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종이 신문의 한 귀퉁이에 자리한 손바닥만한 크기의 그림. 시대를 관통하는 이야기, 사회의 희로애락을 담은 ‘한 컷’. 풍자와 해학 그리고 저항의 상징. 그 이름 만평.
시사만화가들이 창립한 ‘전국시사만화협회’가 지난해 20주년을 맞았다. <민중의소리>에 ‘최민의 시사만평’을 연재 중인 최승호 <민중의소리> 논설위원은 지난해 11월 협회의 20년 역사를 담은 책을 펴냈다. 제목은 <인간, 사회 그리고 시대를 그리다>.
네모 안 그림
만평, 4컷 만화 등 시사만화는 기사, 사진과 함께 신문의 정체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꼭지다. 하루, 한 주를 관통하는 주제를 한 컷 혹은 네 컷에 담아야 하는 제약에도 불구하고, 과거 시사만화에 대한 관심은 남다른 데가 있었다.
책 제목처럼 인간과 사회 그리고 시대를 표현한 그림이기 때문.
시사만화의 역사는 종이 신문의 역사와 그 흐름을 같이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군부독재 시절 신문이 엄혹한 탄압을 받았을 때 시사만화는 그 표적이었다. 정권에 비판적인 내용이 담긴 만평이 누락되거나 표현의 수위를 낮추는 방향으로 수정되는 등 수난을 겪은 것이다.
이후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종이 신문의 시대가 서서히 막을 내리면서 동시에 시사만화의 영향력도 줄어들었다. 제한 없는 소재와 직설적이고 강도 높은 수위의 이미지가 온라인 세상에 넘쳐났다. 은유적인 표현으로 권력자를 비판했던 시사만화가 종이 신문의 한계에 부딪쳐 사라져 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시사만화의 명맥이 완전히 끊어진 것은 아니다. 시사만화가들은 여전히 일간지, 주간지 등 종이 신문, 잡지, 온라인 공간, 출판 등을 통해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매주 <일요시사>에 만평을 연재하고 있는 김홍기 화백도 그 가운데 한 사람이다. 서면을 통해 김 화백의 이야기를 들었다.
2013년부터 <일요시사> 연재
2016년 시사만화 우수상 수상
경북 문경 출생의 김 화백은 어린 시절 집에서 구독한 일간 신문을 보면서 TV프로그램 편성표와 함께 만화에 흥미를 느꼈다.
어린이신문의 만화보다 시사만화의 알 듯 모를 듯한 재미에 빠졌던 그는 현재 <일요시사> <기호일보> <농민신문> 등 세 곳의 언론사에 만평과 일러스트를 연재하고 있다.
김 화백은 이원석 화백에 이어 2013년부터 <일요시사>에 만평을 연재 중이다. 김 화백의 만평은 뚜렷한 주제의식, 친숙한 그림, 촌철살인의 대사 등으로 <일요시사>에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 화백이 만평을 그릴 때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부분은 주제의 선정이다. 그는 “주요 사안을 여러 개 뽑아 놓고 그중에 가장 만화로 표현하기 좋은 소재를 택해 몇 가지 시안을 습작해본다. 습작 중에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골라 그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화백은 신문에 실리는 만평이나 만화는 재미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기본 바탕에 두고 있다. 그런 그가 재미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게 바로 ‘시대정신’이다. 그는 자신이 그린 만평이 시대정신에 부합해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
그러면서 “(만평이)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함께 생각하고 고민해야 할 문제를 제시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해결책을 제시하진 못하지만 문제적 사안에 대해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8년여 동안 <일요시사>에 만평을 연재한 김 화백은 그동안의 작품 중 <일요시사> 1086호(2016년 10월30일 발행)에 게재한 ‘나라꼴’을 첫손에 꼽았다. ‘2016 올해의 시사만화상’ 우수상에 선정된 작품이기도 하다. 박근혜-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가 한창 불거질 무렵 ‘비선 실세’의 존재를 풍자하는 내용을 담았다.
신하로 표현된 대통령의 참모들이 곤룡포를 입고 있는 박근혜 전 대통령을 받치고 있고 그 위에 무속인, 가장 정점에 비선 실세 최순실을 그렸다. 김 화백은 “대통령에게 비선 실세가 있고, 그와 관련해 납득하기 어려운 인사 비리가 있던 국정 농단의 단면을 보여주는 그림”이라고 설명했다.
영향력 줄었지만…
“초심 그대로 노력”
<일요시사> 941호(2014년 1월19일 발행)에 실린 ‘야스쿠니 전범 참배 후…’ 만평은 인정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다. 2013년 12월26일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는 도쿄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2006년 8월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 이후 7년4개월 만의 일이다.
당시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비판이 쏟아졌다.
김 화백의 만평은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이후 아베 전 총리의 지지율이 상승한 것을 풍자한 것이다.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인 군복을 입은 아베 전 총리가 누군가한테 얻어맞아 잔뜩 멍이 든 상태로 신문을 들고 웃고 있는 모습을 그렸다.
야스쿠니 참배 이후 전 세계에서 큰 비판을 받았지만 자국에서는 지지를 받는 상황을 표현했다.
김 화백은 올 한해 <일요시사>에 연재한 만평 중 ‘뭐 불만 있냐?’를 최고의 작품으로 골랐다.(1328호, 2021년 6월20일 발행) 검찰, 언론 등이 군사독재 시절 침묵하다가 지금은 날뛰는 모습을 풍자했다고 밝혔다. 그는 “(검찰, 언론 등이) 무서운 호랑이 선생님(군사독재 시절)한테는 불합리한 대우를 받아도 아무 말 못하다가 부처님 반 토막 같은 선생님 앞에서 까불고 예의 없게 행동하는 철없는 모습을 표현했다”고 전했다.
세상을 담다
김 화백은 “만평 마감을 하면 대부분 개운한 게 아니라 아쉬움이 남는다. 조금 더 좋은 작품을 그리지 못했다는 자책과 미련 때문인 것 같다”며 “처음 만평 연재를 시작할 때 실험적이고 창의적이면서 재미있는 만평을 그리려는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다짐했다. 처음 가진 그 마음을 잊지 않고 더 좋은 작품을 위해 노력하겠다.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말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