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권의 <대통령의 뒷모습>은 실화 기반의 시사 에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을 다뤘다. 서울 해방촌 무지개 하숙집에 사는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당시의 기억이 생생히 떠오른다. 작가는 무명작가·사이비 교주·모창가수·탈북민 등 우리 사회 낯선 일원의 입을 통해 과거 정권을 비판하고, 그 안에 현 정권의 모습까지 투영한다.
“후후훗, 그래도 좋은 탈을 쓰고 있으니 그런 말을 할 수 있겠죠. 아까 사다리 얘길 하셨는데, 난 가능하다면 그런 사다리를 기어올라 인간이 한 번 돼보고 싶어요.”
“사다리란 비유적인 것이니까요. 인간이면서도 스스로 추락하는 자가 있는 반면 인간의 참모습을 찾아 올라가려고 애쓰는 사람도 많지 않습니까. 한 발짝 한 발짝 올라가려는 마음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지하 세계로 성큼성큼 직접 내려가 죄인들을 위로해 주는 분도 많고요. 문제는 사다리의 양 끝에 있기보다, 포기하지 않고 올라가고 내려가는 그 과정이 목표보다 훨씬 더 중요하고 가치롭지 않을까 싶어요.”
괴물인
그는 말이 없었다. 술도 마시지 않고 고개를 수그린 채 방바닥을 내려다보며 침묵을 지켰다. 난 무르춤해져 몇 마디 더 덧붙여 주절거렸다.
“저는 그게 진정한 연금술이라 생각해요. 섣불리 황금을 만든다거나 신이 되려 노심초사하거나 악마가 돼 권력을 휘두르려고 획책하다가 미치광이로 추락해버린 목적 욕망주의자들이 많잖아요.”
“병신….”
그가 입속으로 중얼거렸다.
“네?”
“몸과 마음이 따로 노는 게 병신 아닌가요? 사다리를 올라가 보려고 지랄치는 자체가 병신 아닐까요? 난 역시 생긴 대로 괴물인으로 사는 게 가장 어울릴 것 같군요. 사다리란 명색은 좋지만 허울 좋은 망상에 불과할 뿐인걸….”
“아니죠. 심리적인 사다리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에스컬레이터도 있으니까요. 불구자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바뀌면 그게 바로 인간적인 에스컬레이터가 아닐까 싶은데 말예요.”
“꿈 같은 세상이네요.”
“이상스럽게도 한국 사람들이 유달리 불구자를 천시하고, 그러다 보니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프라뿐 아니라 심리적 인프라도 열악한 것 같아요. 자기가 직접 한 번 당해봐야 겨우 깨닫는 이기적이고 감상적인 관심…. 자기가 강한 자에게 핍박당하다 보니 관심을 가질 여유도 없고, 예전엔 부국강병 경제개발의 역군 시대에 대열에서 이탈된 낙오자는 병신으로 취급받았을 테니까요.”
“아마 스스로 못나서 자기보다 못한 장애인을 멸시하며 자존감을 세웠는지도 모르죠 뭐. 참으로 강한 인권 선진국의 경우와는 반대 현상인 것 같아요. 비유하자면… 아니, 현실적으로… 육신은 멀쩡하면서 영혼과 정신과 마음이 불구인 괴물 장애인들이 판을 치는 사회가 이 위대한 대한민국이죠. 사실은 그게 더 큰 병인데 아예 고칠 생각조차 하지 않고 더욱더 이른바 자기계발을 하면서 폭주 중이니….”
“그런 얘길 들어도 별 감흥이 없네요. 희망도 없이, 그냥 살아갈 밖에…. 난 차라리 내 몸뚱이보다 토끼 닮았다는 이 땅덩어리가 때때로 가끔 더 처량스럽고 가엾게 느껴지더군. 흐흐흣….”
“네? 뭐라구요?”
장애인 관한 사회적·심리적 인프라 열악
육신은 멀쩡, 정신은 불구인 게 더 큰 병
“하긴 뭐 얼토당토 않은 내 자신의 서글픈 망상이겠지.”
“술 안주론 현실보다는 망상이 더 좋겠죠.”
“흠, 그럴까? 내 생각엔 이 한반도 땅이 토낀지 호랑이 형상인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등허리에 큰 상처를 입은 채 절규하는 꼽추 같다는 느낌이 드는 거요. 아마 내 신세 때문이겠지만. 대륙을 향한 포효라기보다 박제돼 버린 구슬픈 소리 없는 비명…. 내 등의 혹은, 흐흐, 남북한 사이의 철조망 또는 불신과 증오이기도 하고 두 쪽 체제의 암종 같기도 해. 흥,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구?”
“이름만 거창스럽지 사실은 사기꾼들의 양두구육식의 집단이 아닌가 싶어. 내가 무식해서 다른 건 모르겠지만, 적어도 두 쪽 다 국민과 인민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간판을 내걸어 놓았으면 어느 정도 생색은 내야잖수, 응? 그런데 나라 주인은 온갖 고생을 다 시키면서, 지도급입네 하시는 인사들은 최고급 주루 꼭대기에 올라앉은 채 온갖 부귀영화 미색을 다 누리며 떵떵거리는 개판이 저 건국 이후 오늘 이날 이때까지 이어지는 판국이잖냐 말여!”
“ 거짓과 가짜. 우리가 북한을 북괴라고 욕하지만 제 얼굴 낯짝에 침뱉기 꼬락서니지 뭐 별것 있겠수? 양두구육 식의 저 거짓 고루 누각 명월옥을 뒤집어 엎어 버려라! 그러기 전엔 결코 변하지 않으며 통일도 오지 않는다! 흐흣, 좀 과격했나?”
사실 좀 과격한 느낌이엇으나 난 내색하지 않고 쓴웃음만 지었다.
“비유가 아니라 사실상 현실적으로 이 한반도 땅도 무척 고통스러울 거예요.”
“아, 언제 이 비굴한 설움과 고통스러운 삶이 종막을 내릴 수 있을까. 이 암종 같은 혹은 아마 내가 죽기 전엔 사라지지 않을 것 같네요.”
“그럼 무슨 소용이 있겠어요. 시대는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니 만큼 희망을 갖고 암종을 떼내어 버릴 날을 기다리며 암중모색해야겠지요. 사실 귀금속의 연금술이든 마음의 연금술이든 결코 쉬운 일은 아니잖아요. 쉽다면 연금술이란 말을 붙이지도 않았겠죠 뭐.”
“정신과 육신 사이를 가로막은 채 헐뜯는 이 혹을 어떻게 하면 스르르 녹여서 소통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까? 몸을 치료하기가 어려울 땐 마음속 혹부터 떼내어 버리라는 성현님들의 말씀을 따라 나름 꽤 애써 봤지만 쉬운 노릇이 아니더군요.”
“그런데 유한한 내 목숨과 영원해야 할 이 땅을 무심결에 한 번 비교해보니, 어렵더라도 역시 한 숨 한 숨, 한 땀 한 땀, 한 걸음 반 걸음씩이나마 호흡하며 걸어 나가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현실의 혹과 철조망이 두꺼울수록 내 마음과 정신과 영혼을 모아….”
혹의 암종
“비유 얘기가 나왔으니 드는 생각인데 그 마음은 남북의 지도자입네 하는 자들이 아니라 일반 국민과 인민의 영혼이라는 느낌이군요.”
“당연히 그렇겠죠. 혹의 암종 속에 과연 무연이 들어 있을까요. 그리고 내 마음의 암종 속엔….”
<다음호에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