풍광을 한눈에 조망하는 명당이다. 누마루 아래 금강산을 형상화한 석가산(石假山)을 아담하게 조성해 풍류를 더했다.

한옥의 미학을 볼 수 있는 구성
고택체험 1박2일 프로그램도 진행중

사랑채 돌계단 옆 댓돌에 새긴 일영표준(日影標準)이란 글자가 눈에 띈다. 윤증의 9대손 윤하중은 천문학에 밝아 해시계를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해시계의 영점을 놓고 천체를 살필 수 있는 위치를 정하고, 그곳에 일영표준이라 새겼다고 한다. 원래의 글자가 일부 훼손돼 옆에 새로 만들었다.

사랑채에서 왼쪽으로 보면 중문간채가 있다. 안채로 들어가는 문인데, 대문이 열려 있어도 안채가 바로 보이지 않는다. 문 뒤에 내외 벽을 설치했기 때문이다. 내외 벽 아래 틈을 두어 안채 대청서 방문객의 신발을 보고 안주인이 대비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ㄷ 자형’ 안채는 일자형 중문간채와 함께 ‘ㅁ 자형’을 이룬다.

안채 옆 광채에도 선조의 지혜가 숨어 있다. 안채와 광채가 놓인 구조를 보면 나란하지 않고 북쪽으로 갈수록 조금씩 좁아지는 형태다. 지붕은 안채가 광채보다 높다. 계절의 변화에 따른 일조량과 바람의 이동을 고려한 배치다. 덕분에 광채 북쪽 끝 창고는 여름에도 시원해 냉장고 역할을 했고, 주거 공간인 안채는 광채에 가리지 않고 볕을 충분히 받는다.


고목도 주요한 볼거리다. 수백년 된 느티나무(보호수)를 비롯해 은행나무, 배롱나무가 우직하게 자리를 지킨다. 여름에는 배롱나무꽃이 화사하고, 가을에는 고아한 은행나무가 눈을 즐겁게 한다. 산책로 따라 다양한 각도서 고택과 어우러진 고목을 감상해보자.

명재고택은 후손이 거주하고 있어 지정된 장소 외 출입을 금한다. 고택 안팎을 제대로 살펴보고 싶다면 하룻밤 묵어가도 좋다. 사랑채와 안채 등에서 한옥 스테이가 가능하다. 문화재청이 후원하는 ‘고택·종갓집 활용 사업’으로 진행하는 1박2일 프로그램도 추천한다.

고택서 하룻밤 머물며 종손과 대화, 종가 음식 만들기, 고택 작은 음악회 등을 체험할 수 있다(자세한 일정은 사전 문의). 고택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오후 4시(하절기 오후 5시까지, 명절 연휴 휴관), 관람료는 없다.

논산 돈암서원(사적)이 명재고택서 자동차로 20분 거리다. 조선 중기 정치가이자 예학 사상가 사계 김장생을 기리며 건립했다. 현종 때 사액서원(조선시대 왕으로부터 서원명 현판과 노비·서적 등을 받은 서원)이 됐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한국의 서원’으로 등재된 9곳 중 하나다.

강학 공간인 양성당을 중심으로 정의재(서재)와 거경재(동재), 사당인 숭례사 등이 자리한다. 응도당(보물)은 조선 중기 이후 서원의 강당 가운데 규모가 제법 크다.

호남선 연산역도 논산 여행 코스에 넣을 만하다. 작은 역이지만 기차문화체험관, 연산역 급수탑(국가등록문화재) 같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퇴역한 기차 4량을 활용한 기차문화체험관은 쉼터, 기차문화전시관, 어린이도서관, 어린이놀이공간 등을 갖췄다.

연산문화창고

연산역 급수탑은 1911년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만들었다. 현존하는 급수탑 중 가장 오래됐으며, 화강석으로 쌓은 몸체가 특징이다.

지난해 개관한 연산문화창고가 연산역 인근에 있다. 옛 곡물 창고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해 주목받는다. 총 5개 건물을 담쟁이예술학교, 커뮤니티홀, 카페 등으로 운영한다. 시기별로 다양한 전시와 공연,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여행 정보>
당일 여행코스

명재고택→연산역→연산문화창고→돈암서원

1박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연산역→연산문화창고→돈암서원→탑정호출렁다리
-둘째 날 명재고택→종학당→선샤인랜드

관련 웹 사이트 주소
-명재고택 http://myeongjae.com
-돈암서원 www.donamseowon.co.kr
-연산문화창고 www.nonsan.go.kr/goyeonsan
-논산문화관광 www.nonsan.go.kr/tour


문의 전화
-명재고택 041)735-1215
-돈암서원 041)733-9978
-연산역 041)735-0804
-연산문화창고 041)730-2960~4
-논산시청 관광과 041)746-5405

대중교통
버스 서울-논산, 센트럴시티터미널서 하루 13회(06:30~22: 45) 운행, 약 2시간10분 소요. 동서울종합터미널서 하루 2회(12:10, 14:20) 운행, 약 2시간55분 소요. 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서 501번·504번·505번·508번·509번 버스 등 이용, 교촌리 정류장 하차, 명재고택까지 도보 약 480m.

*문의: 센트럴시티터미널 02)6282-0114 고속버스통합예매 www.hticket.co.kr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시외버스통합예매시스템 https://txbus.t-money.co.kr 논산시외버스터미널 041)735-3644

자가운전
논산천안고속도로→공주톨게이트→송선교차로서 논산·대전 방면 우회전→노성교차로서 노성 방면→노성산성길 방면 우회전→명재고택

숙박 정보
-백일헌종택: 상월면 주곡길, 041)736-4166, www.baekilheon.com
-논산한옥마을: 연산면 임3길, 041)435-7030, www.nshan ok.kr:457
-스테이인터뷰 강경: 강경읍 계백로167번길, 010-8107-9156, https://stayinterview.co.kr/pension/7

식당 정보
-신동회관(한우구이): 상월면 백일헌로, 041)733-9252
-셋집매농가맛집(떡갈비): 논산시 원앙로, 041)735-7798, https://sgm.modoo.at
-반월소바(메밀소바): 논산시 해월로, 041)733-22 10


주변 볼거리
온빛자연휴양림, 쌍계사, 백제군사박물관, 강경근대거리 등

<webmaster@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일요시사 취재1팀] 안예리 기자 = 전국 한의과대학교에는 ‘졸업준비위원회’가 존재한다. 말 그대로 졸업 준비를 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명목상 자발적인 가입을 독려하는 듯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강제로 가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졸업준비위원회(이하 졸준위)는 졸업앨범 촬영, 실습 준비, 학번 일정 조율, 학사 일정과 실습 공지, 단체 일정뿐 아니라 국가시험(이하 국시) 대비를 위한 각종 자료 배포를 하고 있다. 매 대학 한의대마다 졸준위는 거의 필수적인 조직이 됐다. 졸준위는 ‘전국한의과대학졸업준비협의체(이하 전졸협)’라는 상위 조직이 존재한다. 자료 독점 전졸협은 각 한의대 졸업준비위원장(이하 졸장)의 연합체로 구성돼있으며, 매년 국시 대비 자료집을 제작해 졸준위에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의텐’ ‘의지’ ‘의맥’ ‘의련’ 등으로 불리는 자료집들이다. 실제 한의대 학생들에게는 ‘국시 준비의 필수 자료’로 통한다. 국시 100일 전에는 ‘의텐’만 보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졸준위가 없으면 국시 준비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말이 정설이다. 한의계 국시는 직전 1개년의 시험 문제만 공개되기 때문에 시험 대비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시 문제는 오직 졸준위를 통해서만 5개년분 열람이 가능할뿐더러, 이 자료집은 공개자료가 아니라서 학생이 직접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사실상 전졸협이 자료들을 독점하고 있는 셈이다. 이 자료집을 얻을 수 있는 경로는 단 하나, 졸준위를 결성하는 것이다. 졸준위가 학생들의 투표로 결성되면 전졸협이 졸준위에 문제집을 제공한다. 이 체계는 오랫동안 유지돼왔고, 학생들도 졸준위를 통해 시험 자료를 제공 받는 것이 ‘관행’처럼 받아들여왔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반드시 결성돼야만 한다는 기조가 강하다. 학생들의 반대로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시 전졸협은 해당 학교에 문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은 모든 학생들의 가입 동의를 얻어야 가능하다. 졸준위 가입 여부는 실질적으로 선택이 아니다. 자료집은 전졸협을 통해서만 제공되기 때문에, 졸준위에 가입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는다는 인식이 학생들 사이에서 강하게 자리 잡았다. 학생들은 “문제를 얻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고 말한다.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경우 현실적으로 문제집을 받아볼 수 있는 마땅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학생들의 해당 학년 학생들을 모두 가입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실제 한 대학교에서는 졸준위 결성을 위한 투표를 진행했는데 익명도 아닌 실명 투표로 진행됐다. 처음에는 익명으로 진행했지만 반대자가 나오자 실명 투표로 전환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반대 의견이 나오기 어렵다. 실명으로 투표가 진행되는 데다, 반대표를 던질 경우 이후 자료 배포·학년 일정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 실명 투표로 진행 가입시 200만원 이상 납부 필수 문제는 이 졸준위 가입이 무료가 아니라는 점이다. 졸준위에 가입하면 졸업 준비 비용(이하 졸비) 명목으로 학생들에게 돈을 걷는데, 그 비용이 상당하다. <일요시사> 취재 결과 한 대학교의 졸비는 3차에 걸쳐 납부하도록 했는데 1차에 75만원, 2차에 80만원, 3차에 77만원 등 총 232만원 수준이었다. 이는 한 학기 등록금에 맞먹는 금액이다. 금액 산정 방식은 졸준위 가입 학생 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한 명이라도 빠지게 되면 나머지 인원의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된다. 심지어 2명 이상 탈퇴하게 된다면 졸준위가 무산될 수도 있다. 이 모든 사안은 ‘졸장’의 주도 하에 움직인다. 졸장은 학년 전체를 대변하며 전졸협과 직접 소통하는 역할을 맡는다. 실제 졸장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한 명이라도 탈퇴하면 안 된다”는 취지의 발언이 오갔을 정도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졸준위가 결성되면 가입한 모든 학생들은 졸준위의 통제를 받는다.<일요시사>가 입수한 한 학교의 규칙문에 따르면 졸준위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두고 있었다. ▲출석 시간(8시49분59초까지 착석 등) ▲교수·레지던트에게 개인 연락 금지 ▲지각·결석 시 벌금 ▲회의·행사 참여 의무 ▲병결·생리 결 확인 절차 ▲전자기기 사용 제한 ▲비대면 수업 접속 규칙 ▲시험 기간 행동 규칙 ▲기출·족보 자료 관리 규정 등이다. 학생들이 이 규정을 어길 시 졸준위는 ‘벌금’을 부과해 통제하고 있었다. 금액도 적지 않았다. 규정 위반 시 벌금 2만원에서 50만원까지 부과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었다.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병결이다. 졸준위는 병결을 인정하기 위해 학생에게 진단서 제출을 요구하고, 그 내용(질병명·진료 소견·감염 여부 등)을 직접 열람해 판단했다. 제출 병원에 따라 병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공지도 있었다. 한 병원의 진단서가 획일적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단체가 학생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해 병결 여부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은 학생들 사이에서 부담과 압박으로 작용했다. 질병이 있어도 벌금이 부과될 수 있고, 병결을 얻기 위한 절차가 학습보다 더 어렵다는 말도 나왔다. 규정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면 졸준위는 대면 면담을 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3:1로 면담을 진행하는 등 학생이 위축될 수 있는 방식을 행하기도 했다. 전자기기 사용 불가 규칙 어기면 벌금도 이 같은 문제로 탈퇴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실제 A 대학 졸준위 전체 학번 회의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한 학생은 규정에 문제를 느껴 졸준위 측에 탈퇴를 의사를 밝혀왔다. 이 회의에서는 그간 탈퇴 의사를 밝힌 학생과의 카톡 대화 전문이 학생들에게 공개됐다. 공개된 카톡 내용에는 탈퇴 과정이 담겨있었는데 순탄하지 않았다. 졸준위 측은 탈퇴 의사를 즉각적으로 승인하지 않았고, 재고를 요청하거나 면담하는 방식으로 요청을 지연했다. 해당 학생이 다시 한번 탈퇴 의사를 명확히 밝힌 뒤에도, 졸장은 “만나서 얘기하자”며 받아주지 않았다. 심지어는 이 대화를 공개한 뒤 학우들에게 ‘졸준위에서 이탈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서약서를 받아내기도 했다. 졸준위 운영이 조직 이탈 자체를 문제로 판단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압박을 가한 정황이 확인되는 대목이다. 해당 학우는 탈퇴 확인 및 권리 포기 동의서에 서명한 뒤에야 졸준위를 탈퇴할 수 있었다. 탈퇴 이후에도 갈등은 지속됐다. 목격자에 따르면 시험 기간 중, 강의실 앞을 지나던 탈퇴 학생은 졸준위 임원 두 명에게 “제보가 들어왔다”며 불려 세워졌다. 임원들은 이 학생이 학습 플랫폼 ‘퀴즐렛’을 사용한 점을 언급하며, 그 자료 안에 졸준위에서 배포한 기출문제가 포함돼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졸준위에서는 퀴즐렛에 학교 시험 내용이 있다며 탈퇴자가 보지 못하도록 사용자를 색출하기도 했다. 한편, 전졸협은 10년 전 자체 제작한 문제집으로 논란된 적이 있다. 당시 한의사 국가고시 시험문제가 학생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예상 문제집과 지나치게 유사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시험이 끝난 직후 시험장 앞에서 수험생 60여명을 상대로 참고서와 문제집을 압수했고, 국가시험원까지 압수수색해 기출문제와 대조 작업에 들어갔다. 기형적 구조 문제가 된 교재는 ‘의맥’ ‘의련’ 등 졸준위 연합체인 전졸협이 제작·배포해 온 자료들이다. 학생들은 교재에 일련번호를 붙이고 신분증을 확인한 후 배포하는 등 통제된 방식으로 유통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는 “학생들이 전졸협을 통해서만 기출문제를 구할 수 있는 구조는 기형적”이라며 “국가고시를 위해 몇백만원씩 돈을 받고 문제를 제공하는 건 문제를 사고파는 것”이라고 말했다. <imsharp@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