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소셜벤처 임팩트피플스가 신중년의 건강기능식품 선호도 조사를 실시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임팩트피플스는 에이풀(Aful)을 통해 지난 4월1일부터 14일까지 4060 남녀 408명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 트렌드와 4월13일부터 22일까지 남녀 388명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선호 브랜드를 각각 조사했다. 정기적으로 조사 결과, 대부분(97.5%)의 신중년이 정기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60 신중년이 애용하는 건강기능식품 1위는 26.7%를 차지한 ‘비타민류’로 나타났다. ‘유산균(17.9%)’과 ‘오메가3 등 지방산류(16.3%)’도 차례로 2, 3위를 기록했다. 4060 신중년 10명 중 9명이 현재 비타민을 섭취 중이며, 가장 선호하는 비타민 제품은 ‘고려은단 비타민C 1000’이다. 유산균을 섭취 중인 신중년도 과반을 넘는 66.1%나 된다. ‘종근당 락토핏’ 유산균은 다양한 유산균 제품 중 39.2%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질병을 직접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의약품이 아닌,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거나 생리 기능 활성화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제품을 뜻한다. 이 같은
말기신부전은 신장이 스스로 기능할 수 없을 정도의 만성 신장질환으로,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한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한 단계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말기신부전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말기신부전 진료인원은 2012년 5만156명에서 지난해 7만6281명으로 2만6125명 증가했고, 연평균 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연평균 5.3%(1만7202명), 여성은 4.0%(8923명) 증가했다. 투석 지난해 기준 말기신부전의 연령 구분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7만6281명) 중 70대 이상 2만6759명(35.1%), 60대 2만2229명(29.1%), 50대 1만6343명(21.4%), 50대 미만 1만950명(14.4%)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2년 대비 증감률은 50대 미만이 6.1%(713명) 감소했으나, 50대 21.0%(2838명), 60대 75.1%(9531명), 70대 이상 117.7%(1만4469명) 증가했다. 투석 종류별로는 혈액 투석에서 연평균 5.7% 증가했으나, 복막 투석은 연평균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말기신부전 신규 발생은 1만1480명
비대면 진료 플랫폼 나만의닥터를 운영하는 메라키플레이스가 비대면 진료 서비스 신뢰도 제고를 위한 내부 정책을 강화했다고 지난 7일 밝혔다. 나만의닥터에서 강화된 시스템은 ▲환자 선택권 보장 ▲의·약사 사전 검수 기능이다. 환자 선택권 보장을 위해 진료 예약부터 약 수령까지 서비스 전 과정을 환자가 결정하도록 한다. 나만의닥터 나만의닥터 앱을 통해 사전 진료 예약도 할 수 있다. 진료 요청 후 진료를 계속 기다리는 것이 아닌, 환자가 원하는 시간에 사전 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세 페이지에 게시된 의료진의 약력 및 진료 과목 등을 미리 확인해 이용자가 필요한 진료에 맞는 의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진료 후에는 환자가 약을 수령할 방법과 약국을 선택할 수 있다. 배송을 원할 경우 환자의 위치와 관계없이 나만의닥터 제휴 약국 중 하나를 선택해 받을 수 있다. 나만의닥터는 환자가 원하는 의사나 약국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용자의 선택권을 우선순위로 두고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비대면 플랫폼인 만큼 누구에게 서비스를 받는지 이용자들이 가장 잘 알아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나만의닥터는 이용자들에게 신뢰도를 확보한 점을 인정받아 ‘2022
한국BMS제약이 서울특별시, 보건산업진흥원, 서울바이오허브와 ‘서울 BMS 이노베이션 챌린지(Seoul BMS Innovation Challenge)’를 진행, 오는 8월19일까지 국내 바이오 및 디지털 헬스 스타트업을 모집한다. ‘서울 BMS 이노베이션 챌린지’는 심각한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삶을 바꿀 혁신 기술을 발굴 및 육성하고자 한국BMS제약, 서울특별시, 보건산업진흥원, 서울바이오허브가 함께 진행하는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개방형 혁신) 파트너링 프로그램이다. 네트워크 지원 분야는 ▲종양질환 ▲혈액질환 ▲심혈관질환 ▲면역질환 ▲섬유화증 ▲신경과학 ▲중개의학 ▲세포치료 ▲디지털헬스 ▲연구조사기술 총 10개의 영역이다. 바이오 및 디지털 헬스 분야의 창업일로부터 10년 미만 업력의 중소기업 또는 예비창업자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공모 기간은 오는 8월19일까지며, 이후 서류 심사 및 발표 심사를 통해 수상자가 선정될 예정이다. 챌린지 프로그램을 통해 최종 선정되는 2개 기업에는 연구지원금 총 8000만원(기업당 4000만원)과 함께 2년의 서울바이오허브 입주 혜택이 제공된다. 연구 개발 및 기술상업화 역량 강화를 위한 B
아쿠아마인이 개발한 기능성 물병 ‘미네랄메이커’의 마그네슘을 강화한 알칼리성 물이 고혈당에 오염된 신장 세포를 보호하고, 당뇨 합병증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연구 논문이 나왔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이규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은 올해 2월 초부터 지난달 중순까지 건강한 신장 세포에 고혈당을 주입해 제2형 당뇨 환자 세포로 만들고, 수돗물과 일회용 생수·마그네슘 알칼리 미네랄워터에 담근 뒤 관찰한 결과 마그네슘 알칼리 미네랄워터에서 비정상 세포가 정상 세포로 복원되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나머지 수돗물과 일회용 생수로 분석한 신장 세포는 당뇨 상태의 고혈당을 유지했다. “정상 복원” 실험에는 수소 이온 농도 pH 7.38의 수돗물,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회용 생수(pH 7.76, 마그네슘 2.9㎎), 아쿠아마인 미네랄메이커의 마그네슘 알칼리 미네랄워터(pH 9.62, 마그네슘 10.9㎎) 3가지 물이 사용됐다. 연구 결과 마그네슘 알칼리 미네랄워터는 고혈당 처리된 신장 세포에서 활성 산소, 산화질소, 카탈라제,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제, 간세포 성장 인자 및 포도당을 흡수해 정상 세포를 유지했다. 이는 항산화 방어를 안정화하고 대사, 세포
고혈압은 동맥 혈압이 정상보다 높아진 상태로, 현재 우리나라 기준 수축기 혈압 140수은주밀리미터(㎜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 90㎜Hg 이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대한고혈압학회는 ‘세계 고혈압의 날’을 맞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전 국민의 고혈압 유병률과 유병 환자의 적정 투약 관리율 및 지난해 주요 합병증 발생률을 발표했다. 20세 이상 인구의 고혈압 유병환자는 2007년 708만명에서 지난해 1374만명으로 667만명이 증가했고, 2018년부터 전체 고혈압 환자에서 남성 유병환자의 비율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지난해 기준 남성 51.1%, 여성 48.9%). 남성은 2007년 324만명에서 지난해 703만명으로 증가했고, 여성은 2007년 384만명에서 지난해 672만명으로 증가했다. 남성이 많아 노령화된 인구 구조에 따른 자연증가율을 보정할 목적으로 산출한 연령 표준화 유병률은 2007년 22.9%에서 지난해 27.7%로 증가했다. 남성의 연령 표준화 유병률은 2007년 21.2%에서 지난해 28.6%로 지난 14년간 7.4%p 증가했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2007년 24.4%에서 지난해 26.7%로 2.3
산업 조사 전문 기관 이슈퀘스트가 시장 보고서 ‘의료, 헬스케어용 인공지능(AI)·서비스로봇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을 발간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이 2년이 지난 현재 미국을 비롯한 각 국가에서는 코로나19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일일 확진자 수 기록을 경신하고 있어, 아직 팬데믹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보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런 감염병 대응을 위한 비대면, 비접촉 기술과 서비스가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핵심 솔루션으로 인공지능(AI) 기술과 서비스로봇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로봇 산업 최근 의료, 헬스케어용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보건의료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딥러닝과 이미지 처리를 활용한 의료진의 진단 보조 역할부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약 발굴, 외과 수술 영역까지 그 분야가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로봇 산업은 가속할 것으로 예상되며, 비대면 근무 확산과 개인위생 및 안전을 위한 거리 두기 필요성에 대한 인식 강화로 로봇에 대한 수요가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국제로봇연맹(IFR)의 ‘2021 세계 로봇 보고서’ 발표 자료에 따르면, 코
췌장암은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종양덩어리)이다. 췌장암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췌관세포에서 발생한 췌관 선암종이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 낭종성암(낭선암), 신경내분비종양 등이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췌장암’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1만6086명에서 2020년 2만818명으로 4732명(29.4%)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6.7%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8264명에서 2020년 1만741명으로 30.0%(2477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7822명에서 2020년 1만77명으로 28.8%(2255명) 증가했다. 지속적 증가 2020년 기준 췌장암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만818명) 중 60대가 30.1%(6265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9.7%(6190명), 80세 이상이 16.6%(3458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2.3%로 가장 높았고, 70대가 30.1%, 50대가 17.2%를 차지했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70대 29.4%,…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의 한국법인(이하 사노피)은 만성·희소질환, 암 등의 환아와 환아 가족을 지원하는 사회책임 활동 ‘2021 초록산타 상상학교’ 효과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초록산타 상상학교는 만성·희소난치성 질환, 암 등 신체적 아픔을 겪는 환아와 가족들을 위해 2004년부터 매년 운영해왔으며, 올해 18주년을 맞이한 사노피의 대표적인 사회책임 프로그램이다. 2021 초록산타 상상학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으로 구성됐다. 2004년부터 2017년 최초 진행한 이래로 5회 차를 맞이한 이번 효과 연구는 초록산타 프로그램을 통해 환아와 가족들이 치료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아동의 정서 인식과 정서 표현 및 정서 조절 증진에 이바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됐다. 임상 심리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진의 주도하에 진행된 효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1 초록산타 상상학교 참여는 아동이 스스로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정서를 긍정적으로 느끼는 정도인 ‘정적 정서 안녕’은 높이고, 감정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정서 조절 곤란’의 정도는 낮추는 데 이바지한 것
대한재활트레이너학회는 코로나19로 인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을 위해 온열 기구를 이용한 면역력 연구 결과를 지난 12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장수산업(장수돌침대·장수흙침대·장수돌소파)에서 학회 연구용 돌침대와 온수 매트를 기증받아 20명의 남녀 학회연구원을 대상으로 2020년 1월부터 지난 3월까지 진행했으며, 앞으로도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돌침대 대한재활트레이너학회의 연구 결과 연구원 20명 중 특히 잦은 감기·수면 장애·알레르기 비염을 앓은 남녀 연구원 12명은 병원을 찾는 평균 횟수가 5회 이상 줄어들고, 약 처방을 받아 복용하는 횟수가 기존 10회에서 평균 횟수 5회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다. 연구는 장수산업에서 연구원 전체에게 제공한 돌침대·돌소파·흙침대를 일상생활에서 특정 시간에 일정 온도로 사용해 이뤄졌다. 복사열을 이용해 주 3~4회 돌침대 온도를 39~45도로 설정해 30분 이내 찜질했고 35~45도 사이 연구원 각자의 취향에 맞게 온도를 적용해 잠자리에 들었다. 그 결과 학회는 면역력을 올리는 데는 돌침대가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번 연구는 정상 체온보다 1도 낮은 사람이 면역력 저하로 유해물질이 몸에 들어왔
파킨슨병은 도파민 신경세포의 소실 때문에 발생하는 신경계 만성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세계 파킨슨의 날(4월11일)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파킨슨병’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9만6764명에서 2020년 11만1312명으로 1만4548명(15.0%)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3만8644명에서 2020년 4만6369명으로 20.0%(7725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5만8120명에서 2020년 6만4943명으로 11.7%(6823명) 증가했다. 치매는? 2020년 기준 파킨슨병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1만1312명) 중 70대가 37.9%(4만2172명)로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이 36.5%(4만603명), 60대가 18.7%(2만819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70대가 39.6%로 가장 높았고, 여성의 경우에는 80세 이상 40.7%, 70대 36.7%, 60대 16.8%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파킨슨병 환자 중에 동반상병으로 ‘치매’ 진료(약국 제외)를 받은 진료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간한 ‘2021년 건강보험 주요통계’에 따르면, 약국을 포함한 요양기관 전체 2021년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93조5011억원으로 전년 대비 7.5% 증가했으며, 65세 이상 진료비는 40조6129억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43.4%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입·내원 1일당 진료비는 9만7650원으로 전년 대비 8.0% 증가했다. 지난해 평균 적용 인구의 1인당 월평균 입·내원일수는 1.55일로 전년 대비 0.5% 감소했으며,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15만1613원으로 전년보다 7.5% 증가했다. 출산비 줄고 지난해 보험급여비는 74조6066억원으로, 이 중에서 의료기관 및 약국 등에 지급한 요양급여비는 70조1654억원이며 전년 대비 7.2% 증가했다. 현금급여비는 2조6142억원으로 전년 대비 16.3%로 증가했는데, 이는 요양비 종별 확대에 따른 지속적 증가와 당뇨병 환자 증가에 따른 당뇨병소모성재료 사용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다만, 임신·출산 진료비는 출생아 수 감소 등에 따라 지속적 감소 추세이며, 지난해 7월 임신·출산진료비 지원 제도 확대 예고(지난 1월) 홍보 영향으로 전년대비 -22.8%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
치주질환은 풍치라고도 하는데,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나뉜다. 잇몸 측, 연조직에만 국한된 형태를 치은염, 염증이 잇몸과 잇몸 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한다.국민건강보험공단은 ‘잇몸의 날(3월24일)’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치주질환(치주염)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잇몸의 날(3월24일)’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치주질환(치주염)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감염성 질환 진료인원은 2016년 1109만명에서 2020년 1298만명으로 189만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4.0%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556만명에서 2020년 647만명으로 16.4%(91만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553만명에서 2020년 651만명으로 17.7%(98만명) 증가했다. 2020년 기준 치주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298만명) 중 50대가 22.4%(291만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19.6%(254만명), 40대가 17.0%(220만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50대가…
만성 신부전증은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돼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세계 콩팥의 날(3월10일)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만성 신부전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19만1045명에서 2020년 25만9694명으로 6만8649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8.0%로 나타났다. 70대 최다 남성은 2016년 11만7449명에서 2020년 16만1138명으로 37.2%(4만3689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7만3596명에서 2020년 9만8556명으로 33.9%(2만4960명) 증가했다. 2020년 기준 만성 신부전증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5만9694명) 중 70대가 29.4%(7만6370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3.8%(6만1900명), 80세이상 22.0%(5만7039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7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9.7%로 가장 높았고, 60대 25.2%, 80세 이상 19.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70대 28.9%, 80세 이상 26.7%, 60대 2
BMJ 뉴랄러지 오픈(BMJ Neurology Open)에 게재된 보고서에 따르면 AFP-202 흑효모균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로 생성한 베타 1,3-1,6 글루칸(니치 글로우[Nichi GLOW])을 구강 섭취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의 행동, 학습 능력, 수면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폐는 선진국에서 어린이 44명 가운데 1명꼴로 발생하는 신경 발달 장애로 원인과 징후가 매우 다양하다. 자폐아는 나이가 들어 퇴행성 신경질환을 겪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연구에 따르면 니치 글로우를 섭취한 아이들의 CARS(자폐아평정척도) 점수와 소통 능력이 향상됐다. 소통 향상 니치 글로우는 컬리(curli), 아밀로이드(amyloid)와 같은 해로운 단백질을 생성하고 자폐의 원인으로 꼽히는 알파시누클레이(Alpha-synuclein) 오접힘(misfolding) 및 뉴런 집성을 부르는 장 세균총(microbiome) ‘엔테로박테리아(enterobacteria)’를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를 주도한 라그하반 박사는 장뇌축(gut-brain-axis)을 거쳐 뇌로 퍼지는 시누클레인병증(Synucleinopat
녹내장은 계속해서 진행하는 시신경 병증으로 시신경의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고 시야 결손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시신경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해 ‘보게 하는’ 신경이므로 여기에 장애가 생기면 시야 결손이 나타나고, 말기에는 시력을 상실하게 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세계 녹내장 주간(3월7일~13일)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녹내장’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4년 새 20%↑ 진료인원은 2016년 80만80 12명에서 2020년 96만4812명으로 15만68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4.5%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37만399명에서 2020년 45만553명으로 21.6%(8만154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43만7613명에서 2020년 51만4259명으로 17.5%(7만6646명) 증가했다. 2020년 기준 녹내장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96만4812명) 중 60대가 25.1%(24만1983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1.1%(20만3547명), 50대가 19.1%(18만4356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KMI한국의학연구소(이하 KMI)가 제주시 관내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공헌 사업을 진행한다고 지난달 25일 밝혔다. 이번 사회공헌 사업은 KMI 제주검진센터 개소를 앞두고 제주도 지역사회와 상생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진행됐다. 접근성 제고 KMI는 제주도 지역의 의료 접근성을 제고하고, 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올 상반기 제주헬스케어타운 내 의료서비스센터에 건강검진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 제주시청, 제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연계해 진행하는 이번 사회공헌 사업은 제주시 취약계층의 긴급 의료비 지원을 위해 추진됐으며, KMI는 총 2000만원을 후원한다. 긴급 지원 사업은 공공부조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이거나 재난재해에 노출돼 일상생활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수급자와 저소득층을 일시적으로 긴급 지원(의료비, 생계비, 주거비, 화재 복구비 등)해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지난달 24일 제주시청에서 진행된 후원 협약식에는 안동우 제주시장, 강지언 제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 김순이 KMI 이사장, 이재영 전무이사, 윤선희 KMI사회공헌위원회 이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 이사장은 “제주시 취약계층과 시민의 건강을 지키는 데 동참하게 돼 뜻깊게 생
투렛증후군은 특별한 이유 없이 자신도 모르게 얼굴이나 목, 어깨, 몸통 등 신체 일부분을 아주 빠르게 반복적으로 움직이거나 이상한 소리를 내는 중상을 말하며 ‘틱장애’라고도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0~9세 어린이(이하 어린이) 안전 사고와 투렛증후군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상반 어린이 안전 사고 진료인원은 2016년 42만7000명에서 2020년 32만4000명으로 10만2000명 감소했고, 연평균 감소율은 6.6%로 나타났다. 어린이 안전 사고 비중은 골절/탈구 56.2%(18만2000명), 이물질 19.7%(6만4000명), 화상/부식 19.0%(6만2000명), 중독 2.5%(8000명), 압궤/절단 2.0%(6000명), 외상성뇌손상 0.7%(2000명)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린이 투렛증후군 진료인원은 2016년 1897명에서 2020년 2388명으로 491명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5.9%로 나타났다. 어린이 안전 사고의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2016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였으며, 특히 전년 대비 15.2%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안전 사고 비중은 중독 -19.
KMI한국의학연구소(이하 KMI)가 암 조기 발견으로 국민건강 증진과 국민 의료비 절감에 나서고 있다. KMI는 지난해 총 2222건의 암을 조기에 발견했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조사 결과, KMI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인원은 지난해 기준 총 113만7023명이다. 이 가운데 2만6184명이 암을 포함한 중증질환 발생 등이 의심돼 상급의료기관에 진료가 의뢰됐고, 총 2222건이 암으로 최종 확진됐다. 조기 발견 KMI를 통한 암 진단 건수는 ▲2015년 1360건 ▲2016년 1600건 ▲2017년 1478건 ▲2018년 1629건 ▲2019년 1900건 ▲2020년 1937건 등으로, 지난해는 전년 대비 14.7%(285명)가 증가했다. 최근 10년(2012~2021년) KMI 건강검진을 통해 진단된 암은 총 1만7284건에 달한다. 지난해 기준 암의 확진 빈도는 갑상선암이 824건(37.1%)으로 가장 많았으며, 위암 367건(16.5%), 대장직장암 301건(13.5%), 유방암 214건(9.6%)의 순이었다. 특히 한국인에서 사망률 1위인 폐암(64건)을 비롯해 간암(33건), 췌장암(18건) 등 위협적인 암도 다수 진단됐다. 남성은 1112명 가운데
빨간약 플랫폼을 운영하는 이팜헬스케어가 ‘문 연 약국 찾기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지난 4일 밝혔다. 빨간약의 ‘문 연 약국 찾기 서비스’는 심야 시간이나 공휴일에 갑자기 자가진단키트 구매 등이 필요할 때 소비자가 약국을 찾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클릭 한 번으로 문 연 약국을 쉽고 정확하게 찾아주는 서비스다. 쉽고 명절 직후에 오미크론 확진자가 2만명대를 넘어섰고 지속적으로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누구나 밤늦게 고열 등 오미크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지금 코로나 자가진단키트 구매가 가능한 약국, 상비약의 복용법이 더욱 궁금할 수밖에 없다. 이때 빨간약 앱을 이용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빨간약의 약국 찾기 서비스는 포털 사이트에서 요일, 장소 등 을 입력한 후 문 연 약국을 검색하는 방식과 달리 클릭 한 번만 하면 심야 시간, 공휴일에 문 연 약국을 알려준다. 거기에 내비게이션까지 연동돼 있어 해당 약국을 쉽게 방문할 수 있다. 특히 약국만 찾아주는 기존의 단순 서비스와 달리 약국을 운영하는 전문 약사와 온라인으로 연결해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자가진단키트 구매 가능 여부, 온라인 복약 상담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자가진단키트 구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