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시사 정치팀] 박희영 기자 = 경로당 등 노인 복지 시설에 AI를 결합해 효과적인 돌봄 서비스를 구축하는 이른바 ‘스마트경로당’의 현주소가 대두됐다. 경로당에 AI 플랫폼을 도입하는 것보다 초고령 사회로 향하는 속도가 더 빠른 만큼 국정 과제 우선순위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운 대한노인회 스마트경로당 정책위원장은 지난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자리해 스마트경로당 사업의 현실과 과제에 관해 설명했다. 스마트경로당은 기존 경로당에 AI 등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건강관리, 여가 활동, 화상 교육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날 최 위원장은 “스마트경로당은 화상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는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 등 복지 전문성이 부족한 부처 중심으로 추진돼 장비 도입에만 치중하고 있다”며 “AI 돌봄 확대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스마트경로당 사업에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2024년 기준 전국에 경로당 7만개 중 스마트경로당은 3%에 불과하다. 경로당에 AI를 도입하면 효율적으로 공공 돌봄을 구현할 수 있고 교육을 통해 노인이 생산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거듭날 수 있다”며 “아울러 카메라와 센서로 만성 질환 징후를 사전에 감지한다면 건강보험 재정 부담도 줄어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세 가지 해법이 제시됐다. ▲대통령실과 복지부를 중심으로 기존 경로당에 AI플랫폼 구축 ▲AI 돌봄 서비스 방향과 원칙 제시 ▲노인이 주체가 되는 현장 기관의 정책 참여 등이 주요 내용이다.
끝으로 최 위원장은 “현장과의 연계가 없는 돌봄 정책은 지속될 수 없다. AI 경로당 표준 플랫폼은 내년 3월에 시행하는 통합 돌봄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과기부와 협력해 콘텐츠를 강화하겠다”며 “AI 돌봄 혁신 추진단과 로드맵을 만들고 있어 이 또한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hypak28@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