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고배당 논란이 재연됐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김성주 성주그룹 회장의 지배력은 여전히 막강하다. 지난달 1일 성주그룹 지주사 격인 ‘성주디앤디’의 경영권을 내려놓았지만 김 회장의 입지는 흔들림이 없다. 90%가 넘는 회사 지분의 소유주가 김 회장인 까닭이다. 김 회장의 엄청난 지분율은 또 다른 파생효과를 낳고 있다. 매년 수십억씩 통장으로 입금되는 배당금이 바로 그것이다.
앉은 자리서…
2016회계연도 연결감사보고서 분석 결과 성주디앤디는 주주들에게 50억원의 배당금을 건넨 것으로 나타났다. 1주당 배당금은 약 8만3333원이다. 최근 3년으로 범위를 넓히면 배당금총액은 약 163억원으로 불어난다. 성주디앤디는 2014년 47억16만7000원, 이듬해 66억원을 배당한 바 있다.
당기순이익 대비 배당금총액을 뜻하는 ‘배당성향’만 놓고 보면 성주디앤디의 배당정책을 무작정 고배당이라고 단정 짓기 힘들다. 통상 국내 상장사 평균 배당성향은 10∼20%대, 비상장사는 30∼50%대를 형성한다. 이는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비상장사인 성주디앤디의 지난해 배당성향은 약 10.71%에 불과했다. 100원의 당기순이익을 벌어 11원을 배당한 셈이다. 2014년과 2015년 배당성향은 각각 9.87%, 17.37%였다. 종합적으로 보자면 최근 3년 간 배당으로 인해 회사 재정에 무리가 갈 만큼 과도한 배당정책을 고수한 건 아니었다.
다만 배당금총액의 대부분이 김 회장에게 흘러간다는 점은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지난해 말 기준 성주디앤디의 지분 구조를 살펴보면 이 회사 주식은 단 2명에게 몰려 있다.
최대주주는 지분율 94.8%를 기록한 김 회장이고 나머지 5.2%는 송문호씨 몫이다. 전체 주식수 6만주를 김 회장과 송씨가 각각 5만6892주, 3108주씩 나눠 갖는 형태다.
쌓이는 잉여금, 커지는 배당 규모
지분율 95%…매년 통장에 따박따박
김 회장이 대표이사서 물러났지만 이와 별개로 지배력만큼은 여전히 압도적이 이유도 여기에 있다. 성주디앤디의 현 지분구조는 김 회장이 그룹 내 전체 배당금을 독식하다시피 하도록 만들었다.
실제로 김 회장은 성주디앤디의 지난해 배당금총액(50억원) 가운데 47억원을 쓸어 담았고 2014년(42억원), 2015년(62억원)에 받은 배당금까지 합치면 수령액은 150억원대로 불어난다.
김 회장은 향후에도 배당의 수혜를 누릴 것으로 관측된다. 성주디앤디는 2006년 이후 매해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고 있다. 외형이 커지는 와중에 견조한 수익구조가 유지되면서 영업이익도 증가세를 나타냈다.
2005년 30억원을 밑돌던 영업이익은 8년 후 20배가 넘게 증가했다. 2013년 824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지만 여전히 매년 600억원이 넘는 이익을 벌어들이고 있다.
고속성장을 거듭하면서 이익잉여금 잔액은 해가 바뀔 때마다 급증하고 있다. 2007년만 하더라도 170억원에 불과했던 성주디앤디의 이익잉여금은 매년 수백억대로 쌓인 당기순이익 덕분에 지난해 2869억원까지 불어났다.
이익잉여금은 배당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만큼 김 회장이 이익잉여금 축적의 과실을 온전히 따먹을 것으로 전망된다. 배당금으로 지급된 금액을 제외하면 누적 당기순이익이 그대로 내부 곳간에 쌓여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쌓이는 곳간
게다가 성주디앤디는 보유 현금과 예치금 등 현금화가 쉬운 자산만 1000억원이 넘게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성주디앤디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542억원이다. 여기에 금융 예치금 형태로 448억원을 갖고 있다. 자금 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비유동금융자산에도 283억원을 투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