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 ‘나 홀로 대박’ 회장들- 구자신 쿠쿠전자 회장

전기밥솥 팔아 매년 수백억씩…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고배당 논란이 재연됐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쿠쿠전자는 지난달 14일 보통주 1주당 3100원을 현금 배당한다고 공시했다. 시가 배당률은 2.4%, 총배당금은 약 252억원. 지난달 29일 열린 정기주주총회서 배당 관련 안건이 통과된 만큼 승인 날짜로부터 1개월 내로 주주들에게 배당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곳간 채우기?

쿠쿠전자의 이번 배당 결정은 최근 몇 년간 지속된 배당 확대 정책의 연장선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2014년 연결제무재표 기준 순이익 907억원을 달성한 쿠쿠전자는 이를 토대로 이듬해 3월 1주당 1500원의 배당계획을 내놨다. 2014년에 50% 이상 전년 대비 순이익이 증가한 데 따른 결정이자 주주친화적 정책의 일환이다.

2015년에는 순이익이 745억원으로 대폭 감소했지만 이를 토대로 지난해 3월 책정된 1주당 배당금은 오히려 2100원으로 600원 상향됐다. 지난해 순이익이 회복세로 돌아서자 올해는 66.7% 급등한 1주당 배당 결정이 내려졌다. 불과 2년 만에 보통주 1주당 배당금이 두 배 이상 훌쩍 뛰어오른 셈이다.

총배당금 규모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2015년 주총서 122억원에 승인이 이뤄졌던 총배당금은 이듬해 172억원으로 오른 데 이어 올해 회사 역사상 최초로 200억원대를 돌파했다.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총배당금 비율을 뜻하는 ‘배당성향’도 상승곡선을 그렸다. 2015년 주총서 배당금 확정 시 13.55%였던 배당성향은 이듬해 23.09%로 10%p 가까이 급등한 데 이어 올해는 약 31.3%에 달할 전망이다.

매년 반복되는 ‘배당잔치’
배당금 70% 오너 일가 몫

물론 매년 급증하는 쿠쿠전자 배당 규모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30%대 쿠쿠전자 배당성향은 주주친화적 정책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면이 크다. 20% 안팎에 불과한 국내 기업 평균 배당성향은 선진국 평균 배당성향(44.6%)은 물론이고 신흥시장(32.9%)보다 낮은 수준이다.

게다가 쿠쿠전자는 내실이 탄탄한 기업이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7167억원에 영업이익 954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이 13.3%에 달했다. 영업이익률은 2013년 13.5%, 2014년 13.9%, 2015년 13.7%로 나타났다.

다만 오너 일가가 보유한 압도적인 지분 비중은 논란의 여지를 남긴다.
 

쿠쿠전자는 창업주인 구자신 회장이 9.3%(91만4160주), 장남인 구본학 쿠쿠전자 사장 33.1%(324만5380주), 차남인 본진씨 14.4%(140만7476주), 쿠쿠전자 16.4%(160만5504주), 쿠쿠사회복지재단 1.8%(18만주) 등 오너 일가와 관계사가 지분 75%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자사주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배당을 하지 않기 때문에 주주들은 지분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배당금을 얻게 된다.

보유 지분에 따라 각각 구 사장은 101억원, 본진씨는 44억원, 구 회장은 28억원 등 오너 일가가 가져가는 배당금이 총 173억원가량이다. 총배당금의 68.7%에 달한다. 이 같은 방식으로 쿠쿠전자가 2014년 8월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한 후 오너 일가가 챙긴 배당금의 전체 규모는 약 370억원이다.


반면 전체 주주수 가운데 99.81%를 차지하는 소액주주들은 21.13%의 지분(207만2006주)만 소유하고 있다. 이쯤 되자 매년 수백억대 배당이 계속되는 현상을 오너 일가 곳간 채우기 쯤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오너 일가 지분율이 70%에 가까운 상황에서 개인투자자들을 위한 이익환원이라는 대명제가 성립될 수 없다고 보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말로만 주주친화

이 같은 맹점을 없애기 위해서라도 최대주주와 소액주주의 차등배당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실제로 최대주주의 배당은 최대한 줄이거나 없애는 대신 소액주주 배당은 늘리는 차등배당이 최근 몇몇 기업에서 시행되는 추세다. 차등배당은 소액주주의 이익 극대화와 향후 투자 재원인 내부유보금 확충에 유리하고 대주주의 과도한 현금배당 논란을 종식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쿠쿠전자는 어떤 회사?

1978년 11월 설립된 성광전자를 모태로 하는 쿠쿠전자는 2002년 10월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창업주인 구자신 회장은 금성사(현 LG전자)의 소형가전 주문자제작상표(OEM) 제조업체에 선정돼 자본금 1억원으로 성광전자를 창립해 밥솥사업에 뛰어들었다. 구 회장은 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과 10촌사이로 알려져 있다.

국내 전기밥솥 시장서 점유율 70%로 독보적 1위를 달리고 있는 쿠쿠전자는 전기밥솥 이외에도 웰빙 쿠커, 식기 건조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수기, 비데, 공기청정기, 연수기 등으로 렌털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추세다.

쿠쿠전자의 지난해 호실적은 렌탈사업에 기인한 바가 크다. 가전사업 부문의 부진과 달리 렌탈사업은 계정 수 100만개를 유지한 가운데 매출이 전년 대비 22.3%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12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