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그야 물론입니다. 하면, 방법이 없겠습니까?”
“인간사 왜 방법이 없겠소.”
말을 하다 말고 복신이 미소를 보였다.
“뭡니까?”
“스님께서 수고 좀 해주셔야겠소.”
“말씀 하세요.”
명분을 위해서
“지금 이 길로 왜국(일본)으로 가서 왕자 부여 풍을 데려 오시오.”
부여 풍, 의자왕의 다섯째 아들로 일찍이 왜국에 볼모로 잡혀 있던 중이었다.
“왜국에서 그를 풀어줄까요?”
“내 방금 전 이야기하지 않았소?”
“무슨 이야기를?”
“명분 말이오, 명분. 백제가 이 지경이 되었다고 하면 왜국에서도 더 이상 볼모로 잡고 있을 명분이 없지 않소.”
그제야 도침의 얼굴에 미소가 번지기 시작했다.
“그러니까, 풍 왕자를 허수아비로 세워놓고 일을 도모하자 이 말씀이십니다.”
“허수아비라니요, 함께지요.”
답을 하는 복신의 얼굴에서도 미소가 번져나갔다.
도침이 부여풍을 데리러 왜국으로 건너간 사이에 임존성(任存城, 충남 예산군 대흥면)을 기점으로 또 하나의 세력이 움직이고 있었다.
의자왕이 소정방에게 항복할 당시 2품관인 달솔(達率)로서 풍달군(風達郡, 충남 예산)의 군장(郡將)을 겸했던 흑치상지가 소정방이 의자왕을 포로로 삼고 갖은 약탈을 자행하자 사탁상여, 지수신 등 십여 명의 장수와 함께 도망하여 풍달군에 이르렀고 이어 옛 백제의 삼만여 군사를 수습하여 임존성을 점령했다.
소정방이 당으로 돌아가기에 앞서 소식을 듣고 임존성을 공격하였으나 패배했다.
아울러 더 이상 시간을 끌 수 없다는 판단에 당으로 돌아가자 흑치상지는 그 기세를 몰아 주변 여러 성을 점령하여 세를 확장하고 있었다.
“장군, 소식 들었습니까?”
“무슨 소식 말이오.”
“주류성 성주인 복신이 승려인 도침과 함께 왜국에 볼모로 잡혀간 풍 왕자를 모셔 왕으로 앉히려 한답니다.”
흑치상지가 막 출정하려는 시점에 사탁상여가 다가섰다.
“복신 성주와 중이?”
되받아 친 흑치상지가 말꼬리를 올렸다.
“모르고 계셨습니까?”
“알고 모르고를 떠나서 복신이라면 그저 문인에 불과한데 거기에 더하여 또 중이라니 하는 소리 아니요.”
“그도 그렇지만 그에 앞서 우리 입장을 정리해야 할 듯하여 그러합니다.”
“입장이라니요?”
“주류성에서 풍 왕자를 새로운 임금으로 맞이한다면 우리는 어찌 처신할지 그를 묻는 것입니다.”
흑치상지가 답에 앞서 잠시 침묵을 지켰다.
흑치상지, 지수신 이용해 주류성 돕다
복신과 도침, 사비성 에워싸고 허송세월
“전하의 아들이 보위에 오른다면 우리가 인정하지 않을 수 없소. 우리 모두 의자왕의 신하였으니.”
“그 부분은 누구도 이의가 있을 수 없지요. 그러나 그 두 사람으로 오래 갈 수 있겠습니까?”
사탁상여의 말에 흑치상지가 말머리를 돌렸다.
“왜 그러시오?”
“장군의 말을 곰곰이 생각해보니 우선 주류성을 도와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그렇소.”
“어떻게 하시려고?”
“지수신 장군에게 부탁하려 하오.”
“지수신 장군에게 말입니까?”
“장군과 나는 이곳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지수신 장군으로 하여금 주류성을 도울 수 있도록 하려 하오.”
흑치상지와 사탁상여 등의 요청으로 지수신이 주류성에 도착할 무렵 도침에 의해 부여풍이 주류성으로 돌아와 새롭게 왕위에 오를 것이라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이어 그 소식은 사방으로 퍼져나갔고 백제의 남은 세력들이 급격하게 주류성으로 모여들었다.
“성주, 이제 움직일 때입니다.”
복신과 도침이 새로운 체제에 재미를 붙이고 움직일 기미를 보이지 않자 지수신이 두 사람을 찾았다.
“움직이다니?”
“사비성을 되찾아야 할 거 아닙니까?”
복신이 도침의 얼굴을 빤히 주시하기만 했다.
“이러려고 새로 임금을 모시고자 했습니까!”
“무슨 말을 그리하는 거요!”
정곡을 지르는 지수신의 말에 복신의 얼굴이 급격하게 일그러졌다.
“그러면 왜 이러고 있는 거요. 우리가 힘을 모은 일이 백제를 다시 살리자는 뜻 아니었습니까!”
“그야 당연한 말입니다.”
“그러면 이제 당나라 군사들을 몰아내고 사비성을 되찾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미처 그 생각을 하지 못했던지 복신과 도침이 가벼이 한숨을 내쉬었다.
“장군, 실은.”
“말씀하세요.”
“나나 여기 있는 도침 스님이나 전투에 관해서는 문외한 아니겠소.”
“그래서 소장이 이곳에 합류한 거 아닙니까.”
“결론은 장군에게 군사를 넘기라는 말입니다.”가만히 대화를 듣던 도침이 나섰다.
“군사를 넘기는 차원의 이야기가 아니라 이제는 본격적으로 행동에 임할 때라 이 말이오.”
도침이 순간 시선을 복신에게 주었다.
“성주, 함께 움직입시다.”
“결국 그 수밖에는 없겠습니다.”
복신과 도침이 군사를 넘겨주지 않으려는 작태를 감지한 지수신이 크게 한숨을 내쉬었다.
“여하튼 빨리 사비성을 찾읍시다.”
지수신의 강력한 요구에 밀려 복신과 도침이 군사를 거느리고 사비성으로 나아가 성을 포위하였으나 여러 날이 지나도 공격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그들의 속내는?
지수신이 다시 공격할 것을 강력하게 주문하자 복신과 도침은 이 핑계 저 핑계대기 일쑤였고 결국 시간만 지루하게 흘러갔다.
한편 사비성에서는 야음을 틈타 당나라에 전령을 급파하여 원군을 청하기에 이른다.
당의 고종이 급히 유인궤를 검교대방주자사(檢校帶方州刺史)로 삼아 군사를 거느리고 사비성을 구하라는 명을 내린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