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자신의 직속 부하 군사들을 월성에 소집한 유신이 적의 동태 아울러 선덕여왕의 상태를 가늠하며 시일을 조정하고 있었다.
어느 날 저녁 늦은 시간에 망루에서 하늘을 바라보던 유신의 눈에 동쪽 하늘에 떠 있던 별이 월성으로 떨어지는 모습이 보였다.
순간 고개를 뒤로 돌렸다.
저만치 어둠 속에 선덕여왕이 머물러 있는 장소가 눈에 들어왔다.
‘기어코 운명을 달리했구나.’
들릴 듯 말 듯 독백을 내뱉고 명활성 방향을 바라보았다.
그곳에서 고함이 들려오는 듯했다.
유신이 잠시 선덕여왕이 있는 곳과 명활성을 번갈아 바라보다 저만치에 있는 죽지를 불렀다.
죽지에게 긴급히 지시내리고 최정예 병사들을 소집했다.
그들에게도 급히 지시를 내리고 선덕여왕이 머무는 곳으로 걸음을 옮겼다.
알천을 위시하여 춘추 등 여러 대신들이 흐느끼고 있었다.
일망타진
“기어코…….”
춘추의 말소리가 서러움으로 잠겨들었다.
비록 군주와 신하를 떠나 자신을 끔찍하게 아껴주던 이모였다.
충분히 그의 마음을 헤아리겠다는 듯 어깨를 토닥여 주었다.
“장군, 언제까지 저들을 두고 볼 참입니까?”
죽지의 아버지인 각간 술종이 앞으로 나섰다.
“바로 처리해야지요.”
“바로라고 하였는가?”
“그러합니다, 상대등 대감.”
임시로 상대등 직을 수행하는 알천의 질문에 유신이 힘주어 답했다.
“무슨 특별한 사유라도 있는가?”
“망루에서 적진을 살피는데 돌연 별이 이곳으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그러니 저들도 그 모습을 보았을 터고 그로 인해 기고만장해서 들떠 있을 겁니다.”
“그 순간을 치겠다는 말인가?”
“단순히 그렇지 않습니다.”
“하면.”
“잠시 후 자정 무렵에 떨어진 별이 다시 하늘로 떠오를 것입니다. 그 순간에 기습공격을 감행해서 역적들을 일망타진하렵니다.”
“별이 다시 떠오르다니요?”
호림이 의아한 표정을 지으며 주위를 살폈다.
“저들을 혼란에 빠트려야지요.”
“저들뿐만 아니라 우리 역시 마찬가지 아닙니까. 떨어진 별이 다시 떠오른다면, 그러면 여주께서 숨을 거둔 게 아니란 말입니까?”
“여주의 죽음과는 상관없이 별이 떠오를 겁니다.”
“우리에게 말하기 곤란한가?”
급기야 필탄이 나섰다.
“곤란한 것은 아니고, 소장이 죽지로 하여금 다시 별을 띄우라 했습니다.”
“다시 별을 띄운다.”
“죽지에게 허수아비를 만들어 불을 붙여 연에 달아 하늘로 띄우라 하였습니다. 또한 그를 시점으로 대대적인 기습공격을 지시하였습니다.”
“그러면 혼란에 빠진 역적 놈들은 그야말로 갈팡질팡하고 그 순간에 몰살하겠다 이 말이네.”
알천이 미소 지으며 말을 받자 모두가 감탄의 표정을 지으며 유신을 주시했다.
“상대등께서는 여기 계신 각간들과 저 역적 놈들을 어찌 처리하실지 입장을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어찌 처리하긴요. 모두 갈가리 찢어죽여야지요!”
춘추가 이빨을 갈았다.
“저들만으로는 안 되지. 이왕 처리할 거라면 후환을 생각해서라도 최소한 구족까지 모두 쓸어버려야 할 일이야.”
“구족이오!”
답을 하고 고개를 돌려 나가는 유신의 등 뒤로 춘추의 외마디 소리가 들려왔다.
선덕여왕의 죽음…병사 소집한 춘추
당나라 출정소식…고구려 타계책은?
선도해가 사절을 빙자하여 당나라를 방문하고 돌아오자 뒤늦게 그 사실을 확인한 당나라 조정 일부에서 다시금 고구려 침공에 대한 여론이 비등하기 시작했다.
그에 따라 이세민의 분노가 끓어오르고 결국 고구려 침공을 논하기에 이르렀다.
그 과정에서 당태종이 복수를 거론하며 친정을 발표하자 다수의 신하들이 반대하고 나섰다.
표면상으로 당태종의 몸 상태를 거론했으나 이면에는 지난 침공 시 겪었던 고구려의 예기치 못한 전략에 대한 두려움이 숨어 있었다.
하여 신하들의 집요한 반대에 결국 이세민이 자신은 빠지고 소규모의 부대를 보내기로 결정했다.
그러한 사실이 선도해가 당을 방문하며 당나라 곳곳에 심어 놓은 세작으로부터 전해졌다.
먼저 군사상 요지인 산해관(山海關, 중국 하북성 지역)으로부터 소식이 날아왔다.
이세적이 요동도행군대총관, 손이랑이 부총관이 되어 군사 삼천을 거느리고 출발했다는 소식이었다.
소식을 접한 연개소문이 선도해를 위시하여 여러 장군들과 함께 보장왕을 찾았다.
“형님 아니 막리지 대감, 이 자식들이.”
“말하게.”
연정토가 허탈하다는 표정을 지으며 말을 하다 말자 연개소문이 마땅치 않다는 듯 주시했다.
“이게 뭡니까, 고작 군사 삼천이라니요. 이세민인지 쥐세민인지 고구려를 아주 우습게 본 모양입니다.”
연개소문이 연정토를 주시하며 가볍게 혀를 찼다.
“왜 그러십니까?”
“이 사람아, 그게 있을 법한 이야긴가? 정녕 그렇다면 우리가 이 자리에 뭐 하러 모였겠는가?”
“형님, 알아들어먹게 말 좀 해주세요.”
연개소문이 답에 앞서 선도해를 주시했다.
“연정토 장군, 저 놈들이 단지 삼천으로 고구려를 칠 수는 없는 노릇이지요.”
“내 말이 그 말 아닙니까?”
목소리를 높인 연정토가 어깨를 으쓱하며 주위를 둘러보았다.
“그 병력은 속임수고 아마도 다른 길로, 즉 바다를 이용해서 대규모 병력이 침공해 올 겁니다.”
“속임수, 바다!”
“이제 알겠느냐. 맨 정신이라면 삼천으로 가당하겠느냐?”
연정토의 표정이 급격히 일그러졌다.
“전하, 그런 연유로 지금 바다를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선 책사 말마따나 저놈들이 삼천의 병력으로 우리의 시선을 끌고 바다를 건너와 공격을 감행할 모양입니다.”
“그런 경우라면 내주에서 출발하겠군요.”
보장왕의 얼굴에 근심이 어리는 그 시점에 급히 궁인이 들어 조그마한 종이를 연개소문에게 건넸다.
모두의 시선이 연개소문에게 쏠렸고 한 순간 연개소문이 가볍게 한숨을 내쉬었다.
“뭡니까, 형님!”
날아온 첩보
“자네 문제에 대한 해답일세.”
연정토가 어리둥절한 표정을 지었다.
“전하, 내주로부터 날아온 첩보입니다. 지금 내주에서 우진달이 청구도행군대총관, 이해안이 부총관이 되어 군사 이만여 명이 승선을 준비하고 있다 하옵니다.”
“이만이라 하였습니까?”
“그러합니다.”
답을 한 연개소문이 선도해를 주시했다.
마치 그에 대한 답을 달라는 투였다.
“당의 병력으로 보아 전면전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그러면 결국 기습공격이란 말이오?”
“이미 노출되었으니, 그리고 그 정도의 병력이면 기습공격에는 합당하지 않지요. 그러니 일종의 심리전을 노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심리전이라.”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