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전문점은 최근 만남과 휴식을 제공해주는 문화ㆍ소비 공간으로서 각광받으며 창업 시장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커피에는 카페인, 설탕, 프림 등 몸에 좋지 않은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고 중독성 또한 강해 웰빙이라는 시대 트렌드와는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돼왔다.
테이크아웃 한방차 전문점 오가다는 한의사들의 철저한 감수 아래 개인별 체질에 상관없이 누구나 마실 수 있는 몸에 좋은 정통 한방차를 개발하여 쏟아지는 커피전문점 시대에 대안 카페로서 화려하게 등장했다.
한의사가 처방한
몸에 좋은 다섯 가지 한방차
오가다(五嘉茶)는 이름 그대로 ‘다섯 가지 아름다운 우리 한방차’를 뜻한다. 술, 담배 등을 하며 커피까지 즐기는 직장인들을 위한 본격적인 건강 음료인 셈이다.
피로 회복에 좋은 생맥산차인 강(强)차, 폐에 좋은 사삼황기산약차 호(呼)차, 간에 좋은 갈근구기자차 해(解)차, 여성 건강에 좋은 석류오미자차 미(美)차, 다이어트에 좋은 운지상엽차 려(麗)차 등 다섯 가지 종류이며 모두 일반 고객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부르기 쉽게 지어진 것이 특징이다.
한의사 등 전문가들로부터 감수와 한약의 세부적인 혼합 비율까지 처방을 받아 만듦으로써 사실상 한약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식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약재만 이용해 제조하여 법적으로도 문제가 없다.
오가다 최승윤 대표는 “현대인 대부분이 음주와 흡연, 과도한 스트레스와 과로에 노출되어 살며 시간과 비용을 고려한 경제적 소비를 강요당한다”면서 “고객들에게 진정으로 도움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한 끝에 바쁜 일상 중 즐기는 한 잔의 음료로 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한방차를 생각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서 최 대표는 “오가다 매장을 이용하는 짧은 시간과 저렴한 비용만으로도 고객이 꿈꾸는 로하스적인 삶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배려했다”고 강조했다.
오가다는 40대 이상의 중ㆍ장년을 주 고객으로 하는 기존 한방차 업체들과 달리 브랜드 론칭 초기부터 20~30대 젊은 층을 공략하기 위한 적극적인 타겟 마케팅 전략을 기획해왔다.
이른바 전통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한 것으로 사업 아이템은 한방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커피전문점 수준의 인테리어에 젊은이들에게 익숙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을 더함으로써 기존의 전통차 시장과 커피전문점 시장에서 벗어나 니치마켓을 발굴해내는 데 성공하게 됐다.
이를 위해 젊은이들이 좋아할 만한 깔끔한 빈티지풍 매장 인테리어에 한약재를 디스플레이로 활용해 포인트를 주었으며 주로 던킨도너츠, 카페베네, 스타벅스 등이 있을 만한 1급지 A급 상권에 입점해 대형 커피전문점들과 경쟁을 펼쳐왔다.
여기에 건강과 다이어트, 피부 미용 등에 관심이 많은 젊은 층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상기의 효능을 가진 한약재를 이용해 기능성 한방차를 개발하여 큰 인기와 관심을 모았다.
최근 오픈하는 매장들은 규모를 20평 이상으로 확대해 테이크아웃뿐만 아니라 기존의 커피전문점과 같이 고객들에게 휴식과 소통을 제공하는 문화ㆍ교류 공간으로서의 역할도 부여하고 있다.
최근 설비 투자 완료
질적·양적 성장 토대 마련
오가다는 지난 2010년 2월부터 가맹점 모집을 시작해 1년 만인 현재 30호점까지 계약이 이루어질 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가맹점 확산 속도가 빨랐던 것은 ‘한방차 테이크아웃’ 콘셉트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가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점포 임대 비용을 제외한 오가다의 총 창업 비용은 20평 매장 기준 가맹비 500만원, 교육비 200만원, 보증금 300만원, 인테리어 5000만원, 주방설비 1000만원, 기기 설비 800만원, 초도 물품비 200만원, 오픈 판촉 및 홍보비 300만원 등 총 8300만원이다.
각 가맹점의 월 평균 매출액은 20평 매장은 2000만원, 10평 미만은 1200만원 수준이며 순수익률은 각각 40%, 30% 정도이다.
서울역 트라팰리스점을 우수 가맹점으로 추천한 오가다 최승윤 대표는 뛰어난 입지 조건과 함께 항상 고객가치를 중심에 둔 점주의 우수한 마인드를 높은 매출의 주원인으로 꼽았다. 최 대표는 “고객에게 얼마만큼 감동을 줘서 재방문율을 높이고 단골고객의 비중을 높이느냐가 사업의 성패를 결정”한다고 강조했다.
향후 사업 목표와 관련해 최 대표는 “그동안 철저한 품질 관리를 해오며 자동화 생산 라인과 전문 인력 충원에도 힘써왔다”며 “질적인 성장과 함께 양적 성장도 이뤄가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 대표는 “스타벅스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처럼 오가다도 세계로 진출해 우리의 차를 전세계인들에게 알리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