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일감 몰빵'기업 내부거래 실태 (71)동화약품-동화지앤피

  • 김성수 kimss@ilyosisa.co.kr
  • 등록 2012.10.09 12:20:41
  • 댓글 0개

국민소화제 활명수병 알고 보니…

[일요시사=김성수 기자] 기업의 자회사 퍼주기. 오너일가가 소유한 회사에 일감을 몰아주는 '반칙'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시민단체들이 귀에 딱지가 앉도록 지적해 왔지만 변칙적인 '오너 곳간 채우기'는 멈추지 않고 있다. 보다 못한 정부가 드디어 칼을 빼 들었다. 내부거래를 통한 '일감 몰아주기'관행을 손 볼 태세다. 어디 어디가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 기획으로 정부의 타깃이 될 만한 '얌체사'들을 짚어봤다.


국민소화제 '부채표 활명수'로 유명한 동화약품은 지난달 말 기준 3개의 계열사를 두고 있다. 이중 오너일가 지분이 있으면서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회사는 '동화지앤피'다. 이 회사는 계열사들이 일감을 몰아줘 적지 않은 실적이 '안방'에서 나왔다.

의약·식품병 납품

1970년 설립된 동화지앤피(G&P)는 약병, 드링크병 등 포장용 유리용기 제조업체다.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시화공단에 있다. 당초 현대유리공업이란 회사였다가 1972년 동화약품 자회사로 편입된 뒤 2003년 현 상호로 변경했다.

문제는 동화지앤피의 자생력이다. 동화지앤피는 병을 만들어 동화약품에 납품하고 있다. 주거래처 역시 동화약품. 그렇다보니 동화약품에 매출을 크게 의존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분석 결과 매출의 절반 이상을 내부거래로 채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매년 100억원 안팎의 고정 매출을 올리고 있다.
동화지앤피는 지난해 매출 158억원 가운데 89억원(56%)을 동화약품과의 거래로 올렸다. 활명수병, 판콜에이병, 비타천병 등 의약품 및 식품병을 동화약품에 납품했다. 동화지앤피는 2010년에도 매출 147억원 중 86억원(59%)에 달하는 '일감'을 동화약품으로부터 받았다.

그전엔 더 심했다. 동화지앤피가 동화약품과 거래한 매출 비중은 ▲2000년 54%(총매출 175억원-내부거래 95억원) ▲2001년 51%(168억원-85억원) ▲2002년 65%(182억원-119억원) ▲2003년 76%(147억원-111억원) ▲2004년 87%(155억원-135억원) ▲2005년 83%(139억원-116억원) ▲2006년 86%(121억원-104억원) ▲2007년 77%(116억원-89억원) ▲2008년 73%(131억원-95억원) ▲2009년 61%(118억원-72억원)로 나타났다.

그동안 동화약품은 ▲2000년 1382억원 ▲2001년 1264억원 ▲2002년 1341억원 ▲2003년 1344억원 ▲2004년 1230억원 ▲2005년 1380억원 ▲2006년 1528억원 ▲2007년 1487억원 ▲2008년 1751억원 ▲2009년 3337억원 ▲2010년 2153억원 ▲지난해 234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동화지앤피는 동화약품을 등에 업고 거둔 안정된 매출을 기반으로 몸집을 키워왔다. 매출에 큰 변화 없이 100억원대를 꾸준히 올리면서 총자산은 2000년 205억원에서 지난해 428억원으로 2배 늘었다. 같은 기간 총자본은 119억원에서 383억원으로 3배 불었다.

매년 100억씩 매출 절반 이상 모회사에 의존
윤도준 회장 지분 소유…짭짤한 배당금 받아

동화지앤피는 이를 토대로 거의 매년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다. 2010년과 지난해 각각 3억원, 1억8000만원을 배당했다. 2007년과 2008년엔 6000만원씩 지급했다. 동화지앤피는 앞서 2000년 2억1000만원, 2001년 6억원, 2002∼2005년 각각 9억원을 배당한 바 있다.

짭짤한 배당금을 받은 동화지앤피의 주요주주들은 계열사인 동화개발(19.81%·23만7664주)과 동화약품(9.91%·11만8878주), 가송재단(10%·11만9990주) 등이다. 주주들은 동화지앤피에서 해마다 수백만원에서 수억원씩 챙겼다.

이중엔 동화약품 오너도 있다. 윤도준 회장은 동화지앤피 지분 8.86%(10만6370주)를 소유하고 있다. 이는 동화지앤피 내부거래가 도마에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동화약품 최대주주는 다름 아닌 동화지앤피(15.22%·425만2370주)다. 윤 회장은 5.13%(143만3085주)를 갖고 있다.

올해 창립 115주년(1897년 창업)을 맞은 동화약품은 국내 최장수 기업으로, 현재 선대회장인 '윤창식-윤광열'에 이어 3세 경영 중이다. 고 윤광열 명예회장의 장남 윤 회장은 서울고와 경희대 의대를 졸업하고 17년간 경희의료원 신경정신과 과장, 정신과학교실 주임교수 등을 역임하다 2005년 부친의 뜻에 따라 동화약품에 합류했다.

당시 윤 명예회장은 “의약분업이 시행된 이후 새롭게 태어나지 못하고 표류하면서 계속 사세가 축소돼온 동화약품의 구원투수 역할을 하라”며 평소 믿고 의지한 큰 아들 윤 회장을 회사로 불러들였다는 후문이다. 부회장으로 입사한 윤 회장은 2008년 회장으로 승진했다.


사실 그전까지 동화약품은 차남 윤길준 부회장이 책임지고 있었다. 숭문고와 조선대를 졸업한 윤 부회장은 1985년 동화약품에 입사해 상무이사, 전무이사, 부사장 등을 거쳐 2003∼2008년 사장을 지내다 2008년 형과 함께 부회장에 올랐다.

동화약품은 4세 경영을 준비하고 있다. 윤 회장은 슬하에 1남1녀(인호-현경)를 뒀다. 이 가운데 먼저 딸 현경씨가 경영수업을 시작했다. 올해 32세인 현경씨는 경희대 경영학과와 미국 존슨앤웨일즈대학교에서 식음료 경영학을 전공하고 2008년 광고홍보실 주임으로 입사해 지난 4월 BD(신제품개발)실 이사로 초고속 승진했다.

동화약품 내부거래와 관련해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는 회사도 있다. '흥진정공'과 '동화개발'이다. 두 계열사는 공시를 하지 않아 매출에서 차지하는 내부거래액을 확인할 수 없다. 주주구성 등 지분도 알 수 없다. 다만 역으로 동화약품이 공개한 특수관계자와의 매입거래 내역을 통해 어느 정도 파악이 가능하다.

동화약품 최대주주

1976년 설립된 흥진정공은 활명수, 판콜에이, 비타천 등 드링크 병마개를 동화약품에 판매해 2010년과 지난해 각각 9억원, 1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1977년 설립된 동화개발은 동화약품에 7억원, 4억원어치의 골판지상자 등 포장재를 팔았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마계 캄보디아’ 정부 뒷북 내막

‘마계 캄보디아’ 정부 뒷북 내막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 기자 = 캄보디아 대학생 피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뒷북 대응에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급증했음에도 침묵한 것이다. <일요시사>가 최초 보도했던 보이스피싱 원조 김미영 팀장 탈옥 사건에 이어 주무부처의 소극 행정이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정부는 급히 대책을 마련 중이지만 ‘코리안데스크’가 능사는 아니라는 분석이 나온다. 캄보디아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은 수백명이다. 스캠(사기) 산업에 연루된 수만 1000여명으로 추산된다. 일부는 불법행위라는 걸 알면서도 발을 들였다. 문제는 구금 시설에서 빠져나오려다가 인신매매를 당하거나 살해당하는 일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정부는 여러 사건을 인지했음에도 그저 피해자들에게 “기다리라”고만 했다. 감금 한국인 그들은 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인 대상 범죄 피해가 확산하는 캄보디아 문제에 대해 언급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월부터 8월까지 현지 공관에 접수된 감금 관련 신고는 약 330건, 외교부 공관 신고를 포함하면 약 550건인 것으로 파악했다. 대다수 사안이 처리된 가운데 현재 처리 중인 신고 건은 70여건이라고 위 실장은 설명했다. 위 실장은 “정부 차원에서 여러 대처를 하고 있지만, 캄보디아 내에서 범죄 대응은 본질적으로 캄보디아 주권 사안이기 때문에 우리가 대응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며 “우리 국민 중 불법행위라는 것을 알면서도 자발적으로 발을 들인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최근 현지에서 고문당해 숨진 대학생의 시신 운구가 지연된 상황과 관련해서는 “유가족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공동 부검을 요구한 것과 관련이 있다”며 “캄보디아 측에서는 공동 부검이 흔치 않기 때문에 소화하려면 내부 절차가 있고, 내부 절차가 진행되는 데 시간이 소요됐다”고 부연했다. 위 실장은 현지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60명 송환 계획과 관련해서는 “빠른 시일 내 그분들을 서둘러서 데려오려는 입장”이라며 “항공편도 다 준비됐다”고 말했다. 돈이 급한 한국인들은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을 보고 동남아로 향한다. 태국이나 라오스 및 캄보디아 국경지대서 피싱 조직에 납치당하면 빠져나오기 쉽지 않다. 현지 당국에 신고한다고 해도 오히려 살해 협박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캄보디아는 필리핀처럼 현지 수사기관 및 공무원들과 범죄조직 사이의 비리가 만연하다. 범죄조직 아지트를 당국이 확인해도 눈감아주는 경우가 다반사다. 현지 코리안데스크 있으나마나 똑같다? 유족·피해자에 “기다려라” 황당 대응 한 경찰 관계자는 “수감 중인 한국인이 다른 조직에 팔려가 인신매매가 벌어지거나 탈출을 시도하면 살해당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캄보디아 피싱 조직은 대부분 중국계 갱단인 ‘흑사회’로 구성돼있다. 이들은 캄보디아 고위 공무원들에게 우리나라 돈 수억원을 상납한다. 매수된 공무원은 구속된 조직원을 빼주는 것은 물론, 경찰 급습 시점을 사전에 알려주기도 한다. 캄보디아 피싱 조직이 드러나기 시작한 건 필리핀과 태국에 주둔했던 흑사회 간부들이 캄보디아에 자리 잡기 시작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피싱 조직에 몸담았던 한 관계자는 “필리핀과 태국은 자본주의 국가다. 아무리 부패와 비리가 심해도 공산주의와 독재 국가 체제인 캄보디아보다 심하지 않다”며 “중국 갱단은 원래 필리핀에 자리 잡았다. 마약, 도박 범죄 등으로 여러 번 언급되자 4~5년 전부터 캄보디아에 모여들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캄보디아는 필리핀보다 공무원을 매수하는 비용이 싸다. 경찰관 한 명을 매수해 자신의 인터폴 수배 여부를 확인하는 등 수사 정보를 알기 위한 비용이 한국 돈으로 100만원이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한국인 대상 범죄 급증에 대한 대책으로 캄보디아 ‘코리안데스크(한인 사건 전담반)’ 설치를 추진 중이다. 지난 10일 조현 외교부 장관이 쿠언폰러타낙 주한 캄보디아 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불러 항의했다. 영사협의회에서도 코리안데스크 설치 협력을 요청하기도 했다. 경찰청도 최근 캄보디아와의 양자 협의에서 이를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코리안데스크는 경찰 협력관과 달리 대사관 등 외교 채널을 거치지 않고 현지 경찰과 소통할 수 있어 합동 수사에 용이하다. 국외도피사범을 추적하거나 한국인 범죄 피해를 파악할 때 교민 사회 등에서 관련 내용을 수집해 현지 경찰관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수사를 돕는다. 실종, 살해… 뒤늦게 논의 현지 경찰관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어 국제형사사법공조나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 등을 통한 공식 요청보다 빠르게 현지 수사가 가능하다. 필리핀에서 코리안데스크는 한국인을 상대로 자행된 청부살인 등 강력 사건 해결에 큰 역할을 했다. 캄보디아 공권력을 신뢰하기 어렵고 현지 치안이 열악한 점 등을 고려해볼 때 최우선 해결책으로 꼽히는 이유다. 국제 앰네스티는 지난 6월 보고서에서 캄보디아 내 범죄 산업이 성행한 원인이 “조직범죄와 부패한 공권력의 결합 구조”에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보·수사기관 안팎에서는 무의미한 조치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캄보디아 당국이 국제 공조에 소극적이기도 하지만 코리안데스크는 수사 권한이 없다는 게 핵심이다.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청은 최근까지 캄보디아 당국에 20건의 국제 공조를 요청했으나 절반도 되지 않는 답변을 받았다. 특히 캄보디아 당국이 코리안데스크 설치를 세 차례 거부하기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코리안데스크 출신 한 경찰은 “필리핀은 우리나라 정부가 집요하게 압박해 코리안데스크를 설치한 이후 현지 경찰과의 협조가 가능해졌다. 협조가 된다고 해도 범죄자 송환이나 사건 조사가 이뤄지는 경우는 절반도 안 된다. 캄보디아는 더 힘들 것”이라고 평가했다. 경찰 파견 무의미? 이 경찰은 “정부 차원에서 강하게 압박을 넣어야 한다. 외교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받아들이지 않으면 국물도 없다’는 식의 각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코리안데스크 설치가 불발될 경우의 수가 존재하는 만큼 경찰관 직무 파견 확대가 현실적 대안으로 거론된다. 파견 경찰관을 선발한 뒤 1년 단위로 재발령을 거쳐 최대 2~3년간 현지에서 근무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단기간에 경찰 주재관을 늘리는 게 쉽지 않은 게 이유다. 2021년 11월 가나 해군은 한국인이 승선한 어선을 위해 안전조치를 하고 있다. 선례도 있다. 앞서 정부는 러시아, 아르헨티나 등에 경찰 인력을 직무 파견했다. 2020년엔 가나 대사관에 해양경찰관을 직무 파견했다. 서아프리카 해역에 해적이 출몰하면서 한국인 선원 13명이 납치된 데 따른 조치였다. 정부는 외교 채널을 통해 가나 부처에 공식적으로 도움을 청하는 동시에 파견 경찰은 물밑에서 움직였다. 현지 해군, 경찰 관계자를 지속해 접촉하며 설득을 이어갔고, 가나에 주재하는 타국 외교 사절과도 교류하며 정보를 공유했다. 또 가나가 필요로 하는 컴퓨터 등 기자재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호감을 얻으며 협의를 이어갔다고 한다. 이는 결국 가나 해군이 투입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다. 소극 행정을 일삼는 우리 정부도 문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이 외교부와 행정안전부 등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행안부는 지난해 주캄보디아 대사관 경찰 주재관을 증원해달라는 외교부의 요청을 불승인했다. ‘해외 도주’ 황하나 프놈펜 잠적 단독 확인 인터폴·경찰 수배 피하려 피싱조직 연루설도 당시 행안부는 외교부 증원 요청을 불승인한 이유에 대해 “사건 발생 등 업무량 증가가 인력 증원 필요 수준에 못 미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인 범죄 피해는 2022년 81건에서 2023년 134건, 지난해 348건으로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확인된 범죄 피해는 303건에 달한다. 현재 주캄보디아 한국 대사관에서 근무 중인 경찰은 주재관 1명과 협력관 2명 등 총 3명이다. 그나마 이렇게 늘어난 인력도 애초 경찰 주재관 1명만 있다가 지난해 10월과 지난달 직무 파견 형태로 협력관을 1명씩 추가 투입한 데 따른 것이다. 위 의원은 “캄보디아에서 우리 국민이 잇따라 납치·감금 피해를 당하고 있음에도 당시 윤석열정부가 경찰 주재관 증원을 외면한 것은 명백한 잘못”이라며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조차 거부한 이유를 이번 국정감사에서 반드시 따져 묻겠다”고 강조했다. 캄보디아는 범죄자들에게 천국이다. 필리핀에서 송환되지 않거나 자유롭게 탈옥해 붙잡히지 않은 텔레그램 ‘마약왕 전세계’ 박왕열과 보이스피싱 원조 김미영 팀장 박정훈 등이 그렇다. 국내에서 수차례 마약 사건의 중심에 섰던 황하나씨도 이들의 수법을 활용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일요시사>는 지난해부터 황씨가 인터폴 수배 대상에 오르자 태국과 필리핀, 캄보디아 등을 오간 사실을 확인하고 취재해 왔다. 실제로 황씨는 지난해 3월 <일요시사>와 전화 통화에서 “지금 태국에 있는데, 아파서 병원에 왔다. 나중에 연락하겠다”고 말했다. 황씨는 수년 전부터 화류계에 몸담거나 연예계에 종사하는 여성들을 재벌가에 연결하는 일종의 브로커를 담당했다. 그로 인해 마약을 강제로 투약당하거나 피해 본 인물이 있을 정도다. 국내에서의 생활이 어려워진 황씨가 캄보디아에서 브로커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범죄자 천국 악당 은신처 인터폴에 체포되지 않으려 캄보디아 피싱 조직에 한국인 여성들을 공급한다는 것이다. 실제 캄보디아 공항에 도착한 한국인 20~30대 여성들은 납치된 이후 여권과 휴대전화를 빼앗겨 범죄 단지 ‘웬치’에 감금된다. 이 여성들은 대부분 유흥업소로 끌려간 것으로 알려졌다. ‘웬치’에는 현재 한국인 1000명 이상이 거주 중이다. 다만 이들의 범죄 연루 여부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hound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