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일감 몰빵' 기업 내부거래 실태(66)GS리테일-옥산유통

  • 한종해 han1028@ilyosisa.co.kr
  • 등록 2012.08.24 11:29:08
  • 댓글 0개

'땅 짚고 헤엄치는' 허씨 형제들

[일요시사=김성수 기자] 기업의 자회사 퍼주기. 오너일가가 소유한 회사에 일감을 몰아주는 '반칙'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시민단체들이 귀에 딱지가 앉도록 지적해 왔지만 변칙적인 '오너 곳간 채우기'는 멈추지 않고 있다. 보다 못한 정부가 드디어 칼을 빼 들었다. 내부거래를 통한 '일감 몰아주기'관행을 손 볼 태세다. 어디 어디가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 기획으로 정부의 타깃이 될 만한 '얌체사'들을 짚어봤다.

 

GS그룹은 대기업 가운데 내부거래가 심한 편에 속한다. <일요시사>는 일감 몰아주기 연속기획을 통해 GS그룹의 내부거래 실태를 4회에 걸쳐 지적한 바 있다. 재계순위 8위(공기업 제외)인 GS그룹은 지난달 말 기준 총 73개 계열사를 두고 있다.

말보로 등 공급

이중 오너일가 지분이 있는 승산, 보헌개발, 에이치플러스에코, GS네오텍, GS아이티엠, STS로지스틱스, 켐텍인터내셔날, 코스모앤컴퍼니, 정산이앤티, 코스모산업 등 10개사에 그룹 일감이 몰리는 것으로 확인했다.

그런데 이들 회사 외에도 내부거래가 많은 GS그룹 계열사는 또 있다. 바로 '옥산유통'이다. GS 오너일가가 대주주인 이 회사는 계열사들이 일감을 몰아줘 적지 않은 실적이 '안방'에서 나왔다.

1997년 설립된 옥산유통은 담배 도매업체다. 말보로 등을 생산하는 한국필립모리스와 상품공급계약을 맺고 할인마트와 편의점 등에 담배를 납품하고 있다. 서울 종로구 재동에 본사를, 부산영업소 등 6개 지방 영업소를 두고 있다. 2005년 GS그룹이 LG그룹에서 분리될 당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상호출자·채무보증·출자총액제한기업집단인 GS 계열로 신규 편입됐다.


옥산유통은 'GS 식구'가 된 이후 매출(담배소비세 제외)이 ▲2005년 1053억원 ▲2006년 1273억원 ▲2007년 1598억원 ▲2008년 2155억원 ▲2009년 2764억원 ▲2010년 3399억원 ▲2011년 4511억원으로 매년 증가했다.

눈에 띄는 점은 매출이 오른 만큼 내부거래 금액도 덩달아 늘었다는 사실이다. 주요 거래처는 GS리테일. GS리테일은 전국 6700여 개의 GS25 편의점과 240여 개의 GS슈퍼마켓을 운영하고 있다. 옥산유통이 이들 점포에 담배를 공급하는 식으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옥산유통은 지난해 GS리테일과 거래한 금액이 2489억원에 이른다. 2010년엔 1841억원을 GS리테일에서 올렸다. 옥산유통과 GS리테일 간 내부거래액은 ▲2005년 514억원 ▲2006년 639억원 ▲2007년 844억원 ▲2008년 1156억원 ▲2009년 1490억원으로 매년 늘었다.

옥산유통은 GS리테일 등을 등에 업고 거둔 안정된 매출을 기반으로 꾸준히 몸집을 불려왔다. 2005년 이후 최근 7년 동안 적자 없이 10억∼30억원의 영업이익과 10억∼20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전국 GS 편의점·슈퍼마켓에 담배 납품
매년 거래액 증가…지난해 2500억 올려

지난해의 경우 영업이익 39억원에 순이익 30억원을 기록, 최대 실적을 올렸다. 총자산은 2005년 199억원에서 지난해 1193억으로 6년 만에 6배가량 불었다. 같은 기간 28억원이던 총자본은 68억원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옥산유통은 이렇게 거둔 실적을 바탕으로 매년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했다. 지난해 총 25억원을 배당했다. 배당성향이 84%(1주당 2만5000원)에 이르는 고배당이었다. 2010년에도 20억원(배당성향 75%·1주당 2만원)이 주주들에게 돌아갔다. 옥산유통은 앞서 2005∼2009년 각각 10억원, 7억원, 10억원, 10억원, 15억원을 배당한 바 있다.


두둑한 배당금을 챙긴 옥산유통의 주요주주들은 다름 아닌 GS그룹 오너일가다. 허씨들은 해마다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씩 챙겼다. 이는 옥산유통 내부거래가 도마에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옥산유통은 GS일가 4세들이 대주주로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허서홍씨가 20.06%(2만60주)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이어 허준홍씨와 허세홍씨는 각각 19.04%(1만9040주), 7.14%(7140주)를 보유 중이다.

허광수 삼양인터내셔날 회장의 장남 서홍씨는 서울대에서 서양사학과를 전공하고 삼정KPMG FAS 기업금융부에서 2년간 근무했다. 2006년부터 GS홈쇼핑 신사업기획팀과 마케팅부서에서 근무하다 이듬해 5월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의 장녀 정현씨와 결혼해 화제를 모았다. 결혼 직후 미국 스탠포드대 비즈니스스쿨에서 경영학 석사과정(MBA)을 밟았다. 그의 부친 허광수 회장은 사내이사로 옥산유통 경영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

허남각 삼양통상 회장의 장남 준홍씨는 '허만정-허정구-허남각'에 이은 허씨일가 장손이다. 미국 콜로라도대를 나와 2005년 GS칼텍스 생산기획팀에 입사해 현재 부장으로 있다.

GS 4세들 포진

허동수 GS칼텍스 회장의 장남 세홍씨도 GS칼텍스 전무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 경영학과와 미국 스탠포드대 MBA를 마치고 일본 오사키 전자, IBM 뉴욕지사, 셰브런 싱가포르지사 등에서 근무한 뒤 2007년 GS칼텍스에 입사했다.

옥산유통의 큰손님인 GS리테일은 허승조 부회장이 맡고 있다. 2003년부터 GS리테일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는 허 부회장은 고 허만정씨의 막내아들로, 옥산유통의 실질적인 오너인 허남각 회장의 작은아버지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일요시사 취재1팀] 안예리 기자 = 전국 한의과대학교에는 ‘졸업준비위원회’가 존재한다. 말 그대로 졸업 준비를 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명목상 자발적인 가입을 독려하는 듯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강제로 가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졸업준비위원회(이하 졸준위)는 졸업앨범 촬영, 실습 준비, 학번 일정 조율, 학사 일정과 실습 공지, 단체 일정뿐 아니라 국가시험(이하 국시) 대비를 위한 각종 자료 배포를 하고 있다. 매 대학 한의대마다 졸준위는 거의 필수적인 조직이 됐다. 졸준위는 ‘전국한의과대학졸업준비협의체(이하 전졸협)’라는 상위 조직이 존재한다. 자료 독점 전졸협은 각 한의대 졸업준비위원장(이하 졸장)의 연합체로 구성돼있으며, 매년 국시 대비 자료집을 제작해 졸준위에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의텐’ ‘의지’ ‘의맥’ ‘의련’ 등으로 불리는 자료집들이다. 실제 한의대 학생들에게는 ‘국시 준비의 필수 자료’로 통한다. 국시 100일 전에는 ‘의텐’만 보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졸준위가 없으면 국시 준비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말이 정설이다. 한의계 국시는 직전 1개년의 시험 문제만 공개되기 때문에 시험 대비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시 문제는 오직 졸준위를 통해서만 5개년분 열람이 가능할뿐더러, 이 자료집은 공개자료가 아니라서 학생이 직접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사실상 전졸협이 자료들을 독점하고 있는 셈이다. 이 자료집을 얻을 수 있는 경로는 단 하나, 졸준위를 결성하는 것이다. 졸준위가 학생들의 투표로 결성되면 전졸협이 졸준위에 문제집을 제공한다. 이 체계는 오랫동안 유지돼왔고, 학생들도 졸준위를 통해 시험 자료를 제공 받는 것이 ‘관행’처럼 받아들여왔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반드시 결성돼야만 한다는 기조가 강하다. 학생들의 반대로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시 전졸협은 해당 학교에 문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은 모든 학생들의 가입 동의를 얻어야 가능하다. 졸준위 가입 여부는 실질적으로 선택이 아니다. 자료집은 전졸협을 통해서만 제공되기 때문에, 졸준위에 가입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는다는 인식이 학생들 사이에서 강하게 자리 잡았다. 학생들은 “문제를 얻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고 말한다.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경우 현실적으로 문제집을 받아볼 수 있는 마땅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학생들의 해당 학년 학생들을 모두 가입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실제 한 대학교에서는 졸준위 결성을 위한 투표를 진행했는데 익명도 아닌 실명 투표로 진행됐다. 처음에는 익명으로 진행했지만 반대자가 나오자 실명 투표로 전환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반대 의견이 나오기 어렵다. 실명으로 투표가 진행되는 데다, 반대표를 던질 경우 이후 자료 배포·학년 일정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 실명 투표로 진행 가입시 200만원 이상 납부 필수 문제는 이 졸준위 가입이 무료가 아니라는 점이다. 졸준위에 가입하면 졸업 준비 비용(이하 졸비) 명목으로 학생들에게 돈을 걷는데, 그 비용이 상당하다. <일요시사> 취재 결과 한 대학교의 졸비는 3차에 걸쳐 납부하도록 했는데 1차에 75만원, 2차에 80만원, 3차에 77만원 등 총 232만원 수준이었다. 이는 한 학기 등록금에 맞먹는 금액이다. 금액 산정 방식은 졸준위 가입 학생 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한 명이라도 빠지게 되면 나머지 인원의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된다. 심지어 2명 이상 탈퇴하게 된다면 졸준위가 무산될 수도 있다. 이 모든 사안은 ‘졸장’의 주도 하에 움직인다. 졸장은 학년 전체를 대변하며 전졸협과 직접 소통하는 역할을 맡는다. 실제 졸장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한 명이라도 탈퇴하면 안 된다”는 취지의 발언이 오갔을 정도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졸준위가 결성되면 가입한 모든 학생들은 졸준위의 통제를 받는다.<일요시사>가 입수한 한 학교의 규칙문에 따르면 졸준위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두고 있었다. ▲출석 시간(8시49분59초까지 착석 등) ▲교수·레지던트에게 개인 연락 금지 ▲지각·결석 시 벌금 ▲회의·행사 참여 의무 ▲병결·생리 결 확인 절차 ▲전자기기 사용 제한 ▲비대면 수업 접속 규칙 ▲시험 기간 행동 규칙 ▲기출·족보 자료 관리 규정 등이다. 학생들이 이 규정을 어길 시 졸준위는 ‘벌금’을 부과해 통제하고 있었다. 금액도 적지 않았다. 규정 위반 시 벌금 2만원에서 50만원까지 부과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었다.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병결이다. 졸준위는 병결을 인정하기 위해 학생에게 진단서 제출을 요구하고, 그 내용(질병명·진료 소견·감염 여부 등)을 직접 열람해 판단했다. 제출 병원에 따라 병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공지도 있었다. 한 병원의 진단서가 획일적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단체가 학생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해 병결 여부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은 학생들 사이에서 부담과 압박으로 작용했다. 질병이 있어도 벌금이 부과될 수 있고, 병결을 얻기 위한 절차가 학습보다 더 어렵다는 말도 나왔다. 규정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면 졸준위는 대면 면담을 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3:1로 면담을 진행하는 등 학생이 위축될 수 있는 방식을 행하기도 했다. 전자기기 사용 불가 규칙 어기면 벌금도 이 같은 문제로 탈퇴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실제 A 대학 졸준위 전체 학번 회의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한 학생은 규정에 문제를 느껴 졸준위 측에 탈퇴를 의사를 밝혀왔다. 이 회의에서는 그간 탈퇴 의사를 밝힌 학생과의 카톡 대화 전문이 학생들에게 공개됐다. 공개된 카톡 내용에는 탈퇴 과정이 담겨있었는데 순탄하지 않았다. 졸준위 측은 탈퇴 의사를 즉각적으로 승인하지 않았고, 재고를 요청하거나 면담하는 방식으로 요청을 지연했다. 해당 학생이 다시 한번 탈퇴 의사를 명확히 밝힌 뒤에도, 졸장은 “만나서 얘기하자”며 받아주지 않았다. 심지어는 이 대화를 공개한 뒤 학우들에게 ‘졸준위에서 이탈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서약서를 받아내기도 했다. 졸준위 운영이 조직 이탈 자체를 문제로 판단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압박을 가한 정황이 확인되는 대목이다. 해당 학우는 탈퇴 확인 및 권리 포기 동의서에 서명한 뒤에야 졸준위를 탈퇴할 수 있었다. 탈퇴 이후에도 갈등은 지속됐다. 목격자에 따르면 시험 기간 중, 강의실 앞을 지나던 탈퇴 학생은 졸준위 임원 두 명에게 “제보가 들어왔다”며 불려 세워졌다. 임원들은 이 학생이 학습 플랫폼 ‘퀴즐렛’을 사용한 점을 언급하며, 그 자료 안에 졸준위에서 배포한 기출문제가 포함돼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졸준위에서는 퀴즐렛에 학교 시험 내용이 있다며 탈퇴자가 보지 못하도록 사용자를 색출하기도 했다. 한편, 전졸협은 10년 전 자체 제작한 문제집으로 논란된 적이 있다. 당시 한의사 국가고시 시험문제가 학생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예상 문제집과 지나치게 유사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시험이 끝난 직후 시험장 앞에서 수험생 60여명을 상대로 참고서와 문제집을 압수했고, 국가시험원까지 압수수색해 기출문제와 대조 작업에 들어갔다. 기형적 구조 문제가 된 교재는 ‘의맥’ ‘의련’ 등 졸준위 연합체인 전졸협이 제작·배포해 온 자료들이다. 학생들은 교재에 일련번호를 붙이고 신분증을 확인한 후 배포하는 등 통제된 방식으로 유통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는 “학생들이 전졸협을 통해서만 기출문제를 구할 수 있는 구조는 기형적”이라며 “국가고시를 위해 몇백만원씩 돈을 받고 문제를 제공하는 건 문제를 사고파는 것”이라고 말했다. <imsharp@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