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한 번 들으면 잊을 수 없는 허스키한 목소리와 서구적인 인상, 날렵한 이미지는 카리스마가 있는 인물을 표현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배우 박희순에게는 부드러운 역할보다는 늘 사나워 보이는 역할이 주어졌다. 인물이 정의의 편에 서거나 불의의 위치에 있거나, 그는 늘 강했다. 넷플릭스 드라마 <마이네임>에서 박희순은 카리스마의 정점을 찍었다.
박희순이라는 이름을 대중에 각인시킨 첫 영화 <세븐 데이즈>에서서 직업이 형사인 성열을 연기했다. 아이를 유괴당한 지연(김윤진 분)을 끝까지 돕는 성열은 누구보다 강인했고 무서웠다. 수틀리면 욕설도 서슴지 않았다.
아껴둔 악당
박희순은 <밀정>에서 장옥 역을 맡으며 추운 겨울 한성 바닥과 옥상을 휩쓸면서 홀로 일본군과 대치했다. 장옥은 국내에서 가장 강력한 무력을 지닌 위인으로 꼽히는 김상옥 열사를 모티브했다. 자결로써 생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그가 내뿜는 에너지는 얼얼할 정도로 인상이 깊다.
영화 <작전>에서 주가를 조작하는 보스일 때도, <가비>에서 암살에 노출된 고종황제일 때도, <1987>에서 권력을 받드는 시녀 조한경 반장일 때도, <마녀>에서 괴물을 길러낸 미스터 최일때도 박희순의 얼굴에는 늘 강함이 서려 있었다.
국내 내로라하는 창작자들은 박희순의 얼굴에 담긴 강함을 끄집어내려는 데 주력했던 듯 보인다.
일부 작품을 제외하고 늘 드세고 짐승 같은 인물을 연기해온 박희순은 지겨울 법도 했을 텐데 <마이네임> 속 마약 밀매 조직인 동천파의 보스 최무진을 연기하기로 선택했다. 진정한 강함을 표현하고 훌훌 털어내자는 속내가 있었다.
“<마이네임>만큼은 그토록 제가 아껴뒀던 악당, 누아르의 보스를 해낸 느낌이에요. 최무진 같은 역할을 안 해본 것도 아니죠. 이런 역할을 많이 해봤는데, 최대치는 한 번 뽑아내고 졸업을 해도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이번에 만족스럽게 연기해서, 훌훌 털어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최무진은 죽음을 앞에 두고 무서워하는 눈을 보며 상대를 죽여야 기어코 성이 풀리는 악마 같은 인간이지만, 마음 한쪽에는 자신을 배신하는 사람에 가슴 아파하는 인간적인 면도 있다. 자신이 믿는 사람은 끝까지 지지할 뿐 아니라, 결정적인 순간 늘 현명한 판단을 한다.
마약을 밀매하거나 사람을 죽이지만 않으면 누구보다도 매력적인 인물이 최무진이다. 그간 카리스마 측면에서 내공을 쌓아온 박희순은 그야말로 멋있는 악당을 그려낸다. 최무진이 한껏 멋을 드러내니 한소희, 이학주, 김상호, 장률, 안보현 등 주요 인물들이 살아나고, 작품도 빛이 난다.
<마이네임>이 거침없는 흥행을 하는 데 수훈갑이다.
“넷플릭스에서 1위를 하기도 했는데, 실감이 잘되지 않네요. 신기하기도 하고요. 최무진은 복잡한 악인이에요. 일관된 악인은 많이 봐왔죠. 누아르에서는 보통 감정표현을 많이 하지 않는데 <마이네임>에서 여성 작가님이 쓰셔서 그런지 감정선이 짙어요. 슬픔과 분노가 공존하죠. 이걸 잘 건드려보면 좋은 작품이 될 거라고 생각했어요.”
<마이네임> 조직 보스 ‘무섭지만 멋있다’
“카리스마 분야서 이젠 졸업하려 합니다”
최무진의 눈에는 들개 같은 악랄함이 엿보이는데, 의상은 늘 딱 떨어지는 슈트다. 단 한 순간도 흐트러짐이 없다. 소탈하고 편해 보이는 찰나도 없다. 언제나 각이 잡혀있다. 술을 마실 때도, 웃을 때도 눈물을 흘릴 때도 최무진은 늘 긴장감을 준다.
섹시한 보스라는 수식어가 가장 잘 어울린다.
“평소 섹시하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면 ‘내가 섹시해서 그런 말이 나오는구나’ 싶겠는데, 전혀 그런 말을 들어보질 못하다가 이 작품으로 그런 칭찬을 듣네요. 작가님이 쓴 무진의 매력이 큰 몫을 한 것 같아요. 김진민 감독도 제게 ‘이 작품 속 무진은 무조건 멋있고 섹시해야 한다. 돈이 많이 들어도 좋으니 섹시하게 해달라’고 주문했고요.”
단순히 강하고 무섭기만 했으면 편했겠지만, 최무진의 감정은 복잡할 수밖에 없다. 둘도 없이 믿었던 친구가 알고 보니 경찰 스파이었다. 슬픈 심정으로 복수를 했는데, 진실을 모르는 친구의 딸은 자신을 거둬달라 한다. 그뿐 아니라 결정적인 순간에 자신을 위해 헌신한다.
내가 직접 죽인 친구의 딸이 자신을 위해 희생하는 모습에 아무리 악마 같은 최무진이라도 순간순간 흔들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박희순은 작품 내내 모호함을 드러내야 했다. 진실과 거짓, 거짓과 진실을 오가면서.
“지우(한소희 분)는 내가 죽인 친구의 딸이죠. 그를 보는 감정에는 아마 500가지가 넘게 뒤섞여 있을 거예요. 한 가지로 정의해서 연기하지 않았어요. 연기하는 순간마다 여러 생각이 오갔던 것 같아요. 어떤 게 진짜고 어떤 게 가짜일지 고민하면서요.”
“암자에서 지우를 속이는 신이 진실과 거짓을 내포하는 대표적인 장면 같아요. 사실 제가 인터뷰하는 것도 좀 부담스러운 게 있어요.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해석이 쏟아지고 있는데, 제가 괜히 정의해서 상상이 펼쳐지는 걸 막고 싶지 않아요. 관객들의 생각이 곧 정답입니다.”
처음부터 강한 긴장감을 주며 출발하는 <마이네임>은 마지막회 정점을 향해 끝없이 내달린다. 그리고 마지막은 지우와 무진의 1:1 싸움이 펼쳐진다. 총으로 쉽게 승부를 낼 수 있지만, 수많은 감정이 얽히고설킨 두 사람은 몸을 부딪쳐가며 상대를 제압하려 한다.
숨 막히는 싸움을 보고 있자면 눈시울이 불거진다.
“모든 장면이 다 소중한데요. 많은 분이 마지막 장면을 좋아해 주시는 것 같아요. 감정이 극에 달한 채 액션을 했어요. 이런 경험은 처음이었어요. 감정 액션이라는 말이 정확한 표현 같아요. 저도 액션 연기를 하는 중에 눈물이 났어요. 감독이 절대 울지 말라고 했는데, 멈춰지지 않더라고요. 결국, 눈물이 나는 장면은 다 걷어냈더라고요. 지우 눈만 봐도 슬퍼서, 눈물을 못 멈추겠더라고요.”
감정 액션
박희순의 다음 작품은 다시 넷플릭스에서 나온다. 마약 조직과 연관된다. 제목은 <모범가족>. “<모범가족>은 <마이네임>과는 다릅니다. 다시 한 번 좋은 연기로 찾아뵐게요. 그때까지 모두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