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작품세계 망라' 김병호

자연이 주고 인간이 가공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중국 선양에 위치한 K11 아트스페이스에서 김병호 작가의 개인전 ‘절정(THE CLIMAX)’을 준비했다. 이번 전시에는 김병호의 작품세계를 망라한 대표작 16점이 관람객에게 소개된다.

K11 아트스페이스는 홍콩을 비롯해 중국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선양, 텐진, 우한 등 중국의 주요 도시에 있는 복합문화 예술공간이다. 국제적으로도 명성이 높은 K11 아트스페이스는 세계적인 작가와 교류하고 작품을 전시하는 등 다양한 아트프로젝트를 활발하게 진행해왔다.

강렬한

김병호 작가는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김병호의 개인전은 K11 아트스페이스 설립 1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로 기획돼 그 의미가 남다르다. 그는 중국에서 다양한 전시, 아트 프로젝트, 상업 공간과 야외공간에 조각 설치작업 등 다양한 해외 프로젝트에 참여해왔다.

김병호의 작품은 표면적으로는 철저한 가공을 통해 빛을 발하는 화려하고 완벽한 조형물의 형태를 갖췄다. 개념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인류와 문명에 대한 탐구에 기반하고 있다. 매체의 본질을 탐구하며 자연에서 주어진 것을 인간이 정교한 기술을 통해 구조화해가는 과정을 사회가 지닌 규범과 규칙, 체계와 연관지었다. 

중국 선양 복합문화 공간
한국과 중국 활발한 활동


‘절정’ 전시는 ‘정원’ ‘수집된 장면들’ ‘기억’ ‘기념비화’라는 총 4개의 주제로 구분된다. 빛과 어둠의 공간 속에 배치된 매혹적인 금속 조각은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작가가 정확하게 설계하고 정교하게 만든, 차갑지만 반짝이는 조형물은 인간의 물질문명이 만들어낸 절대적인 존재로 강렬한 에너지를 표출한다. 

김병호는 2000년 홍익대 판화학과를 졸업하고 2002년부터 3년간 과학기술부 국가지정연구실 연구원 자격으로 예술 공학을 공부한 뒤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금속과 미디어를 같이 활용한 조각, 설치작업을 주로 하고 있다. 

대표작 16점 소개
질서정연한 논리

아라리오갤러리 전속작가로 2018년 ‘Enchantment’(상하이) 등에서 전시를 진행했고, 2010년 소마미술관에서 ‘Invisible Object’전을 열기도 했다. 이외에도 독일 프랑크푸르트시 문화부 스튜디오에서 ‘Two Silences’를 개최하는 등 10여회의 개인전을 진행했다.

김병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프랑크푸르트시 문화부, 서울대 미술관, 정부종합청사, 중국 상하이의 반룡천지 등에 소장돼있다. 

에너지

아라리오 갤러리 관계자는 “김병호의 작품은 평면, 수평, 수직, 두께 등 작가만의 기하학적 논리에 따라 질서정연하게 만들어졌다”며 “그의 작품은 통일된 규율과 기준, 규정의 질서정연한 체계로 조직된 현대사회의 구조와 그런 환경에 놓인 현대인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고 자연과 인간, 개인과 공동체에서 느껴지는 대립과 긴장을 느끼게 한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8월21일까지. 



<jsjang@ilyosisa.co.kr>

 

[김병호는?]

▲학력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공학과 Technology Art 전공 졸업(2004)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학과 졸업(2000)

 
▲개인전
‘Enchantment’ 아라리오갤러리(2018)
‘Garden in the Garden’ 아라리오갤러리(2013)
‘A System’ 아라리오갤러리(2011)
‘Invisible Object’ 소마미술관 드로잉센터(2010)
‘Fantastic Virus’ 터치아트 갤러리(2010)
‘Two Silences’ 프랑크푸르트 문화부 스튜디오(2009)
‘Assembled Fantasy’ 웨이방갤러리(2008)
‘Their Flowers’ 쿤스트독갤러리(2006)
‘Magnet Installation’ 한전프라자갤러리(2005)

▲수상
제3회 서울문화투데이 문화대상 젊은예술가상(2011)
제1회 포스코스틸아트 어워드 본선 작가(2006)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br>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국민의힘 지도부가 대선후보 교체를 강행한 데 대해 10일, 김문수 후보가 “불법적이고 부당한 후보 교체에 대한 법적·정치적 조치에 즉시 착수하겠다”며 강력히 대응을 예고했다. 김 후보는 이날 여의도 선거캠프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야밤에 정치 쿠데타가 벌어졌다. 대한민국 헌정사는 물론이고 전 세계 역사에도 없는 반민주적 일이 벌어졌다”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국민과 당원의 선택을 받아 정당하게 선출된 저 김문수의 대통령 후보 자격을 불법적으로 박탈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에 의하면 대통령후보는 전당대회 또는 그 수임 기구인 전국위원회서 선출하게 돼있는데 전국위원회가 개최되기도 전에 아무런 권한이 없는 비상대책위원회는 후보 교체를 결정해 버렸다. 이는 명백한 당헌 위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는 제가 후보로 선출되기 전부터 줄곧 한덕수 예비후보를 정해 놓고 저를 압박했다”며 “어젯밤 우리당의 민주주의는 죽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저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투쟁을 계속 할 것”이라며 “우리가 피와 땀으로 지켜 온 자유민주주의의를 반드시 지키겠다. 국민 여러분, 저 김문수와 함께해달라”고 호소했다. 실제로 김 전 후보 측은 이날 중으로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대통령 후보자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후보가 시간 끌며 단일화를 무산시켰다”며 “당원들의 신의를 헌신짝같이 내팽개쳤다”고 주장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이재명 독재를 저지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후보로 단일화해서 기호 2번 국민의힘 후보로 세워야 한다는 게 당원들의 명령이었다”며 “우리 당 지도부는 기호 2번 후보 단일화를 이루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했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께 단일화 약속을 지켜주실 것을 지속적으로 간곡히 요청드렸고 저를 밟고서라도 단일화를 이뤄주십사 부탁했다”는 권 비대위원장은 “하지만 결국 합의에 의한 단일화는 실패하고 말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너무나 안타깝고 가슴이 아프다. 단일화는 누구 한 사람, 특정 정파를 위한 정치적 선택이 아니다. 누구를 위해 미리 정해져 있던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민의힘 비대위는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뼈아픈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며 “비대위는 모아진 총의와 당헌·당규에 따라 김 후보 자격을 취소하고 새롭게 후보를 세우기로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앞서 당 지도부는 이날 새벽 비대위와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를 열고 한 예비후보를 대선후보로 재선출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이날 오후 9시까지 진행되는 당원 투표를 거쳐 오는 11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마치면 대선후보 교체가 이뤄질 예정이다. 일각에선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이 이뤄졌던 이번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선후보 교체를 두고 절차적 정당성 등의 다양한 뒷말이 나오고 있다. 치열한 경선 과정을 통해 최종 후보로 선출돼있는 공당의 후보를 두고, 당 지도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무소속의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시도하려는 것 자체가 상식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후보 접수도 이날 새벽 3시부터 4시까지 단 한 시간만 받았던 점, 한 후보가 32개에 달하는 서류를 꼭두새벽에 접수했다는 점 등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양수 선관위원장은 이날 당 홈페이지를 통해 “당헌 74조 2항 및 대통령 후보자 선출 규정 제29조 등에 따라 한 후보가 당 대선후보로 등록했다”고 공고했다. 앞서 이 선관위원장은 김 후보의 선출을 취소한다는 공지와 후보자 등록 신청을 공고했다. 김 전 후보와 한 후보는 후보 단일화 문제로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여왔다. 지난 1차 회동에 이어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모처서 가졌던 2차 긴급 회동서도 단일화 방식 등 룰에 대해 논의를 시도했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끝내 결렬됐다. 그러자 이날 권성동 원내대표는 “단일화 없이 승리는 없다”며 국회 원내대표실 앞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권 원내대표는 “두 후보 간의 만남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며 “후보 등록이 11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오늘(7일)은 선거 과정서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가 불과 27일 남았다. 이제 남은 시간이 없다”며 “이재명 세력은 공직선거법상의 허위 사실 공표죄를 사실상 폐지하고 대법원장 탄핵까지 공언하면서 대한민국 헌정 질서의 마지막 숨통까지 끊어버리려고 한다. 반면 우리는 단일대오조차 꾸리지 못하고 있다”고 자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