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일감 몰빵대기업 내부거래 실태⑩부영그룹

공사장에 착 붙어 빌어먹는 ‘흡혈 4총사’

[일요시사=김성수 기자] 대기업의 자회사 퍼주기. 오너일가가 소유한 회사에 일감을 몰아줘 ‘곳간’을 채워주는 ‘반칙’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기업일수록 심하다. 시민단체들이 귀에 딱지가 앉도록 지적해 왔지만 변칙적인 ‘부 대물림’은 멈추지 않고 있다. 보다 못한 정부가 드디어 칼을 빼 들었다. 내부거래를 통한 ‘일감 몰아주기’관행을 손 볼 태세다. 어디 어디가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 기획으로 정부의 타깃이 될 만한 ‘얌체사’들을 짚어봤다.

대화·남광, ‘형제 없인 못살아’ 100% 관계사 매출
광영·동광, ‘통큰 지원’ 매년 수백·수천억씩 토스

재계 순위 19위(공기업 및 민영화 공기업 제외)인 부영그룹은 총 17개의 계열사를 두고 있다. 이중 내부거래 비율이 높은 회사는 ‘대화기건’, ‘남광건설산업’, ‘광영토건’, ‘동광주택산업’등 4개사다. 이들 회사는 계열사들이 일감을 몰아줘 실적이 거의 ‘안방’에서 나왔다.

1998년 4월 설립된 대화기건은 소방시설 등 건물용 기계장비 설치 업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의 부인 나길순씨가 40%의 지분율로 대화기건 최대주주다. 이 회장의 동생 이신근 동광종합토건 회장도 10% 지분이 있어 오너일가 지분율이 50%에 달한다.

도급공사 넘겨

문제는 대화기건의 자생 능력이다. 그룹 차원에서 ‘힘’을 실어주지 않으면 사실상 지속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대화기건은 지난해 계열사와의 거래로 100% 매출을 올렸다. 40억3100만원이 모두 부영그룹 계열사에서 나왔다. 대화기건에 일거리를 넘겨준 계열사는 부영주택(19억7900만원), 광영토건(11억3500만원), 동광주택(6억9900만원), 남광건설산업(2억1800만원) 등이다.

2009년에도 관계사 의존도는 100%였다. 대화기건은 60억1900만원의 매출을 모두 부영(44억9600만원), 동광주택산업(7억9300만원), 신록개발(5억7500만원), 남광건설산업(1억5300만원) 등 계열사와의 거래로 채웠다.

남광건설산업도 내부 물량이 없으면 문을 닫아야 할 처지다. 1995년 8월 설립된 남광건설산업은 토목공사, 아파트·주택건설 등 종합건설업체로, 이 회장이 현재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남광건설산업 역시 지난해 매출 100%가 관계사와의 거래로 이뤄졌다. 남광건설산업은 동광주택을 통해 44억73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동광주택은 남광건설산업에 천안 청수지구 아파트의 골조공사를 맡겼다. 과거에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부영주택, 동광주택, 광영토건 등 그룹 건설 주력사들은 전국 사업장의 도급공사를 남광건설산업에 넘겼다.

남광건설산업이 계열사와 거래한 매출 비중은 ▲2005년 83%(총매출 322억9100만원-관계사거래 267억6500만원 ▲2006년 99%(456억5900만원-449억7900만원) ▲2007년 100%(349억8700만원-349억8700만원) ▲2008년 95%(242억9400만원-231억6800만원) ▲2009년 100%(639억4100만원-639억4100만원)로 나타났다.

다만 남광건설산업은 오너일가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이 회장의 친인척 이춘엽씨의 지분 6%가 전부다. 나머지는 일반 주주들이 갖고 있다.

대화기건과 남광건설산업의 든든한 지원군인 광영토건과 동광주택산업도 일감 몰아주기가 의심된다. 1980년 2월 설립된 광영토건은 토목시설물 건설업체다. 이 회장(3.5%)을 비롯해 아들 이성훈씨(8.33%), 이신근 회장(11.49%), 동서 이영권씨(24.58%) 등 오너일가 지분이 총 44.4%에 이른다.

광영토건은 지난해 매출 307억9100만원 가운데 76%인 235억4600만원을 부영주택(232억5500만원), 동광주택(2억9100만원) 등 계열사들로부터 올렸다. 광영토건의 내부거래율은 ▲2005년 95%(540억3700만원-515억5200만원) ▲2006년 97%(587억8800만원-568억5800만원) ▲2007년 77%(417억8600만원-321억700만원) ▲2008년 92%(345억2300만원-318억4100만원) ▲2009년 59%(120억3200만원-71억500만원)로 조사됐다.

그전엔 더 심했다. 밀어준 금액이 훨씬 컸다. 2001∼2004년에도 내부거래 비중이 69∼97%로 높았다. 부영그룹 계열사들이 광영토건에 내려준 금액은 각각 2199억5100만원, 1361억3200만원, 1147억8400만원, 686억1900만원으로 최근 5년간 지원액보다 많았다.
1986년 7월 설립된 동광주택산업은 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체다. 이 업체의 주주들은 이 회장의 친인척들로 빼곡하다. 이 회장(4.57%)과 부인 나씨(1.09%), 자녀 성훈·성욱·성한·서정씨(각각 0.87%)를 포함해 친인척 15명이 지분 42.29%를 소유하고 있다.
동광주택산업의 내부거래율은 ▲2005년 94%(1173억3400만원-1104억7600만원) ▲2006년 83%(2045억3200만원-1691억8900만원) ▲2007년 78%(1429억8000만원-1115억2500만원) ▲2008년 89%(1330억7200만원-1187억700만원) ▲2009년 30%(301억9600만원-91억5700만원)를 기록했다.

철퇴 맞고도…

지난해의 경우 계열사와 단 한 푼도 거래하지 않았다. 그래서인지 동광주택산업은 지난해 매출이 폭삭 주저앉아 8900만원에 불과했다.
부영그룹은 부당 내부거래로 철퇴를 맞은 적이 있다. 공정위는 2004년 10월 부영, 부영파이낸스, 동광주택산업 등 부영그룹 3개 계열사가 197억원 상당의 부당지원을 해온 사실을 적발하고 총 3억48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또 대규모 내부거래를 하고도 공시의무를 지키지 않은 부영과 동광주택산업에 대해서도 각각 56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 바 있다.

<대화·남광·광영·동광 기부 실태>

그렇게 받아먹고 나눔 ‘0원’


부영그룹 계열사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 대화기건, 남광건설산업, 광영토건, 동광주택산업 등 4개사는 기부를 얼마나 할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남광건설산업은 지난해 기부금을 단 한 푼도 내지 않았다. 광영토건도 지난해 기부액이 ‘0원’이다. 동광주택산업 역시 기부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기건의 경우 공시를 하지 않아 기부 내역을 알 수 없다. 다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공시한 2007년도 감사보고서를 보면 그해 10억원을 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일요시사 취재1팀] 안예리 기자 = 전국 한의과대학교에는 ‘졸업준비위원회’가 존재한다. 말 그대로 졸업 준비를 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명목상 자발적인 가입을 독려하는 듯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강제로 가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졸업준비위원회(이하 졸준위)는 졸업앨범 촬영, 실습 준비, 학번 일정 조율, 학사 일정과 실습 공지, 단체 일정뿐 아니라 국가시험(이하 국시) 대비를 위한 각종 자료 배포를 하고 있다. 매 대학 한의대마다 졸준위는 거의 필수적인 조직이 됐다. 졸준위는 ‘전국한의과대학졸업준비협의체(이하 전졸협)’라는 상위 조직이 존재한다. 자료 독점 전졸협은 각 한의대 졸업준비위원장(이하 졸장)의 연합체로 구성돼있으며, 매년 국시 대비 자료집을 제작해 졸준위에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의텐’ ‘의지’ ‘의맥’ ‘의련’ 등으로 불리는 자료집들이다. 실제 한의대 학생들에게는 ‘국시 준비의 필수 자료’로 통한다. 국시 100일 전에는 ‘의텐’만 보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졸준위가 없으면 국시 준비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말이 정설이다. 한의계 국시는 직전 1개년의 시험 문제만 공개되기 때문에 시험 대비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시 문제는 오직 졸준위를 통해서만 5개년분 열람이 가능할뿐더러, 이 자료집은 공개자료가 아니라서 학생이 직접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사실상 전졸협이 자료들을 독점하고 있는 셈이다. 이 자료집을 얻을 수 있는 경로는 단 하나, 졸준위를 결성하는 것이다. 졸준위가 학생들의 투표로 결성되면 전졸협이 졸준위에 문제집을 제공한다. 이 체계는 오랫동안 유지돼왔고, 학생들도 졸준위를 통해 시험 자료를 제공 받는 것이 ‘관행’처럼 받아들여왔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반드시 결성돼야만 한다는 기조가 강하다. 학생들의 반대로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시 전졸협은 해당 학교에 문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은 모든 학생들의 가입 동의를 얻어야 가능하다. 졸준위 가입 여부는 실질적으로 선택이 아니다. 자료집은 전졸협을 통해서만 제공되기 때문에, 졸준위에 가입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는다는 인식이 학생들 사이에서 강하게 자리 잡았다. 학생들은 “문제를 얻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고 말한다.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경우 현실적으로 문제집을 받아볼 수 있는 마땅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학생들의 해당 학년 학생들을 모두 가입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실제 한 대학교에서는 졸준위 결성을 위한 투표를 진행했는데 익명도 아닌 실명 투표로 진행됐다. 처음에는 익명으로 진행했지만 반대자가 나오자 실명 투표로 전환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반대 의견이 나오기 어렵다. 실명으로 투표가 진행되는 데다, 반대표를 던질 경우 이후 자료 배포·학년 일정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 실명 투표로 진행 가입시 200만원 이상 납부 필수 문제는 이 졸준위 가입이 무료가 아니라는 점이다. 졸준위에 가입하면 졸업 준비 비용(이하 졸비) 명목으로 학생들에게 돈을 걷는데, 그 비용이 상당하다. <일요시사> 취재 결과 한 대학교의 졸비는 3차에 걸쳐 납부하도록 했는데 1차에 75만원, 2차에 80만원, 3차에 77만원 등 총 232만원 수준이었다. 이는 한 학기 등록금에 맞먹는 금액이다. 금액 산정 방식은 졸준위 가입 학생 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한 명이라도 빠지게 되면 나머지 인원의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된다. 심지어 2명 이상 탈퇴하게 된다면 졸준위가 무산될 수도 있다. 이 모든 사안은 ‘졸장’의 주도 하에 움직인다. 졸장은 학년 전체를 대변하며 전졸협과 직접 소통하는 역할을 맡는다. 실제 졸장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한 명이라도 탈퇴하면 안 된다”는 취지의 발언이 오갔을 정도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졸준위가 결성되면 가입한 모든 학생들은 졸준위의 통제를 받는다.<일요시사>가 입수한 한 학교의 규칙문에 따르면 졸준위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두고 있었다. ▲출석 시간(8시49분59초까지 착석 등) ▲교수·레지던트에게 개인 연락 금지 ▲지각·결석 시 벌금 ▲회의·행사 참여 의무 ▲병결·생리 결 확인 절차 ▲전자기기 사용 제한 ▲비대면 수업 접속 규칙 ▲시험 기간 행동 규칙 ▲기출·족보 자료 관리 규정 등이다. 학생들이 이 규정을 어길 시 졸준위는 ‘벌금’을 부과해 통제하고 있었다. 금액도 적지 않았다. 규정 위반 시 벌금 2만원에서 50만원까지 부과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었다.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병결이다. 졸준위는 병결을 인정하기 위해 학생에게 진단서 제출을 요구하고, 그 내용(질병명·진료 소견·감염 여부 등)을 직접 열람해 판단했다. 제출 병원에 따라 병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공지도 있었다. 한 병원의 진단서가 획일적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단체가 학생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해 병결 여부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은 학생들 사이에서 부담과 압박으로 작용했다. 질병이 있어도 벌금이 부과될 수 있고, 병결을 얻기 위한 절차가 학습보다 더 어렵다는 말도 나왔다. 규정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면 졸준위는 대면 면담을 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3:1로 면담을 진행하는 등 학생이 위축될 수 있는 방식을 행하기도 했다. 전자기기 사용 불가 규칙 어기면 벌금도 이 같은 문제로 탈퇴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실제 A 대학 졸준위 전체 학번 회의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한 학생은 규정에 문제를 느껴 졸준위 측에 탈퇴를 의사를 밝혀왔다. 이 회의에서는 그간 탈퇴 의사를 밝힌 학생과의 카톡 대화 전문이 학생들에게 공개됐다. 공개된 카톡 내용에는 탈퇴 과정이 담겨있었는데 순탄하지 않았다. 졸준위 측은 탈퇴 의사를 즉각적으로 승인하지 않았고, 재고를 요청하거나 면담하는 방식으로 요청을 지연했다. 해당 학생이 다시 한번 탈퇴 의사를 명확히 밝힌 뒤에도, 졸장은 “만나서 얘기하자”며 받아주지 않았다. 심지어는 이 대화를 공개한 뒤 학우들에게 ‘졸준위에서 이탈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서약서를 받아내기도 했다. 졸준위 운영이 조직 이탈 자체를 문제로 판단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압박을 가한 정황이 확인되는 대목이다. 해당 학우는 탈퇴 확인 및 권리 포기 동의서에 서명한 뒤에야 졸준위를 탈퇴할 수 있었다. 탈퇴 이후에도 갈등은 지속됐다. 목격자에 따르면 시험 기간 중, 강의실 앞을 지나던 탈퇴 학생은 졸준위 임원 두 명에게 “제보가 들어왔다”며 불려 세워졌다. 임원들은 이 학생이 학습 플랫폼 ‘퀴즐렛’을 사용한 점을 언급하며, 그 자료 안에 졸준위에서 배포한 기출문제가 포함돼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졸준위에서는 퀴즐렛에 학교 시험 내용이 있다며 탈퇴자가 보지 못하도록 사용자를 색출하기도 했다. 한편, 전졸협은 10년 전 자체 제작한 문제집으로 논란된 적이 있다. 당시 한의사 국가고시 시험문제가 학생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예상 문제집과 지나치게 유사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시험이 끝난 직후 시험장 앞에서 수험생 60여명을 상대로 참고서와 문제집을 압수했고, 국가시험원까지 압수수색해 기출문제와 대조 작업에 들어갔다. 기형적 구조 문제가 된 교재는 ‘의맥’ ‘의련’ 등 졸준위 연합체인 전졸협이 제작·배포해 온 자료들이다. 학생들은 교재에 일련번호를 붙이고 신분증을 확인한 후 배포하는 등 통제된 방식으로 유통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는 “학생들이 전졸협을 통해서만 기출문제를 구할 수 있는 구조는 기형적”이라며 “국가고시를 위해 몇백만원씩 돈을 받고 문제를 제공하는 건 문제를 사고파는 것”이라고 말했다. <imsharp@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