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대만 유사시 일본의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이후, 중국이 일본에 대한 전방위적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외교적 항의와 여행·유학 차단을 넘어, 최근 재개됐던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다시 전격 중단하는 등 경제적 보복 조치까지 꺼내 든 모양새다.
19일 <교도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날 오전 정식 외교 경로를 통해 일본 측에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중지한다고 통보했다. 이는 지난 5일 홋카이도산 냉동 가리비 6t이 중국으로 향하며 수출길이 다시 열린 지 불과 보름 만의 조치다.
앞서 중국은 2023년 8월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에 반발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가, 지난 6월 후쿠시마 등 10개 광역지자체를 제외한 지역의 수산물 수입을 재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으로 양국 관계가 냉각되자, 중국 당국은 “오염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명분을 내세워 다시 빗장을 걸어 잠갔다. 현재 중국에 수출 등록을 신청한 일본 시설은 697곳에 달하지만, 허가된 곳은 단 3곳에 불과해 중국의 승인 방식이 자의적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단순한 통상 문제를 넘어선 정치·외교적 보복의 성격이 짙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카이치 총리가 대만 유사시 일본의 집단 자위권 행사 가능성을 언급한 것에 대해 중국이 ‘행동’으로 불쾌감을 표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외교부 직속 싱크탱크인 중국국제문제연구원의 샹하오위 아태연구소 특임연구원은 이날 <CCTV>에 출연해 “현재 사태의 주요 책임은 다카이치 사나에의 잘못된 발언에 있다”며 “다카이치 본인이 직접 발언을 철회하고 행동으로 시정하는 ‘결자해지’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외무성 국장이 방중해 해명을 시도했지만, 중국은 이를 수용하지 않고 총리의 직접적인 사과를 요구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중국은 일본에 대한 노골적인 외교적 냉대를 서슴지 않고 있다. 전날(18일) 중국 외교부 류진쑹 아주사 사장은 가나이 마사아키 일본 외무성 국장을 만난 자리에서 뒷짐을 지거나 주머니에 손을 넣은 채 굳은 표정으로 내려다보는 모습을 연출했다.
일각에선 이를 두고 중국이 일본과의 갈등 국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음을 대내외에 과시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왔다.
압박은 경제와 외교를 넘어 문화 분야로도 확산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지난 14일 자국민에게 일본 여행과 유학 자제를 권고한 데 이어, 일본 문화 콘텐츠에 대한 제재인 이른바 ‘한일령’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내달 6일 개봉 예정이었던 일본 애니메이션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과 <일하는 세포> 등의 상영이 잠정 중단됐으며, 주요 예매 사이트에서는 예매가 불가능한 상태다.
중국 전문가들은 이 같은 조치들이 시작에 불과하다고 경고했다.
야오진샹 중국국제문제연구원 조리연구원은 관찰자망 기고문을 통해 “다카이치 총리가 높은 지지율을 바탕으로 강경한 외교 노선을 펴고 있지만, 중국의 대응 조치가 일본 경제에 반영되는 수개월 뒤에는 일본 내 민심도 변화할 것”이라며 장기적인 경제 타격을 예고했다.
수산물 금수 조치부터 문화 콘텐츠 차단, 외교적 모욕 주기까지 중국의 보복이 전방위로 확산하면서, 다카이치 내각 출범 이후 중일 관계는 당분간 최악의 경색 국면을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jungwon933@ilyosis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