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대한민국 대통령 집무실이 약 3년 만에 다시 청와대로 복귀하기 위한 본격 준비에 들어갔다.
청와대재단은 1일 “종합적인 보안·안전 점검과 청와대 건축물의 보수·보강을 위해 관람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연내 모든 준비를 마치고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부터 “청와대는 단순한 집무 공간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상징”이라며 복귀 의사를 공고히 해왔다. 취임 초반 조기 대선으로 인한 급박한 상황 탓에 용산에서 업무를 시작했지만 장기적으로 청와대로의 복귀를 염두에 뒀던 그였다.
용산 대통령실에 대한 평가도 냉정했다. 그는 “도청 가능성이 높고, 아파트 숲에 둘러싸여 경호·보안상 취약하다”며 청와대 복귀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정부는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청와대 복귀를 위한 예비비 259억원을 확정했다. 이는 2022년 윤석열정부의 용산 이전 당시 투입된 378억원보다 119억원(약 31%) 줄어든 금액이다. 예산 절감은 이전 규모 축소와 시설 재활용을 통해 마련했다.
청와대는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70여년간 대통령의 공식 집무·관저로 사용됐다. 초기에는 ‘경무대’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으나, 4대 윤보선 대통령이 ‘청와대’로 개칭하면서 그대로 정착됐다.
이후 1991년 노태우 전 대통령이 본관과 관저, 춘추관(프레스센터)을 신축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일제강점기의 북악산 정기를 끊기 위해 지어졌다는 풍수적 해석에 따라 구 본관을 철거하고, 청와대 앞길과 인왕산을 시민에게 개방하기도 했다.
윤석열정부 들어서는 지난 2022년 5월10일 ‘국민과의 소통’을 명분으로 청와대를 민간에 개방하고 용산 국방부 청사로 집무실을 옮겼다. 이후 약 3년2개월간 청와대는 852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는 ‘국민의 공간’이 됐다. 마지막 관람일이었던 지난달 31일에도 뜨거운 폭염을 뚫고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마지막이 될 수 있는 청와대를 둘러봤다.
청와대는 이 대통령의 복귀가 가시화되면서 지난달 16일부터 실내 관람이 제한됐고, 외부 동선만 제한적으로 개방됐다. 1일부로는 본관·관저를 포함한 전 구역의 일반 관람이 완전 중단됐다. 관람 재개 여부는 아직 미정이다.
정부는 연내 보안 점검과 시설 개·보수를 마친 뒤, 일부 구역이라도 국민에게 다시 개방할지 여부를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는 청와대의 지속 가능한 관리와 활용을 위해 산하에 ‘청와대재단’을 신설했다.
앞서 최휘영 문체부 장관은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을 통해 “대통령 집무실의 성공적인 복귀를 위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역대 정부에서도 청와대를 국민 소통의 장으로 활용해온 전례가 있다. 새 정부에서도 청와대가 국민과 함께 호흡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하지만 정치권 안팎에선 고개를 갸웃거리는 시선도 적지 않다. 같은 ‘국민과의 소통’을 내세웠던 전·현 정부의 행보를 놓고 “말만 다르지 결국 담장 안으로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더욱이 세종시 수도 이전 계획이 구체성을 띄지 못해 장기적 관점에서의 혼란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세종시 수도 이전은 대선공약이었지만, 로드맵·예산 일정이 모두 흐릿하다”며 “청와대부터 다시 채우고 보자는 식이면 향후 행정수도 이전 논의는 또 표류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jungwon933@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