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임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김유신이 압량주 군주로 부임하자 한동안 소강상태에 빠져있던 김춘추 문제가 전면으로 부상했다.
물론 그 중심에는 염종과 그를 후원하는 비담이 있었다.
결국 조정 회의에서는 연일 그 문제가 쟁점으로 불거졌다.
그러던 어느 날 유신이 춘추를 방문했다.
마침 춘추가 알천과 필탄과 더불어 머리를 맞대고 숙론하고 있었다.
“처남이 어인 일로 오셨습니까?”
위기의 당항성
“자네 소식 듣고 급히 달려왔네.”
유신이 답을 하고는 알천과 필탄 두 사람에게 머리 숙여 예를 올렸다.
“마침 잘 왔네. 그렇지 않아도 그 문제로 대화를 나누던 중이었네.”
알천이 자리를 권하자 춘추 옆에 자리했다.
“일이 의외로 쉽게 풀려갈 조짐이 보입니다.”
“무슨 말입니까, 처남!”
“우리 세작의 제보가 있었는데 자네가 고구려에서 돌아오고 난 얼마 후에 백제 사신들이 보장왕과 연개소문을 만났다고 하네.”
“그들이 무엇 때문에?”
순간 필탄의 목소리가 올라갔다.
“표면상 새로 보위에 앉은 보장왕을 축하한 자리였지만 내면으로는 두 나라 간에 모종의 협약을 맺었다 합니다.”
“협약이라니?”
“당항성을 공격하기로 합의 보았다 합니다.”
“당항성을!”
알천이 끼어들었다.
“대당 거점인 당항성을 점령하여 우리를 고립시키겠다는 의미입니다.”
“헌데 그게 무슨 상관있다고 춘추 공의 일이 쉽게 풀린다는 말인가?”
필탄이 다시 말을 잇자 유신이 춘추를 바라보았다.
“지금 한가하게 매부의 일로 옥신각신할 때가 아니지요.”
“아니면?”
“당연히 당항성을 방어하는 일이 우선되어야지요. 그러니 수고스럽겠지만 두 분께서 이 사실을 여주께 고하여 논점이 바뀌도록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춘추 공 문제를 당항성 방어 문제로 바꾼다는 말일세.”
답을 한 알천의 얼굴에 잔잔한 미소가 흘렀다.
“입증할만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으면 더 좋겠구먼.”
“그 점은 염려 마십시오. 제가 정보 제공자를 내일 궁으로 들여보내도록 하겠습니다.”
“그 사람이 누군가?”
“덕창이라는 중으로 소장의 지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 사람이 어떻게?”
“포교를 위해 수시로 국경을 넘나드는데 그 과정에서 정보를 입수했다 합니다.”
“중이라도 국경을 함부로 넘나들 수 없지 않은가?”
“오히려 그 점이 더욱 믿을 수 있지 않겠습니까?”
“더욱 믿을만하다니?”
“목숨을 걸고 고하는 일이니까요.”
그 말을 새기며 알천과 필탄이 시선을 나누었다.
“그러니 여주로 하여금 매부의 일에서 벗어나 당항성 방어에 총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두 분께서 앞장서 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결국 장군에게 힘이 쏠리게 되겠구려.”
침울하게 듣고 있던 춘추의 표정이 어느새 밝아졌다.
고구려-백제 연합…당항성 점령 계획
연개소문을 만난 덕창…뜻밖의 실토
다음날 알천이 유신으로부터 인계받은 덕창이란 중과 함께 조정으로 향했다.
조금 늦어 당도하니 이미 조정은 일촉즉발의 상황이 전개되고 있었다.
알천이 여주에게 예를 갖추자 함께 들어서는 덕창에게 모두의 시선이 집중되었다.
“그 스님은 뉘십니까?”
평소 불교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쏟던 선덕여왕이 먼저 호기심을 드러냈다.
“저희가 그동안 소모적인 논쟁을 일삼느라 미처 살피지 못한 중대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 일을 밝히고자 덕창 스님을 대동했습니다.”
알천의 이야기에 비담과 염종이 서로의 얼굴을 살폈다.
“무슨 일인가요?”
“스님으로 하여금 직접 아뢰도록 하겠습니다.”
알천이 덕창을 바라보며 눈짓을 주었다.
“그렇게 하시지요.”
여주의 용인이 떨어지자 덕창이 앞으로 나섰다.
“소승의 죄를 먼저 인정하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소승은 포교를 위해 고구려는 물론 백제 땅도 자주 방문하고 있습니다. 이는 실로 가벼운 죄가 아님을 잘 알고 있습니다. 허나 저의 말에는 추호도 거짓이 없음을 먼저 믿어주셔야 합니다.”
잠시 사이를 두자 비담과 염종이 서로를 주시했다.
“얼마 전 소승이 평양성을 다녀왔습니다. 그곳에 도착했을 때 공교롭게도 백제의 장군인 성충과 군사인 흥수도 고구려에 입국하였습니다. 그리고 새로 보위에 앉은 보장왕과 실권자인 연개소문을 만났습니다.”
“뭐라!”
어느 한 사람이 아닌 모두의 반응이었다.
“겉으로는 새로 보위에 앉은 보장왕을 축하하기 위한 자리로 보였지만 실은 두 나라가 동맹을 맺어 신라를 공격하기로 합의한 자리였습니다.”
덕창이 힘주어 말하자 일시에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신라를 친다 하였소?”
필탄이 목소리를 높였다.
“두 나라가 동맹을 맺고 신라를 고립시키기 위해 당항성을 점령하기로 굳게 약조하였습니다.”
“당항성!”
당항성이라는 말에 더욱 웅성거리기 시작했다.
“이보시오! 그걸 어떻게 믿을 수 있소?”
염종이 목소리를 높이자 덕창이 고개를 돌리고 냉담한 표정을 지었다.
“소승의 죄를 모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소승은 신라사람 입니다. 사안이 사안인지라 나서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 말을 어떻게 믿을 수 있느냐 했는데 무슨 얼토당토않은 소리요!”
“그러시다면.”
덕창이 말을 하다 말고 주위를 둘러보았다.
그의 시선이 춘추에게서 머물렀다.
“춘추 공, 혹시 선도해라는 사람을 알고 계십니까?”
느닷없는 이야기에 춘추의 눈이 휘둥그레졌다.
“스님이 어찌 그 사람을 알고 있습니까?”
동맹의 실체
“그 사람을 직접 알지는 못하오나 그와 가까운 인척으로 준설이란 중을 잘 알고 있습니다. 고구려에 들어가면 으레 그 사람 신세를 지고는 합니다. 그 사람을 통해서 선도해의 말을 전해 들었습니다.”
여기저기서 한숨 소리가 흘러나왔다.
“춘추 공, 어떻소. 신뢰에 대해 여지가 있는 사람이오?”
“선도해라는 사람의 입에서 나온 말이라면 정확합니다.”
“선도해란 놈이 대체 누구요!”
염종이 다시 목소리를 높였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