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일부 강성 진보 성향 유튜브를 중심으로 법무부와 검찰 인사를 둘러싼 왜곡과 과장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막상 내용을 들여다보면, 확인되지 않은 주장과 소문이 마치 사실인 양 유포되며 여론을 오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들은 현실과 전혀 맞지 않으며, 근거 없는 추측에 불과하다.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중립보다는 극단을 선호한다. 시청자들이 듣고 싶은 말을 더 자주 더 강하게 해주는 콘텐츠가 상단에 노출된다. 그 결과 정치 성향에 따라 우리 편의 정의만이 강화되고 사실의 균형은 무너진다.
법무부나 검찰 인사는 제도적 안정성과 사법 체계의 중립성을 좌우하는 중대 사안이지만, 일부 채널은 이를 정권의 음모로 포장한다. 조회수는 올라가지만, 국민의 법치 신뢰는 그만큼 떨어진다.
법무부나 검찰 인사는 결코 장관 혼자 결정하지 않는다.
인사 절차는 대통령의 재가를 거치는 헌법상 권한이며, 인사안을 만들기까지는 인사위원회, 대통령실 민정라인 등 다층적인 절차가 존재한다. 즉, “한 사람이 좌지우지한다”는 주장은 행정 구조를 무시한 정치적 단순화다.
특히 중견 이상 검사 인사는 대통령실과 협의를 거치는 것이 관행이고, 이재명 대통령 역시 이러한 절차를 철저히 존중해왔다. 따라서 장관 한 사람의 의사에 따라 ‘친윤 검사 인사이동’이 있었다는 주장은 현실을 반영하지 않은 허구에 가깝다.
법무부 내부 인사 또한 외부에서 확대·재생산되는 소문과 달리 검사 출신을 대거 배치했다는 근거는 없다. 온라인에서 ‘장관 몰아내기’식의 과열된 해석이 돌고 있지만, 이는 사실과 무관한 정치적 감정에서 비롯된 왜곡일 뿐이다.
실제 인사 과정은 철저하고 체계적으로 진행됐다. 부장급·검사장급 인사 역시 대통령실과 사전 협의 후, 검증과 설득 절차를 거쳐 조용히 마무리됐다. 검찰 내부에서 불만이 거의 없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절차와 균형을 우선한 정권 초 인사였다.
문제는 일부 강성 진보 성향 유튜버들이 이 같은 현실을 외면한 채, 자신들의 상상과 편향적 시각을 개인 의견처럼 방송한다는 점이다. 진보·보수를 막론하고, 민감한 시기에는 편향된 주장을 함부로 남발하거나 오용하는 행태는 언론 윤리와 사회적 책임에 정면으로 배치된다.
유튜브의 선동이 잠시 여론을 흔들 수는 있어도 법과 시스템은 그렇게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지금 필요한 것은 정치적 해석이 아니라, 제도의 실체를 직시하는 냉정함이다.
언론은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이 주장은 근거 있는 사실인가, 단순한 의견인가, 혹은 현 정부를 흔들려는 의도가 숨어 있는가” 근거 없이 ‘친윤 검사 봐주기’라는 프레임을 덧씌우는 것은 사실을 왜곡하고 여론을 조작하려는 시도에 다름 아니다.
언론인과 유튜버는 공공의 책임을 져야 하며, 필요한 경우 근거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독자와 시청자 역시 이러한 자극적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정치적 편향이나 감정적 주장으로 사회 혼란을 조장하는 행위는 결코 용납될 수 없다.
법무부와 검찰은 지금도 조용히, 당초 우려했던 거에 비해 잡음 없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인사를 장관 혼자, 혹은 특정 세력의 입김으로 결정할 수 없는 일이다. 검증과 설득, 협의의 과정을 거쳐 현 정부의 시스템과 원칙은 흔들림 없이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혼란과 소문 속에서도 질서를 세우고 묵묵히 일을 수행하는 것이 현실이다. 언론은 소설이 아니라 사실을, 정치적 편향이 아니라 합리적 분석을 써야 한다. 그것이 독자와 사회에 대한 최소한의 책임이며, 진정한 언론인의 역할이다.
정치적 해석이 인사와 제도를 흔들면 국가도 흔들린다. 법무부와 검찰 인사를 둘러싼 진실 공방이 언론의 감시 기능을 넘어 ‘편 가르기의 무기’가 될 때, 결국 피해자는 국민이다. 정권 비판은 필요하지만, 비판이 사실을 버리면 그것은 선동이다.
일부 강성 진보 성향 유튜브가 정의를 외치며 허위와 과장을 섞는 행위는 결과적으로 진보의 신뢰를 스스로 갉아먹는 자기모순이다.
유튜브의 자유는 헌법이 보장하지만, 그 자유는 진실을 왜곡할 권리까지 포함하지 않는다. 국민 또한 ‘좋아요’와 조회수의 유혹에 휩쓸리지 말고, 사실을 걸러내는 비판적 사고의 독립성을 지켜야 한다.
정치적 진영보다 더 중요한 것은 법치의 신뢰다. 그 신뢰가 무너질 때 진보도 보수도 설 자리를 잃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