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허균, 서른셋의 반란 (13)허난설헌

박복한 인생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광한전백옥루상량전’이라. 그래, 초희는 무엇을 보고 이 글을 짓게 되었느냐.”

“보름날 하늘에 동그랗게 떠 있는 달을 보며 마음속에 떠오른 감흥을 그리 그려보았습니다.” 

허엽이 다시 한 번 딸아이를 바라보다 글로 시선을 주었다.

그녀의 재능

광한전백옥루상량문(廣寒殿白玉樓上樑文)


抛梁東(포양동) 어영차, 대들보 동쪽 향하니
曉騎仙鳳入珠宮(효기선봉입주궁) 새벽에 봉황 타고 진주 궁궐에 들어가
平明月出扶桑底(평명일출부상저) 날이 밝자 해가 동쪽 바다 밑에서 솟아올라
萬縷丹霞射海紅(만루단하사해홍) 일만 가닥 붉은 노을 바다 붉게 물들이네
 
抛梁南(포양남) 어영차, 대들보 남쪽 향하니
玉龍無事飮珠池(옥룡무사음주지) 옥룡이 하염없이 구슬 연못의 물 마시는데
銀床睡起花陰牛(은상수기화음우) 은 평상에 잠자다가 꽃그늘 짙은 한 낮에 일어나
笑喚瑤姬脫壁衫(소환요희태벽삼) 웃으며 아름다운 미녀 불러 푸른 적삼 벗게하네

抛梁西(포양서) 어영차, 대들보 서쪽 향하니
壁花零落彩鸞啼(벽화영락채난제) 푸른 꽃 시들어 떨어지고 오색 난새 우짖는데
春羅玉字邀王母(춘라옥자요왕모) 비단천에 아름다운 글씨로 서왕모 맞이하니
鶴馭催歸日己低(학어최귀일기저) 학 타고 돌아올 제 날 이미 저물었네

抛梁北(포양북) 어영차, 대들보 북쪽 향하니
溟海茫洋浸斗極(명해망양침두극) 북해 아득하여 북극성에 젖어드는데
鳳翼擊天風力*(봉익격천풍력흔) 봉새 날개 하늘 치니 그 바람 힘으로 뭍 높이 치솟아
九*雲垂雨氣黑(구소운수우기흑) 구만리 하늘에 구름 드리워 비의 기운 어둑하네

抛樑上(포양상) 어영차, 대들보 위쪽 향하니
曙色微明雲錦帳(서색미명운금장) 새벽빛 희미하여 비단구름 드리웠네
仙夢初回白玉床(선몽초회백옥상) 백옥 침상 위에서 신선 꿈 깨어
臥聞北斗回杓響(와문북두회표향) 누워 북두칠성 자루 도는 소리 듣네

抛樑下(포양하) 어영차, 대들보 아래쪽 향하니
八垓雲黑知昏夜(팔해운흑지혼야) 팔해에는 구름 덮여 어두운 밤이구나 
侍兒報道水晶寒(시아보도수정한) 계집종이 수정 주렴 차다 말하는데 
曉霜已結鴛鴦瓦(효상이결원앙와) 새벽 서리 원앙 기와에 맺혔네

그녀의 재능을 걱정하는 아버지
여자의 재능은 불운한 운명 의미

허엽의 입에서 가느다란 탄성이 새어나왔다. 그리고는 잠시 눈을 감았다.


균의 시선이 초희에게 향했다.

초희가 균의 시선이 거북스러운지 얼굴을 돌려 어머니를 바라보았다.

어머니의 얼굴에서는 가느다란 미소가 흘러나왔다.

초희의 시선이 다시 아버지에게 향했을 때 천천히 허엽의 눈이 떠지고 있었다. 

“박복한지고.”

눈을 뜬 아버지의 입에서 순간적으로 흘러나온 말이었다.

말을 마친 아버지께서 어머니를 바라보자 두 분의 시선이 한 군데서 마주쳤다.

허균이 잠시 사이를 두었다. 그 틈을 매창이 치고 들어갔다.

“나리의 누님 되시는 허난설헌에 대해서는 익히 들어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나리께서 저와 같은 처지라니요.”

허균이 대답 대신 잔을 비워냈다. 

“아직 갈 길이 멀구려. 그러니 어서 잔부터 채워 주구려.”

매창이 호리병 대신 안주를 들어 허균의 입으로 가져갔다.


허균이 어색한 표정도 없이 덥썩 안주를 받았다.

“그 이야기는 천천히 하도록 하지요. 어쨌든 아버지께서 누나 문제로 많은 생각과 함께 힘들어 하셨다오. 마치 훗날 누나의 운명을 예견이라도 하셨듯이 말이요.”

매창이 가느다랗게 한숨을 내쉬었다.

“왜 그러오?”

“혹시 이옥봉이라는 여인을 아시는지요.”

허균이 이옥봉을 되뇌며 쓴맛을 다셨다.


“매창, 이옥봉을 내 누나와 비교하지는 마시오. 아니.”

매창이 채근하지 않고 다만 바라볼 뿐이었다.

“그래요, 이옥봉이나 내 누나나 매한가지로 보아도 무방하지.”

말을 마친 허균이 매창이 채운 잔을 들어 한 번에 들이키고는 급하게 내려놓았다. ‘탁’하는 소리가 좁은 방안에 울려 퍼졌다.

이옥봉, 시대를 잘못 타고난 기구한 여인이었다.

서녀로 태어난 그녀는 시에 관해 천재적인 소질을 지녔었다.

당시 여자가 지니고 있는 재능은 결국 불운한 운명을 의미했고 특히 서녀로서의 운명은 예견되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이옥봉은 사랑 때문에 자신의 천재적인 재능인 시를 쓰지 않기로 약조하고 조원의 소실로 들어갔다.

그러나 결국 자신의 솟구치는 재능을 속으로만 삭일 수 없었고 그를 밖으로 드러내는 순간 집에서 쫓겨난다.

자신을 감당하기 어려웠던 조원의 그릇된 사랑을 알아채지 못하고 종국에까지 서방님의 사랑의 손길을 기다린다.

그리고 그 기다림이 허망한 꿈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채고 생전 자신이 쓴 시를 띠로 만들어 배에 두르고는 강물에 몸을 던져 스스로 생을 마감한 여인이었다.

박복한 인생

막상 말을 꺼낸 매창이 아차 한 모양으로 허균 쪽으로 바짝 다가갔다.

“소녀가 괜한 이야기를 꺼내서…….”

“아니오, 조금도 괘념치 마시오. 이옥봉이나 나의 누나나 박복하기는 매한가지 아니겠소.”

결국 앞에 앉아 있는 매창의 경우도 한 가지 아니겠느냐는 이야기였다.

“나리의 누님 되시는 분을 어찌 저희와 같이 천한 여인들과 대등하다 하십니까?”

“천한 여인이라…….”


<다음 호에 계속>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대선판 흔들 최대 변수 다섯

대선판 흔들 최대 변수 다섯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대선이 2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대선 구도는 여전히 ‘1강’ 체제로 흘러가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를 시작으로 대통령 탄핵 정국을 거쳐 조기 대선에 이르는 과정서 지지층이 결집한 결과로 보인다. 그의 대형 ‘리스크’도 사라졌다. 그렇다면 이제 ‘당선’이 상수가 된 걸까? 12일, 본격적인 대선 선거운동 기간이 시작됐다. 이날부터 대선후보들은 한 표라도 더 얻기 위해 전국을 누비고 있다. 헌법재판소(이하 헌재)의 탄핵안 인용으로 인한 대통령 궐위로 치러지는 보궐선거라 대선후보뿐만 아니라 국민에게도 시간이 많지 않다. 짧은 시간, 최고의 선택을 위한 빠른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20일 남은 결정의 순간 여론조사로는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독주 중이다. 어떤 후보와 맞붙어도 지지율 격차가 10~15%p가량 나고 있다. 당락을 가른다는 중도층서도 이 후보를 지지하는 비율이 과반인 상태다. 현재 분위기로는 대권에 가장 가까이 자리한 후보라고 해도 과하지 않다. ‘모래주머니’처럼 발목에 매달려 있던 사법 리스크도 일단 털어냈다. 서울고등법원이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 기일을 대선 이후로 바꾸면서다. 지난 1일 대법원이 항소심서 무죄를 준 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서울고법에 돌려보내면서 이 후보는 위기를 맞았다. 대법원은 판결 과정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1심의 취지를 받아들였다. 파기환송심이 진행됐다면 당선무효형에 해당하는 형이 나올 가능성이 컸던 것. 파기환송심서 벌금 100만원 이상의 형량을 받고 재상고심서 확정되면 이 후보는 대선에 출마할 수 없었다. 이 후보는 물론 민주당 입장서 ‘청천벽력’과도 같은 상황에 놓이게 되는 셈이었다. 실제 민주당은 대법원의 파기환송 결정 이후 다양한 방법으로 사법부를 압박했다. 조희대 대법원장을 비롯한 대법관 탄핵 예고, 대법관 수를 늘리는 내용의 법안 발의 등의 행보를 보였다. 이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진행 중인 재판을 중지할 수 있는 내용의 법안과 선거법 위반 사건의 핵심인 ‘허위 사실 공표죄’의 일부 조항을 삭제하는 내용의 법안도 발의했다. 지난 7일 서울고법은 이 후보의 선거법 사건 파기환송심 기일을 다음 달 18일로 변경한다고 밝히면서 “대통령 후보인 피고인에게 균등한 선거운동 기회를 보장하고 재판의 공정성 논란을 없애기 위해서”라고 배경을 밝혔다. 그러면서 “법원 안팎의 어떠한 영향이나 간섭도 받지 않고 오로지 헌법과 법률에 따라 독립적으로 공정하게 재판해 왔으며 앞으로도 그 자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법원 기일 연기로 사법 리스크 해소 법원이 정치에 휘둘린다는 일각의 비판을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법원의 결정으로 이 후보의 사법 리스크가 해소됐다. 이번 대선의 가장 큰 변수로 여겨졌던 부분이 사라진 것이다. 이 후보로선 안 그래도 독주 상황서 날개를 단 격이 됐다. 그러면서도 일각에서는 ‘정치는 생물’이라 추가 변수가 나타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먼저 보수 결집 가능성이 꼽힌다. 국민의힘은 이번 대선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원죄’를 짊어지고 있다. 국민의힘에서 배출한 대통령이 또다시 5년 임기를 채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그 배경엔 45년 만에 재현된 비상계엄 사태까지 있다. 헌재는 이견 없이 만장일치로 대통령 파면을 결정했다. 그럼에도 보수 진영의 결집력은 절대 무시할 수준이 아니라는 사실이 역대 선거서 여러 차례 확인된 바 있다.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구가 많은 TK(대구·경북), PK(부산·경남) 등이 대형 선거 때마다 보수 진영을 떠받쳤다. 지금보다 지역 갈등이 강했던 과거에는 보수 진영이 진보 진영과 비교해 표밭이 큰 편이었다. 진보 진영은 보수세가 강한 지역서 일정 정도의 표를 얻어야 보수 진영과 비등한 싸움을 할 수 있었다. 실제 이번 대선과 똑같은 이유로 치러진 19대 대선 결과를 보면 대통령은 진보 진영서 나왔지만 전체 표수는 보수 진영이 더 얻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진행된 19대 대선은 투표 전부터 ‘어대문(어차피 대통령은 문재인)’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싱거운 싸움이었다. 민주당 후보로 나선 문재인 전 대통령과 자유한국당 후보였던 홍준표 전 대구시장 간의 표차는 무려 557만표였다. 17대 대선서 이명박 전 대통령과 대통합민주신당(민주당 전신) 정동영 후보 간의 표차인 531만표를 넘어서는 수치였다. 하지만 당시 출마한 후보들의 득표율을 뜯어보면 양 진영의 표 크기가 대략 보인다. 풀린 족쇄 훨훨 날까 19대 대선서 문 전 대통령에 이어 홍 전 시장,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현 국민의힘 의원),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전 국민의힘 의원), 정의당 심상정 후보(전 정의당 의원) 순으로 표를 얻었다. 총 15명의 후보가 출마한 선거서 5% 이상 득표한 후보들이다. 문 전 대통령과 심 후보는 진보 후보로, 홍 전 시장과 안 후보, 유 후보는 보수 후보로 크게 묶인다. 단순 계산으로 보면 범진보 후보는 1544만1258표, 범보수 후보는 1705만9962표를 얻었다. 150만표가량 보수 진영이 많이 득표했다. 제3당 후보의 사퇴로 1 대 1 구도로 치러진 18대 대선서도 박 전 대통령이 1577만3128표(51.2%), 문 전 대통령이 1469만2632표(48%)를 얻었다. 108만표 차이다. 당시 투표율은 75.8%였다. 17대 대선보다 12%p 오른 수치로 양 진영에서는 ‘총력전’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표심 잡기’에 혈안이 된 상태였다. 양 진영 모두 투표장에 나올 만큼 나왔다는 뜻이다. 이번 선거는 ‘이재명이냐, 이재명이 아니냐’는 구도로 진행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반명연대’의 선봉에 서서 이 후보 외에 모든 후보를 끌어안는 방식으로 선거전략을 짜는 모양새다. 이 후보에 맞설 단일 후보를 내세울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이 후보가 출마했던 20대 대선 때는 역으로 진보 진영의 표가 더 많았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1639만4815표(48.6%)를, 이 후보는 1614만7738표(47.8%)를 득표하면서 24만표(0.7%p) 차이로 당락이 갈렸다. 당시 제3당 후보로 출마했던 정의당 심 후보가 얻은 표는 80만3358표였다. 단일화가 이뤄졌다면 대통령이 바뀔 수도 있었던 수치다. 생각보다 복잡하다 결국 표심이 나뉘는 걸 얼마나 저지하느냐에 따라 대통령 당락이 바뀌기도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단일화 이슈가 ‘반드시’라고 해도 될 만큼 선거 때마다 나오는 이유다. 이번 대선은 진보 진영과 보수 진영서 1명의 후보만 나와 1대 1 구도로 치러질 가능성,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와 함께 3자 구도로 치러질 가능성 등이 제기되고 있다. 이준석 후보가 완주하면 지난 대선 때와 달리 보수표가 갈릴 가능성이 나온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는 지난 5~7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를 지난 8일 발표했다. 이날 조사에서 이준석 후보는 가상 대결서 6~7% 지지율을 보였다. 민주당 이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의 3자 대결에서는 6%, 국민의힘 후보를 한덕수 전 국무총리로 바꿨을 때는 7%였다.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1%포인트다. 응답률은 22.1%였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국민의힘에서는 이준석 후보와의 단일화도 필요하다는 뜻을 여러 차례 드러냈지만 이 후보는 뜨뜻미지근한 상태다. 정치공학적 단일화는 하지 않겠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투표 용지에 후보 이름이 찍히는 오는 25일까지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후보 간의 단일화 여부가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20~30대 청년층의 표심도 변수로 떠오를 수 있다. 20대와 30대는 지난 대선서 성별에 따라 투표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세대다. 남성은 윤 전 대통령을, 여성은 이재명 후보를 지지했다. 20대에서는 그 격차가 극명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과반이 이 후보를, 남성의 과반은 윤 전 대통령에 표를 던졌다. 보수 결집하고 단일후보 누가 더 지지층 끌어오나 30대 역시 남녀 간 차이를 보였지만 그 격차는 20대보다 작았다. 반면 40~50대는 이재명 후보, 60대 이상은 윤 전 대통령에게 표를 던졌다. 이번 대선도 비슷한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미 윤 전 대통령 탄핵 관련 집회서 20~30대 여성은 탄핵 찬성 쪽에, 남성은 반대 쪽에 선 사례가 많았다. 실제 지난 대선, 탄핵 반대 집회 등을 보고 20~30대 남성의 ‘보수화’를 조명하는 전문가의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민주화운동 시절 그 선봉에 대학생이 섰던 때와 비교하면 한 세대 만에 젊은 남성이 보수 진영을 지지하는 쪽으로 이른바 ‘전향’이 이뤄진 부분에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투표율도 관건이 될 전망이다. 앞선 세 번의 대선은 투표율이 모두 75% 이상으로 나타났다. 유권자 4명 가운데 3명은 투표를 했다는 뜻이다. 투표율이 높으면 진보 진영이 유리하고 낮으면 보수 진영이 유리하다는 공식은 깨진 지 오래다. 보수 후보를 지지하는 비율이 높은 중년, 노년층은 적극적으로 투표하는 반면 청년, 장년층은 상대적으로 투표 의지가 약하다는 과거 사례서 비롯됐다. 하지만 투표율이 75% 이상 나온 세 번의 대선서 보수 진영과 진보 진영은 한 번씩 대통령을 배출했다. 단순히 전체 투표율이 높은 걸로 당락을 가를 수 없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세대별, 성별로 투표 양상이 달라지고 있는 만큼 세부 투표율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된다. 진보 진영 입장에서는 ‘다 된 밥’이라는 인식을 깨야 하고, 보수 진영은 ‘어차피 진 싸움’이라는 생각을 깨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결국 투표 포기층을 줄여야 한다는 결론으로 귀결된다. 누가 더 많이 투표장으로 지지 세력을 끌고 올 수 있느냐에 대선 결과가 달린 셈이다. 삐끗하면 골로 간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말실수’를 하나의 변수로 꼽았다. 선거 기간이 짧은 만큼 후보의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중도층의 표심을 흔들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역대 선거서 후보의 말실수가 낙선으로 이어진 경우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특히 대선 토론회 등 주목도가 높은 자리에서의 말실수는 치명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