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웨이 팔아치운'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딜레마'

2012.09.03 11:11:57 호수 0호

팔자니 아깝고 갖자니 부담되네

[일요시사=한종해 기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이 딜레마에 빠졌다. 알짜 계열사인 웅진코웨이를 매각하면서 태양광 사업을 미래성장동력으로 키우겠다고 공언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태양광 계열사인 웅진폴리실리콘까지 팔아치우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윤 회장의 얼굴엔 '팔자니 아깝고 갖자니 부담'이란 표정이 역력하다.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의 시름이 점점 깊어져만 가고 있다. 그룹 재무 개선과 태양광 사업 육성을 위해 경영권까지 포기하면서 '친자식' 웅진코웨이를 매각했지만 업황 부진과 유동성 악화 속에서 태양광사업의 핵심인 웅진폴리실리콘 매각까지 검토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웅진홀딩스는 한국거래소의 웅진홀리실리콘 매각설에 대한 조회공시 요구에 "현재 그룹 구조조정 차원에서 웅진폴리실리콘 매각을 검토 중이나 아직 확정된 바는 없다"고 밝혔다.

태양광에 '허우적'

하지만 지난달 30일 금융권 및 투자은행업계에 따르면 웅진그룹은 웅진폴리실리콘 매각을 위한 매각자문사 선정에 나섰다. 법률자문은 웅진코웨이 자문을 맡았던 법무법인 태평양이 내정된 상태로 알려졌다. 웅진그룹은 매각을 10월 말까지 마무리 한다는 방침이지만 업계에서는 매각이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빨라야 연말 쯤 절차가 완료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매각 규모는 지분 100%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최대주주인 웅진홀딩스 지분 50.38% 외에 미래에셋 사모펀드가 34.05%, 다른 전략적투자자들이 15.57%의 지분을 나눠쥐고 있다.


웅진그룹은 올 초 태양광 분야에 집중 투자하기 위해 웅진코웨이 매각을 결정했다. 웅진홀딩스는 웅진코웨이 인수자로 경영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조건을 내건 KTB 사모펀드를 선정했었다. 그러나 특수목적법인 설립과 자금 유입이 늦어지면서 MBK파트너스로 인수자를 변경하고 경영권을 포기했다. 그만큼 자금 조달이 시급했다는 방증이다.

웅진코웨이 매각 대금은 세금을 제외하고 약 1조600억원으로 추산된다. 매각 대금이 이번 달 말 유입되면 웅진그룹은 수렁에 빠진 계열사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하지만 돈이 들어가야 할 곳이 너무 많다.

웅진그룹은 우리은행 등 8개 금융기관으로부터 3091억원의 여신을 활용하고 있으며 여기엔 웅진코웨이 지분과 웅진에너지, 웅진씽크빅 등이 담보로 제공돼 있다.

웅진캐피탈의 차입금 700억원, 웅진플레이도시 700억원, 극동건설 프로젝트파이낸싱(PF) 1200억원 등에도 웅진코웨이 지분이 담보로 제시돼 있다. 즉 즉시 상환해야 할 부채규모는 5691억원, 만기가 1년 남은 부채를 모두 상환할 경우 남는 금액은 200억원도 못 미친다.

지난달 30일 신한금융투자는 "웅진홀딩스가 단기 차입금을 모주 상환할 경우 웅진코웨이 매각 대금 중 약 200억원 정도만 남을 것"이라며 "웅진코웨이 매각이 웅진그룹의 신용도를 전환할 만큼 크지 않다"고 밝혔다. 극동건설이나 웅진에너지 등 자회사 추가 지원을 위해서는 추가 차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웅진코웨이 매각해 태양광 키우겠다더니
웅진폴리실리콘 매각 자문사 선정 착수

여기에 지난해 2분기부터는 태양광 업계에서 '치킨게임'이 지속되면서 실적 악화도 심화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태양광 사업 시장은 지난해 2분기 이후 공급이 수요보다 많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6~2010년에 연평균 70%씩 성장해왔던 태양광 업계는 2011년 들어 성장률이 20% 선으로 급격히 떨어졌다.

윤 회장이 알짜배기 계열사인 웅진코웨이를 매각하는 주된 목적은 태양광에너지 사업 육성이었다. 웅진그룹의 태양광사업을 이끄는 계열사는 웅진폴리실리콘이다. 그런데 왜 웅진그룹이 태양광 핵심인 웅진폴리실리콘의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걸까? 바로 자금난 때문이다.

웅진폴리실리콘은 지난 2010년 경북 상주 공장 설립 당시 만기 5년의 금리 6.05% 수준으로 우리은행과 정책금융공사 등에서 3100억원의 자금을 빌렸다. 차입 조건에는 부채비율이 일정 기준 이상 높아지면 앞당겨 갚도록 할 수 있다는 '기한이익상실' 조항이 달려 있었다. 태양광 사업이 공급 과잉으로 상황이 나빠지자 결국 부채비율이 높아져 기준 조건을 넘어서게 된 것이다. 대출 약정을 어긴 것. 지난 6월에도 웅진폴리실리콘은 웅진홀딩스로부터 421억원을 차입했다.

웅진폴리실리콘 매각 소식에 현재 대주단은 상주 공장 매각 시점까지 디폴트(부도) 선언을 유보해주기로 한 상태다. 다만 오는 10월1일까지 도래하는 중도 상환금 약 500억원 가량을 갚지 못할 경우에는 디폴트 선언이 불가피하다는 게 채권단의 입장이다.


웅진그룹이 웅진폴리실리콘 매각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하더라도 매각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웅진폴리실리콘은 지난해 매출 1892억원에 영업이익 113억원을 올렸지만 이자 비용 때문에 순손실 107억원을 기록했고 상주 공장이 지난 7월부터 태양광 사업 부진 등을 이유로 한 달 넘게 가동이 중단된 상태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막대한 투자비를 쏟아 부은 웅진폴리실리콘을 헐값에 팔아넘길 수도 없는 노릇이다. 끌어안고 가기에도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적자를 계속 감당해야 하는 리스크가 있다. 윤 회장이 딜레마에 빠질 만 하다. 

성장동력 사라지나

웅진그룹이 웅진폴리실리콘을 매각한다는 것은 사실상 태양광 사업의 포기를 의미한다. 웅진그룹은 태양전지 패널의 핵심 원자재인 잉곳, 웨이퍼를 만드는 웅진에너지와 하부 재료인 폴리실리콘을 만드는 웅진폴리실리콘으로 계열화를 이룬 상태다. 이중 웅진폴리실리콘을 잃게 되면 팔 하나가 잘려나가는 꼴이다. 웅진에너지가 남지만 입지 약화는 피할 수 없다. 미래 성장 동력인 태양광 사업에 정성을 들였던 윤 회장이 이번에는 제대로 된 '신의 한수'를 둘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