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가이드

  • JSA뉴스 jsanews@jsanews.co.kr
  • 등록 2021.11.09 11:21:14
  • 호수 1348호
  • 댓글 0개

올림픽 역사상 남녀 균형 최고

[JSA뉴스] 지난달 26일은 제24회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으로 100일 남겨 놓은 날이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특집 가이드’를 연재한다.

[일정]

개막식은 내년 2월4일, 폐막식은 내년 2월20일 열릴 예정이다. 그러나 대회 자체는 개막 이틀 전부터 컬링 예선과 함께 시작되며, 여자 아이스하키 예선과 모굴 대회(프리스타일 스키) 예선도 2월3일로 예정돼 있다.

[종목]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7개 종목의 15개 분야에서 개최된다. 종목은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크로스컨트리 스키 ▲컬링 ▲피겨 스케이팅 ▲프리 스타일 스키 ▲아이스하키 ▲루지 ▲노르딕 복합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스켈레톤 ▲스키 점프 ▲스피드 스케이팅 ▲스노보드 등이다.

[추가 경기]


수여될 메달 개수는 109개로 이전의 동계올림픽인 2018 평창 동계올림픽보다 7개가 더 많다. 추가된 경기들의 종목은 봅슬레이, 쇼트트랙, 프리스타일 스키, 스키점프, 스노보드 등이며, 베이징 올림픽은 평창 올림픽 때보다 41%에서 45% 이상으로 여성 비율이 늘어나 올림픽 역사상 가장 남녀 균형이 잘 잡힌 동계올림픽이 될 것이다.

[개최지]

중국 베이징은 하계와 동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최초의 도시로서 독특한 위치에 있다. 2008년 하계올림픽 때 사용된 여러 시설들이 2022 동계올림픽을 위해 재사용될 예정이다.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는 베이징(Beijing), 옌칭(Yanqing), 장자커우(Zhangjiakou)의 3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개막 2월4일, 폐막 2월20일
평창보다 7개 더 많은 종목

[베이징]

베이징은 이번 동계올림픽의 빙상 종목과 올림픽 개막식 및 폐회식을 개최한다.

▲국립 경기장(National Stadium) : 2008 베이징 하계올림픽 메인스타디움, 개회식 및 폐회식
▲내셔날 아쿠아틱 센터(National Aquatic Centre) : 컬링/휠체어 컬링(동계패럴림픽)
▲국립 실내 경기장(National Indoor Stadium) : 아이스하키/아이스 썰매 하키(동계패럴림픽)
▲우커송 스포츠 센터(Wukesong Sports Centre) : 아이스하키
▲내셔널 스피드 스케이팅 오벌(National Speed Skating Oval) : 스피드 스케이팅
▲캐피탈 실내 경기장(Capital Indoor Stadium)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및 피겨 스케이팅
▲빅 에어 쇼강(Big Air Shougang) : 프리스타일 스키 빅 에어&스노보드 빅 에어


[옌칭]

베이징 도심에서 북서쪽으로 75㎞ 떨어진 옌칭은 중국 수도의 산악 교외 지역으로 온천, 국립공원, 스키 리조트, 중국 만리장성의 지역으로 유명하다. 옌칭의 올림픽 경기장에서는 알파인 스키 경기와 슬라이딩 경기인 봅슬레이, 루지, 스켈레톤이 개최된다.

▲내셔널 슬라이딩 센터(National Sliding Centre) : 봅슬레이, 스켈레톤, 루지
▲국립 알파인 스키 센터(:National Alpine Ski Centre) : 알파인 스키/장애인 알파인 스키(동계 패럴림픽)

[장자커우]

장자커우는 베이징에서 북서쪽으로 약 180㎞ 떨어진 인기 있는 중국 스키 지역이다. 새로 건설된 베이징-장자커우 도시 간 철도는 단 1시간 만에 동계올림픽을 위한 세 개의 경기장 클러스터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장자커우의 경기장은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 프리스타일, 크로스컨트리, 스키 점프, 노르딕 복합, 바이애슬론을 포함한 대부분의 스키 및 스노보드 경기를 개최한다.

▲국립 바이애슬론 센터(:National Biathlon Centre) : 바이애슬론/장애인 바이애슬론 및 장애인 크로스컨트리 스키(동계패럴림픽)
▲국립 스키점프 센터(National Ski Jumping Centre) : 스키점프, 노르딕복합(스키점프)
▲내셔널 크로스컨트리 센터(National Cross-Country Centre) : 크로스컨트리, 노르딕 복합
▲겐팅 스노우파크(Genting Snow Park) : 프리스타일 스키, 스노보드/장애인 스노보드(동계패럴림픽)

베이징 옌칭 장자커우
3개 지역서 경기 열려

[메달]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메달은 중심 원에 동그란 고리를 더한 디자인으로 중국 고대 동심원인 옥벽(玉璧)에서 착안해 총 다섯 개의 고리로 구성됐다.

중앙을 둘러싼 다섯 개의 원은 ‘천지합·인심동’(天地合·人心同)이라는 중화문명의 철학을 드러내고 또 사람들을 응집시키는 올림픽의 정신을 상징한다.

메달 전면 중앙에는 5개의 올림픽 링이 새겨져 있다. 얼음, 눈, 구름 패턴으로 둘러싸인 둘레에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XXIV 동계올림픽’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엠블럼이 중앙에 배치돼 있고, 그 주위에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메달 종목의 이름이 있으며 가장 바깥쪽 링에 새겨져 있다.

[마스코트]


‘빙드웬드웬 - Bing Dwen Dwen’이라는 이름의 자이언트 팬더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다. 빙(Bing)은 얼음을 의미하며 순수함과 강인함을 뜻하고, 드웬 드웬(Dwen Dwen)은 아이들을 의미한다. 마스코트는 선수들의 힘과 의지를 형상화해 올림픽 정신을 고취시키는 데 일조할 것이다.

[엠블럼]

대회 엠블럼은 한자 冬(동)에서 따온 것이다. 위는 스케이터, 아래는 스키를 담아 중국의 완만한 산, 올림픽 경기장, 스키 활강장, 스케이트장 등을 가운데에 두고 있다.

[슬로건]

‘함께하는 미래를 위해 함께(Together for a Shared Future)’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의 공식 모토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캄보디아 주범 ‘리광호’ 정보기관 추적, 왜?

[단독] 캄보디아 주범 ‘리광호’ 정보기관 추적, 왜?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 기자 = 캄보디아를 향한 정부의 압박이 매섭다. 피해자이자 피의자인 한국인 수십명을 발 빠르게 송환한 데 이어 캄보디아에 대한 경제적 지원도 옥죌 계획이다. 정보·수사기관은 제일 먼저 대학생 피살 사건 핵심 인물인 리광호를 추적 중이다. <일요시사> 취재 결과, 리광호는 이미 캄보디아를 떠나 라오스로 밀입국한 것으로 파악됐다. “리광호는 지난주에 이미 떴어요.” 리광호에게 대포통장을 만들어준 보이스피싱 조직원 A씨가 <일요시사>와의 연락에서 한 말이다. 리광호는 캄보디아 대학생 박모씨 피살 사건 주범으로 지목된 인물이다. 이미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서 라오스 밀입국했다. 정보·수사기관도 관련 첩보를 입수하고 추적 중이다. “지난주에 이미 떴다” 리광호의 신상은 이미 이달 중순부터 텔레그램과 SNS 등을 통해 공개됐다. 1991년생인 리광호는 중국 길림성 훈춘시 출신이다. 키는 160㎝로 단신이며 각진 턱과 짧은 머리가 특징이다. 최종 학력은 초등학교(소학교) 졸업인 것으로 알려졌다. 캄보디아 수사당국은 박씨를 살해한 혐의로 중국 국적 조직원 3명을 체포했다. 앞서 박씨는 지난 7월17일 “현지 박람회에 다녀오겠다”고 한 뒤 캄보디아로 출국한 뒤 연락이 두절됐다가 3주 뒤 깜폿 보코산 인근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캄보디아 캄폿지방검찰청은 지난 10일 박씨를 살해한 혐의 등으로 이들을 재판에 넘겼으나 핵심 인물은 따로 있다. 이들 조직원 3명은 박씨의 시신을 옮길 때 현장에 있었을 뿐이었다. A씨는 “캄보디아 경찰이 박씨를 살해한 혐의로 리광호를 잡기 위해 지난 8월 그의 은신처를 급습했었는데 리광호가 몇 시간 전에 미리 알고 도주했다”고 말했다.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국내 인터폴, 경찰, 국정원 등 정보·수사기관도 캄보디아와의 공조를 통해 리광호를 추적 중이다. 그는 이달 초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서 라오스로 밀입국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라오스로 넘어갈 때 캄보디아 국경을 관리하는 공무원들에게 수천만원을 줬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넘어가기 직전에 대포 통장과 핸드폰을 급하게 만들어달라고 한 이후에 연락이 끊겼다. 지금은 미얀마로 넘어갈 준비라는 소문이 파다하다”고 주장했다. 수사기관 관계자도 “관련 첩보를 입수하고 추적 중인 건 맞다”며 “현지 경찰과도 공조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리광호는 5년 전 베트남 하노이에서 보이스피싱 조직의 중간 관리자였다고 한다. 조직 내 수익을 빼돌리려는 계획이 탄로나자 잠시 한국에 들어왔다가 지난해 7월 캄보디아 프놈펜으로 출국해 자신과 친분을 쌓은 이들을 모아 시아누크빌에 자리 잡았다. 리광호와 친분을 쌓은 인물 대부분은 조선족인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리광호는 조직에서 간부급은 아니었다. 납치 담당, 고문·협박 담당 등 맡는 일이 다 다른데 리광호는 가리지 않았다. 머리가 좋지 않아서 몸으로 하는 일을 주로 했다”고 설명했다. 라오스 북부 통해 미얀마 밀입국 준비 다른 주범 김, 강남 마약 음료 총책 이어 “조직 간부인 중국인들에게 무시당할 때마다 구금된 여자를 강간하거나 남자들에게 강제로 마약을 먹이고 폭행한다. 이건 리광호만 그런 게 아니다. 그러다가 구금된 이들이 죽으면 시신을 태운다”고 주장했다. 리광호는 현재 영등포경찰서와 인천지검의 수배 대상자다. 인터폴에서도 적색수배 상태로 확인됐다. 정보기관 관계자는 “중국에서도 마약 밀수 혐의로 수배에 오른 인물이다. 중국에 다시는 못 들어간다. 들어갔다가 걸리면 사형”이라고 말했다. 국내 정보·수사기관은 리광호 외에 김모씨도 추적 중이다. 김씨는 리광호와 함께 박씨 사건 주범으로 의심되는 인물이다. 특히 리광호와 김씨는 2년 전 강남 대치동에서 발생했던 마약 음료 사건의 유통책으로 확인됐다. 마약 음료 사건은 지난 2023년 이모씨 등이 필로폰과 우유를 섞어 만든 음료를 강남 대치동 학원가에서 미성년자에게 제공하고 마시게 했던 사건이다. 당시 이씨 일당은 마약 음료 수백병을 만든 뒤 2023년 4월 대치동 학원가에서 ‘집중력 강화 음료’ 시음 행사라며 미성년자 13명에게 제공하고 실제 9명이 마시게 했다. 이후 음료를 마신 학생의 부모에게 연락해 “당신 자녀가 마약 음료를 마셨으니,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협박해 금품을 뜯으려고 시도했다. 불특정 다수의 미성년자를 속여 급성 중독성 마약을 투약하고 부모까지 노린 신종 보이스피싱 범죄라는 점에서 사회적 파장을 불렀다. 중국에 있던 주범 이씨는 사건 발생 50여일 만인 2023년 5월 중국 지린성 내 은신처에서 중국 공안에 검거돼 강제로 송환됐다. 대법원은 지난 4월 이씨에게 징역 23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마약 음료 제조자 길모씨는 징역 18년, 마약 공급책 박모씨는 징역 7년이 확정됐다. 진짜 두목 따로 있다 당시 필로폰을 공급한 중국 국적 총책은 검거돼 캄보디아 법원에서 26년형을 선고받았다. 정보기관 관계자는 “리광호와 김씨는 수사를 통해 추적해 왔던 인물이다. 필로폰 4kg 이상을 밀반입하는 걸 주도했고 그걸 이씨와 박씨가 국내에 뿌렸던 사건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리광호가 속한 캄보디아 보이스피싱·스캠 조직의 웹사이트 중 일부는 북한 IT 전문가들이 구축한다는 게 <일요시사>와 접촉한 이들의 설명이다. 또 다른 조직원 B씨는 “전부 다 북한 애들이 하진 않는다. 허술한 웹사이트는 북한 전문가들의 작품이 아니다. 한국인 범죄자들은 피싱으로 중국 조직에 1억원의 수익을 안겨주면 수수료로 7~10%의 수고비를 받는다. 북한과 조선족은 더욱 싸다. 3~5% 정도면 굉장히 열심히 한다”며 “중국 조직 입장에서는 한국인들보단 북한이나 조선족을 동원하는 경우를 선호한다”고 했다. 최근 정부는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을 단장으로 정부 합동 대응팀을 캄보디아에 파견했는데 여기에는 경찰청, 국정원 등이 참여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캄보디아 스캠 범죄를 매우 심각하게 여기고 국정원에 “발본색원해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조직의 사활을 걸고 확실하게 해결해 국민 걱정을 덜어드려라”는 특별지시를 내렸을 정도로 정보기관 내부에서는 리광호와 김씨와 같은 조직원들 추적에 사활을 건 분위기다. 국정원은 캄보디아 스캠 범죄조직은 중국 등 다국적 범죄조직이 캄보디아로 침투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프놈펜, 시아누크빌을 비롯해 총 50여곳에 약 20만명의 조직원이 있는 것으로 추산했다. 이들 조직들의 범죄수익은 2023년 기준 125억 달러(약 18조원)로 캄보디아의 국내 총 GDP의 절반 수준에 달했다. 다국적 범죄조직 이들 조직은 과거 카지노 자금 세탁 등을 했던 조직으로 코로나 팬데믹 이후 국경이 폐쇄되면서 캄보디아로 침투해 스캠 범죄로 범죄를 변경했다. 이들 조직은 자체적으로 무장경비원까지 배치하고 있다. 비정부 무장단체가 장악한 지역이나 경제특구 등 캄보디아의 다양한 지역에 분포돼있어서 캄보디아 정부도 단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정원은 한국인들의 현지 방문 인원과 스캠 단지(웬치) 인근 한식당 이용 현황 등을 통해 스캠 단지에 있는 한국인 범죄 가담자를 1000~2000명가량으로 추산했다. 국정원은 이들에 대해 “100%는 아니지만, 피해자라기보다는 범죄에 가담한 사람들이라고 보는 게 더 정확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캄보디아 보이스피싱·스캠 조직의 자금을 관리하는 배후로는 프린스그룹과 후이원이라는 현지 기업이 언급된다. 이 두 기업은 웬치에서 감금, 사기 행각을 벌이거나 북한 해킹 조직의 자금을 세탁하는 등 전방위 범죄를 저지르며 천문학적 수익을 벌어들였다. 프린스그룹은 캄보디아 최대 범죄 거점으로 지목된 ‘태자 단지’를 운영하는 등 조직적 인신매매와 불법 감금, 사기 등의 배후로 알려졌다. 중국에서도 불법 도박이나 성매매 등으로 범죄 자금을 벌어들였다. 베트남 국경 지역에 있는 진베이 단지는 중국 9개 성의 법원에서 심리된 83건의 형사사건에 연루된 상황이다. 천즈 프린스그룹 회장이 기업을 성장시킬 수 있었던 배경에는 훈 센 전 총리 등 캄보디아 고위층과 긴밀한 유착 관계를 형성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천즈는 수많은 논란에도 훈 센 전 총리 정권에 막대한 자금을 바치며 캄보디아의 최고위층 귀족 칭호인 ‘옥냐’를 캄보디아 국왕으로부터 수여받았다. 국내 은행사가 이들의 범죄 자금을 유통·세탁하는 데 이용됐을 우려도 나온다. 금융당국은 국민은행·전북은행·우리은행·신한은행·IM뱅크 등 국내 금융사의 캄보디아 현지 법인 5곳은 프린스그룹과 총 52건의 거래를 진행했다. 거래액은 1970억4500만원에 달한다. 아직 900억원이 넘는 자금이 여전히 현지에 남아 있다. 보이스피싱·스캠 조직 웹사이트 서버 북한이? 국정원·정보사 해외 파트·대북팀 동원해 추적 후이원은 범죄조직의 자금을 세탁하며 회사의 규모를 키웠다. 후이원은 ‘캄보디아의 알리페이’라고 불리는 후이원페이를 가지고 있는 금융, 결제, 정보기술(IT) 서비스 복합 기업이다. 이들은 자사의 기술력을 활용해 국제 해킹 조직이 사이버 사기, 랜섬웨어 등으로 얻은 범죄수익을 세탁해 왔다. 후이원페이는 훈 센 전 총리의 조카인 훈 토가 주요 주주로 등록된 회사이기도 하다. 정보기관에 따르면 이 기업은 북한 정찰총국 산하 해킹 그룹 ‘라자루스’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후이원은 공개·비공개 텔레그램 등 채팅방을 이용해 사기 조직과 자금 세탁범을 연결하고 범죄수익을 해외로 유출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2021년 이후 700억~890억 달러 규모의 가상화폐 거래를 중개했고 일부는 라자루스로 흘러 들어갔다. A씨는 “북한 IT 전문가들이 피싱·스캠 관련 웹사이트를 제작하기 시작한 건 4~5년 전부터”라며 “북한이 제작한 사이트의 경우 퀄리티가 상당하다. 그 대가로 후이원이 스테이블코인을 만들어 북한 쪽에 수익을 전달하기도 한다”고 주장했다. 국정원 해외 파트인 해외정보국과 대북 업무 담당자 상당수는 이미 캄보디아를 포함한 동남아 곳곳에서 관련 첩보를 입수 중이다. 국정원은 1차장이 해외 파트, 2차장이 대북·대공 업무를 담당한다. 2차장은 특히 북한 정보수집·분석 등 국정원의 대북 분야 실무를 총괄하는 자리다. 이외에도 국군정보사령부 동남아팀 휴민트(HUMINT·인간정보)들도 현지서 국정원과 정보를 공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정보사 출신 한 군 고위 관계자는 “캄보디아 수도권에 대남공작원들이 많긴 하지만 웬치에 북한 대사관 관계자나 공작원들이 있진 않다. 그건 말도 안 되는 소리고, 단지 대가를 받고 캄보디아 범죄조직 사이트를 만들어주거나 불법적으로 벌어들인 자금으로 세탁해 주는 게 북한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김정은 배후? 북한 연루설 다른 정보기관 관계자도 “국정원을 비롯한 정보사가 이번 캄보디아 사건에서 할 수 있는 건 보이스피싱·스캠 조직으로 인해 우리 국민이 피해를 본 금액이 얼마나 많은지와 북한에도 그 금액이 흘러 들어갔는지, 북한과 관련된 인물들이 얼마나 있는지 등이다. 캄보디아에서의 대남 관련자들은 절대로 개인적으로 특정 행위를 하지 않는다. 예시로 캄보디아 무역 또는 사업가, 식당을 운영하는 인물 등이 대남공작원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hound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